미국이 이번주 조지 부시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과 반전국 정상들과의 회담을 통해 이라크 추가 파병을 매듭짓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서는 가운데 어느 나라보다 한국에게 대규모 파병과 주도적인 역할을 강하게 주문하고 나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부시, 반전국과 연속 정상회담
부시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각) 유엔총회에서 연설하고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이른바 반전국 정상들과 잇따라 회담을 갖는다.
부시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라크 치안확보와 재건을 위한 병력파병과 자금지원을 국제사회에 본격 요청할 예정이다. 부시 대통령은 이 연설을 통해 유엔 회원국들의 행동을 촉구(call to action)할 계획이다.
부시 대통령은 이어 23일에는 프랑스의 자크 시라크 대통령과 24일에는 독일의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와 뉴욕에서 회담하고 26일에는 캠프데이비드 별장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난다.
◆미, 이중장벽 직면
미국은 이처럼 유엔결의안 채택을 위해 강대국들과의 입장 조율에 주력하면서도 실질적인 전투병의 대규모 파병은 한국, 터키, 파키스탄 등에 집중시키고 있다.
미국은 그러나 강대국들의 요구와 한국 등 파병 요청국들의 정치적 문제 등 이중장벽에 부딪혀 있다.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이 유엔역할을 대폭 확대하고 미국이 이라크 자치정부에 통치권을 수개월 안에 조기 이행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은 이들 국가의 의견을 경청할 것이라고 약속하면서도 이라크 자치정부에 통치권을 조기이양 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못박고 있다. ‘죽쑤어 뭐에게 주는 일만큼은 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이다.
그러나 유럽국가를 비롯한 국제사회는 “미국이 다른 나라들의 돈과 군대를 원하면서도 실질적인 권한은 국제사회나 이라크 국민들과 나눌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파병 요청국 내부사정 복잡
미국은 특히 한국, 터키, 파키스탄 등 대규모 파병을 요청한 국가들이 국내 반전여론등 정치적 상황때문에 파병규모가 줄어들거나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은 가능한 한 이들 국가들이 이른 시일내 파병결정을 내려줘 늦어도 내년 2월 이라크에서 세번째 다국적군 사단(1만 5000명 규모)을 배치, 미군 주력부대인 제 101 공중강습사단 병력을 철수시킨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보도돼왔다.
그러나 한국에선 지난 4월 비전투병 675명의 파병결정 때에도 거센 논란을 겪은 것으로 볼 때 이번엔 더욱 극심한 격론이 벌어져 미국의 희망보다는 늦은 올해 말이나 되어야 파병여부가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미국측도 예상하고 있다.
터키의 경우 정부가 유엔결의안과 상관없이 대규모 파병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의회에선 파병반대 의견이 높아 이라크전쟁 개전때와 같이 막판에 틀어지지나 않을까 미국은 긴장하고 있다.
특히 터키의 대규모 파병은 이라크북부에 자치지역을 두고 있는 쿠르드족과의 갈등소지를 안고 있는 취약점도 있다. 실제로 이라크 임시정부의 국방장관은 이라크 주변국의 대규모 파병에는 반대한다며 터키의 파병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한국 역할 강조할 듯
결국 미국은 한국에 1만명대의 대규모 병력을 파병해주고 세번째 다국적군 사단의 지휘까지 맡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강하게 주문하게 될 것으로 관측된다.
부시 행정부 관리들은 AP통신, USA투데이 등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내 여론이 엇갈릴 것이나 대규모 병력을 파병할만한 병력운용이 가능하고 잘 훈련되고 첨단 무기로 무장한 군대를 가진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는 점을 지목하고 있다. 한국 정부에 대규모 파병의 조기 결정을 본격 주문할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부시, 반전국과 연속 정상회담
부시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각) 유엔총회에서 연설하고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이른바 반전국 정상들과 잇따라 회담을 갖는다.
부시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라크 치안확보와 재건을 위한 병력파병과 자금지원을 국제사회에 본격 요청할 예정이다. 부시 대통령은 이 연설을 통해 유엔 회원국들의 행동을 촉구(call to action)할 계획이다.
부시 대통령은 이어 23일에는 프랑스의 자크 시라크 대통령과 24일에는 독일의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와 뉴욕에서 회담하고 26일에는 캠프데이비드 별장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난다.
◆미, 이중장벽 직면
미국은 이처럼 유엔결의안 채택을 위해 강대국들과의 입장 조율에 주력하면서도 실질적인 전투병의 대규모 파병은 한국, 터키, 파키스탄 등에 집중시키고 있다.
미국은 그러나 강대국들의 요구와 한국 등 파병 요청국들의 정치적 문제 등 이중장벽에 부딪혀 있다.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이 유엔역할을 대폭 확대하고 미국이 이라크 자치정부에 통치권을 수개월 안에 조기 이행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은 이들 국가의 의견을 경청할 것이라고 약속하면서도 이라크 자치정부에 통치권을 조기이양 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못박고 있다. ‘죽쑤어 뭐에게 주는 일만큼은 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이다.
그러나 유럽국가를 비롯한 국제사회는 “미국이 다른 나라들의 돈과 군대를 원하면서도 실질적인 권한은 국제사회나 이라크 국민들과 나눌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파병 요청국 내부사정 복잡
미국은 특히 한국, 터키, 파키스탄 등 대규모 파병을 요청한 국가들이 국내 반전여론등 정치적 상황때문에 파병규모가 줄어들거나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은 가능한 한 이들 국가들이 이른 시일내 파병결정을 내려줘 늦어도 내년 2월 이라크에서 세번째 다국적군 사단(1만 5000명 규모)을 배치, 미군 주력부대인 제 101 공중강습사단 병력을 철수시킨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보도돼왔다.
그러나 한국에선 지난 4월 비전투병 675명의 파병결정 때에도 거센 논란을 겪은 것으로 볼 때 이번엔 더욱 극심한 격론이 벌어져 미국의 희망보다는 늦은 올해 말이나 되어야 파병여부가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미국측도 예상하고 있다.
터키의 경우 정부가 유엔결의안과 상관없이 대규모 파병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의회에선 파병반대 의견이 높아 이라크전쟁 개전때와 같이 막판에 틀어지지나 않을까 미국은 긴장하고 있다.
특히 터키의 대규모 파병은 이라크북부에 자치지역을 두고 있는 쿠르드족과의 갈등소지를 안고 있는 취약점도 있다. 실제로 이라크 임시정부의 국방장관은 이라크 주변국의 대규모 파병에는 반대한다며 터키의 파병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한국 역할 강조할 듯
결국 미국은 한국에 1만명대의 대규모 병력을 파병해주고 세번째 다국적군 사단의 지휘까지 맡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강하게 주문하게 될 것으로 관측된다.
부시 행정부 관리들은 AP통신, USA투데이 등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내 여론이 엇갈릴 것이나 대규모 병력을 파병할만한 병력운용이 가능하고 잘 훈련되고 첨단 무기로 무장한 군대를 가진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는 점을 지목하고 있다. 한국 정부에 대규모 파병의 조기 결정을 본격 주문할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