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군사적강점으로부터 조선이 광복된지 58년이 되여 온다. 그러나 일본은 과거 조선인민에게 저지른 죄악에 대하여 청산은커녕 조선에 대한 재침야망을 더욱 드러내놓고 있다.”
이는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광복58주년을 맞아 6일부터 내보내고 있는 ‘일제는 조선인민의 백년숙적’이란 시리즈 기사의 편집자주다. ‘백년숙적’ 시리즈 기사는 임진왜란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한반도 침략사와 한민족 탄압사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각각의 역사적 사실을 분리해서 바라보는 남한과는 다른 북한의 이러한 태도는 일본에 대한 역사적 적대감을 대내외적으로 최대한 이용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북한이 ‘백년숙적’이라고 부르는 국가는 전세계에서 단 둘, 일본과 미국뿐이다. 미국과 일본은 핵문제와 대테러전쟁에서 철저히 공조하고 있고 북한은 미국과 일본의 ‘침략 도발’을 우려하고 있다.
문제는 북한이 일본과 미국을 외면하고 살아갈 수 없다는 데 있다. 북한은 70년대부터 미국과 “불가침서약을 맺자”고 주장했으나 냉전 이후에는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다. 일본과도 90년대 초부터 수교협상을 하기 시작했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일관계 개선에는 식민지배에 대한 배상이 따른다”며 “북일 국교정상화가 돼야 북한이 경제재건에 필요로 하는 자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북일관계를 경제적 측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2001년 남한 언론사사장단 방북 당시 “일본과의 수교 문제는 복잡하다”며 “일본이 부당한 해명을 요구하는데 그렇다면 명치유신 때부터 따져야 한다. 일본은 일제 36년을 우리에게 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일관계개선이 비단 경제적 측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북일관계는 지난해 9월 김정일-고이즈미 정상회담 이후 남북, 북미관계 외에 한반도평화와 안정을 위한 또 하나의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핵문제가 불거져 북일수교협상이 교착화되고 미일간 대테러·북핵 공조가 긴밀해진 지금은 더욱 중요해졌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미·일 동맹관계를 생각하면 일본은 미국의 결정에 주로 따르게 돼 큰 틀에서 보면 종속적인 측면이 있다”면서도 일본은 “실질적으로 북한 경제 회복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원을 갖고 있는 나라”라고 분석했다.
국제정치적으로는 미국의 대북정책에 따르고 있으나 지정학적 요인과 북일간 특수한 역사적 사정을 고려하면 북한경제가 난관을 돌파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한다는 얘기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도 이를 깨닫고 북일평양선언까지 이끌어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자존심이 꺾이면서 일본과 수교는 절대로 안 한다”는 과거 입장과 달리 고이즈미 총리에게 “서로 우의 좋게 지내며 공존공영해 나가자는 것이 우리의 의지”라고 밝혔다.
미국·일본과 같은 ‘백년숙적’을 외면하지 못하고 관계개선을 모색해야만 하는 것이 북한 현대사의 딜레마인 것이다.
이는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광복58주년을 맞아 6일부터 내보내고 있는 ‘일제는 조선인민의 백년숙적’이란 시리즈 기사의 편집자주다. ‘백년숙적’ 시리즈 기사는 임진왜란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한반도 침략사와 한민족 탄압사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각각의 역사적 사실을 분리해서 바라보는 남한과는 다른 북한의 이러한 태도는 일본에 대한 역사적 적대감을 대내외적으로 최대한 이용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북한이 ‘백년숙적’이라고 부르는 국가는 전세계에서 단 둘, 일본과 미국뿐이다. 미국과 일본은 핵문제와 대테러전쟁에서 철저히 공조하고 있고 북한은 미국과 일본의 ‘침략 도발’을 우려하고 있다.
문제는 북한이 일본과 미국을 외면하고 살아갈 수 없다는 데 있다. 북한은 70년대부터 미국과 “불가침서약을 맺자”고 주장했으나 냉전 이후에는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다. 일본과도 90년대 초부터 수교협상을 하기 시작했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일관계 개선에는 식민지배에 대한 배상이 따른다”며 “북일 국교정상화가 돼야 북한이 경제재건에 필요로 하는 자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북일관계를 경제적 측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2001년 남한 언론사사장단 방북 당시 “일본과의 수교 문제는 복잡하다”며 “일본이 부당한 해명을 요구하는데 그렇다면 명치유신 때부터 따져야 한다. 일본은 일제 36년을 우리에게 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일관계개선이 비단 경제적 측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북일관계는 지난해 9월 김정일-고이즈미 정상회담 이후 남북, 북미관계 외에 한반도평화와 안정을 위한 또 하나의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핵문제가 불거져 북일수교협상이 교착화되고 미일간 대테러·북핵 공조가 긴밀해진 지금은 더욱 중요해졌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미·일 동맹관계를 생각하면 일본은 미국의 결정에 주로 따르게 돼 큰 틀에서 보면 종속적인 측면이 있다”면서도 일본은 “실질적으로 북한 경제 회복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원을 갖고 있는 나라”라고 분석했다.
국제정치적으로는 미국의 대북정책에 따르고 있으나 지정학적 요인과 북일간 특수한 역사적 사정을 고려하면 북한경제가 난관을 돌파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한다는 얘기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도 이를 깨닫고 북일평양선언까지 이끌어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자존심이 꺾이면서 일본과 수교는 절대로 안 한다”는 과거 입장과 달리 고이즈미 총리에게 “서로 우의 좋게 지내며 공존공영해 나가자는 것이 우리의 의지”라고 밝혔다.
미국·일본과 같은 ‘백년숙적’을 외면하지 못하고 관계개선을 모색해야만 하는 것이 북한 현대사의 딜레마인 것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