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도서관문화발전국회포럼' 발족 … 여야 48명, 도서관 인력·인프라 확충 한뜻
입법기관인 국회의원들이 공공도서관 발전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오는 30일 공식 출범하는 '도서관문화발전국회포럼'(공동대표 신기남·이주영 의원)은 "우리의 도서관 인프라가 너무 부족하고 투자도 인색하며 특히 도서관 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적 안목과 의지가 박약하다"며 "선진국이기 때문에 도서관이 많은 것이 아니라, 도서관이 많아야 선진국"이라고 강조하며 관련법의 제·개정 등을 통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발전을 이끌겠다고 선언했다.
포럼에 참여 의사를 밝힌 국회의원은 모두 48명(상단표 참조)으로, 여야를 막론하고 "지식과 정보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는 도서관은 이미 선진 각국에서 글로벌 경쟁시대를 헤쳐 나갈 창의력 있는 인재 양성의 산실로 자리 잡아가는 추세"라며 "도서관이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열쇠"라고 강조했다.
◆왜 도서관인가? = 포럼이 주목하는 것은 바로 도서관의 가치다. '2012년 한국도서관연감'에 따르면 지난 2011년 한 해 도서관을 이용한 국민은 4억3200만여명이었다. 우리 국민이 가장 많이 찾는 공공서비스 기관이 바로 도서관인 것이다. 게다가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지난 2010년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수행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가치 측정 연구'에 따르면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투입산출지표(ROI) 값이 3.6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말은 공공도서관에 1000원의 예산을 투입할 경우 3660원의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낸다는 뜻이다. 2010년 투입된 공공도서관 총예산 6100억원은 약 2조200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냈다고 볼 수 있다.
포럼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과 정보는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발전 동력이며, 그 역할을 담당하는 가장 대표적 기관이 바로 도서관"이라며 "특히 최근 우리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조기퇴직, 청년실업률의 증가, 고령화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도서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 도서관의 현재는? = 도서관의 막중한 역할과 달리 우리의 도서관 인프라는 아직 기대에 못 미친다는 게 포럼의 냉정한 진단이며 포럼이 발족한 근본 이유이기도 하다. 경제 규모는 선진국 수준이지만 공공도서관 수와 소장 도서 규모, 자료구입 예산, 전문 인력 등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중 하위권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하단표 참조).
더구나 공공도서관의 사서 1인당 봉사대상 인구수는 1만5281명으로, 세계도서관협회연맹 권장 기준인 인구 2500명당 상근직원 1명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공공도서관뿐만이 아니다. 학교도서관의 경우 전국 1만1506개 학교도서관 가운데 사서(교사) 자격을 소지한 전공자가 있는 곳은 4823곳(41.9%)에 불과하다.
행정체계의 이원화로 인한 역기능도 문제다. 정부차원의 도서관 관련 정책은 문체부가, 지역의 공공도서관은 지자체·교육청이, 대학·학교도서관은 교육부가 담당하는 등 체계가 복잡하다.
포럼은 "특히 지역민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의 경우 다른 선진국과는 달리 지자체와 교육청으로 이원화돼 있어 혼선과 역기능을 초래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렇게 바꾼다" = 30일 오후 2시 창립기념 포럼 개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는 포럼은 △연구활동 △입법·정책활동 △교류·협력활동 등 세 가지를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다. 우선 정기적인 도서관문화발전 포럼을 열어 도서관의 현안을 진단하고 대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또 선진국 수준의 공공도서관 인프라를 구축, 서비스를 향상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포럼은 "현재 매년 50~60곳씩 확충되고 있는 공공도서관으로는 도서관 수요를 충당할 수 없다는 판단에 내년부터 최소 100관 이상씩 도서관을 지을 수 있도록 정부에 촉구하고, 관련 예산이 반영되도록 적극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나 지자체뿐만 아니라 주요 기업에서 지역 연고지에 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복안도 내비쳤다. 예를 들어 부산에 STX도서관, 수원에 SK도서관, 이천에 현대도서관 등이 건립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포럼은 "기업의 이윤으로 연고지역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1사 1도서관 후원' 등 분위기를 조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도서관법, 학교도서관진흥법, 작은도서관진흥법 등 나열식으로 돼 있는 도서관 관련법 체계를 바꿔 '도서관법'이 기본법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개정작업에도 착수할 방침이다. 포럼은 "도서관 관련법의 세분화는 선진국에서도 볼 수 있는 일반적 현상이지만, 단순 나열식으로는 도서관 발전을 위한 통일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도서관법"이 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면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입법기관인 국회의원들이 공공도서관 발전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오는 30일 공식 출범하는 '도서관문화발전국회포럼'(공동대표 신기남·이주영 의원)은 "우리의 도서관 인프라가 너무 부족하고 투자도 인색하며 특히 도서관 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적 안목과 의지가 박약하다"며 "선진국이기 때문에 도서관이 많은 것이 아니라, 도서관이 많아야 선진국"이라고 강조하며 관련법의 제·개정 등을 통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발전을 이끌겠다고 선언했다.
포럼에 참여 의사를 밝힌 국회의원은 모두 48명(상단표 참조)으로, 여야를 막론하고 "지식과 정보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는 도서관은 이미 선진 각국에서 글로벌 경쟁시대를 헤쳐 나갈 창의력 있는 인재 양성의 산실로 자리 잡아가는 추세"라며 "도서관이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열쇠"라고 강조했다.

포럼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과 정보는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발전 동력이며, 그 역할을 담당하는 가장 대표적 기관이 바로 도서관"이라며 "특히 최근 우리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조기퇴직, 청년실업률의 증가, 고령화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도서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 도서관의 현재는? = 도서관의 막중한 역할과 달리 우리의 도서관 인프라는 아직 기대에 못 미친다는 게 포럼의 냉정한 진단이며 포럼이 발족한 근본 이유이기도 하다. 경제 규모는 선진국 수준이지만 공공도서관 수와 소장 도서 규모, 자료구입 예산, 전문 인력 등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중 하위권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하단표 참조).
더구나 공공도서관의 사서 1인당 봉사대상 인구수는 1만5281명으로, 세계도서관협회연맹 권장 기준인 인구 2500명당 상근직원 1명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공공도서관뿐만이 아니다. 학교도서관의 경우 전국 1만1506개 학교도서관 가운데 사서(교사) 자격을 소지한 전공자가 있는 곳은 4823곳(41.9%)에 불과하다.
행정체계의 이원화로 인한 역기능도 문제다. 정부차원의 도서관 관련 정책은 문체부가, 지역의 공공도서관은 지자체·교육청이, 대학·학교도서관은 교육부가 담당하는 등 체계가 복잡하다.
포럼은 "특히 지역민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의 경우 다른 선진국과는 달리 지자체와 교육청으로 이원화돼 있어 혼선과 역기능을 초래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렇게 바꾼다" = 30일 오후 2시 창립기념 포럼 개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는 포럼은 △연구활동 △입법·정책활동 △교류·협력활동 등 세 가지를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다. 우선 정기적인 도서관문화발전 포럼을 열어 도서관의 현안을 진단하고 대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또 선진국 수준의 공공도서관 인프라를 구축, 서비스를 향상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포럼은 "현재 매년 50~60곳씩 확충되고 있는 공공도서관으로는 도서관 수요를 충당할 수 없다는 판단에 내년부터 최소 100관 이상씩 도서관을 지을 수 있도록 정부에 촉구하고, 관련 예산이 반영되도록 적극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나 지자체뿐만 아니라 주요 기업에서 지역 연고지에 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복안도 내비쳤다. 예를 들어 부산에 STX도서관, 수원에 SK도서관, 이천에 현대도서관 등이 건립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포럼은 "기업의 이윤으로 연고지역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1사 1도서관 후원' 등 분위기를 조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도서관법, 학교도서관진흥법, 작은도서관진흥법 등 나열식으로 돼 있는 도서관 관련법 체계를 바꿔 '도서관법'이 기본법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개정작업에도 착수할 방침이다. 포럼은 "도서관 관련법의 세분화는 선진국에서도 볼 수 있는 일반적 현상이지만, 단순 나열식으로는 도서관 발전을 위한 통일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도서관법"이 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면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