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서울대에서 필즈상 수상자의 강연 중에 한 학생이 어릴 때 어떻게 영재교육을 받았는가를 질문했다. 그러자 그 수상자는 그냥 시골에서 흙장난 하고 놀았다는 답변으로 응수하였다. 실제 창의성을 연구하는 학자들에 의하면 도시보다 시골이 더 창의성을 키우기 좋다고 알려져 있다. 시골의 환경은 정적이기 때문에 입력되는 정보량이 적어서 스스로 사고의 유연성이 생기기 좋은 환경인데 반해 도시는 동적인 환경이라 쏟아져 들어오는 정보량이 과포화 상태라 이들을 처리하는데 머리를 쓰기 때문에 사고의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실제 영재 아이들은 작은 지식의 파편이나 지적 자극에 대해 스스로 파장이 일어나는 잔잔한 호숫가와 같다면 대부분의 도시 아이들의 머리는 그 어떤 자극에도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 얼어붙은 호숫가와도 같다. 즉, 부모나 교사들은 무언가를 쏟아 부우면 뭔가 뇌에서 반응이 일어나기를 기대하지만 실제 대부분의 아이들 머리에서는 놀랍게도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음수끼리 곱하면 항상 양수가 된다는 사실에 대해 얼어붙은 머리를 가진 아이들은 아무런 의문도 회의도 없이 문자적으로만 지식을 받아들인다. 더 황당한 것은 그 원리에 대한 설명조차도 아이들은 문자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언가를 가르쳐서 발전할 거라는 기대나 지금과 같은 시험위주와 문제풀이식의 교육을 통해 얼어붙은 아이들의 뇌를 일깨워 줄 거라는 기대는 일찌감치 접는 것이 현명하다. 이미 많은 논문이나 임상을 통해서 지금과 같은 말로만 창의교육이지 사실상의 공장식 교육으로는 현재 국가가 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들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그럼에도 학부모 모임에 가보면 여전히 누가 몇 점을 받았더라는 것이 최대의 화두이고 성적이 좋지 못한 자녀를 둔 학부모는 그냥 조용히 열 받는 상태로 모임을 마치게 된다. 결국 그 화살은 얼어붙은 호숫가의 상태인 자녀들에게 정보들을 주입하는 교육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되고 저학년 때는 일시적으로 성적이 나오는 듯한 위약효과까지 주기 때문에 당장은 안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실패라는 것을 깨닫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는다. 막상 실패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는 더 이상 답도 없다는 것도 함께 깨닫는다.
그리고 이 현실을 이제 학부모들도 인식하고 있고 대안적인 교육도 모색해보지만 결국 또 입시와 진로 앞에서 좌절하고 마는 것이다. 그렇다면 진정한 대안은 없는 것일까?
대안은 있다. 얼어붙은 호숫가와 같은 아이들의 머리를 일깨우기 위해서는 시간과 정지된 풍경 마지막으로 훌륭한 교사가 필요한 것이다.
박왕근 교장
폴수학학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