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통합기준 필요 … 문화재 경비인력 호칭개선 건의도
서울시의회는 만 20세 이상 시민 399명을 의정모니터 요원으로 위촉하고 의정 발전과 선진 의회 구현, 시·의회 행정 중 개선점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다. 내일신문은 시민들 우수 제안을 매달 게재하고 있다.
영유아가 각종 대중시설을 이용할 때 나이와 요금 등 기준이 달라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문화재 경비인력 호칭도 인격을 고려, 개선해야 한다는 시민 의견도 있다. 서울시의회 의정모니터 심사위원회는 8월 시민들 제안 59건 가운데 5건을 최우수 의견으로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권선녀(54·동대문구 장안2동)씨는 보건복지위원회에 업종별 영유아 요금기준 마련을 요구했다. 뷔페식당이나 찜질방 등을 이용할 때 같은 업종인데도 업소마다 영유아 나이와 요금기준을 달리 적용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는 "같은 목욕탕이라도 36개월 미만은 요금을 받지 않는 곳이 있는가 하면 12개월부터 어린이로 취급해 어른요금 반값을 받기도 한다"며 "성인 요금이 7000원인 목욕탕도 어느 곳은 돌부터 6000원을 받고 다른 곳은 7개월 영아도 3000원을 받는다"고 전했다.
권씨가 생각한 해법은 업종별 영유아 기준 마련. 설문조사 등을 통해 업소별로 들쭉날쭉인 기준을 통합하자는 의견이다. 그는 "영유아를 동반한 소비자가 불편함과 난처함을 느낄 뿐더러 시비가 생기기도 한다"며 "(기준이 통일되면) 돈을 받는 업주나 돈을 내는 소비자 모두 유쾌한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육준석(63·강남구 수서동)씨는 서울시 문화재 경비인력 호칭을 바꾸자고 건의했다. 문화재 안내와 관리, 문화재 보호시설 이상유무 확인 등 역할이나 기여도가 큰데 경비라는 호칭으로 불려 폄훼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육씨는 스스로가 자긍심을 갖고 관람객 인식을 바꾸는 차원에서 호칭 개선이 필요하다며 문화재관리사나 문화재지킴이를 제안했다.
이연숙(48·강서구 우장산동)씨는 가로등 고유번호판을 야광으로 교체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위급상황이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눈에 띄는 지형지물이 없을 경우 가로등에 적힌 도로명과 고유번호 관리번호로 신고를 하게 되는데 가로등이 고장나 확인이 어렵다는 것. 그는 "야광번호판이라면 사고나 돌발상황때 현장위치 파악이 쉽고 위기대응도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우(64·양천구 목5동)·이철호(39·노원구 중계4동)씨는 장애인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각각 장애인화장실에 한손으로 잘라 쓸 수 있는 자동 절단형 화장지를 도입하고 취약 장애인가구에 방범서비스를 지원하자는 의견이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의회는 만 20세 이상 시민 399명을 의정모니터 요원으로 위촉하고 의정 발전과 선진 의회 구현, 시·의회 행정 중 개선점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다. 내일신문은 시민들 우수 제안을 매달 게재하고 있다.
영유아가 각종 대중시설을 이용할 때 나이와 요금 등 기준이 달라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문화재 경비인력 호칭도 인격을 고려, 개선해야 한다는 시민 의견도 있다. 서울시의회 의정모니터 심사위원회는 8월 시민들 제안 59건 가운데 5건을 최우수 의견으로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권선녀(54·동대문구 장안2동)씨는 보건복지위원회에 업종별 영유아 요금기준 마련을 요구했다. 뷔페식당이나 찜질방 등을 이용할 때 같은 업종인데도 업소마다 영유아 나이와 요금기준을 달리 적용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는 "같은 목욕탕이라도 36개월 미만은 요금을 받지 않는 곳이 있는가 하면 12개월부터 어린이로 취급해 어른요금 반값을 받기도 한다"며 "성인 요금이 7000원인 목욕탕도 어느 곳은 돌부터 6000원을 받고 다른 곳은 7개월 영아도 3000원을 받는다"고 전했다.
권씨가 생각한 해법은 업종별 영유아 기준 마련. 설문조사 등을 통해 업소별로 들쭉날쭉인 기준을 통합하자는 의견이다. 그는 "영유아를 동반한 소비자가 불편함과 난처함을 느낄 뿐더러 시비가 생기기도 한다"며 "(기준이 통일되면) 돈을 받는 업주나 돈을 내는 소비자 모두 유쾌한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육준석(63·강남구 수서동)씨는 서울시 문화재 경비인력 호칭을 바꾸자고 건의했다. 문화재 안내와 관리, 문화재 보호시설 이상유무 확인 등 역할이나 기여도가 큰데 경비라는 호칭으로 불려 폄훼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육씨는 스스로가 자긍심을 갖고 관람객 인식을 바꾸는 차원에서 호칭 개선이 필요하다며 문화재관리사나 문화재지킴이를 제안했다.
이연숙(48·강서구 우장산동)씨는 가로등 고유번호판을 야광으로 교체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위급상황이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눈에 띄는 지형지물이 없을 경우 가로등에 적힌 도로명과 고유번호 관리번호로 신고를 하게 되는데 가로등이 고장나 확인이 어렵다는 것. 그는 "야광번호판이라면 사고나 돌발상황때 현장위치 파악이 쉽고 위기대응도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우(64·양천구 목5동)·이철호(39·노원구 중계4동)씨는 장애인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각각 장애인화장실에 한손으로 잘라 쓸 수 있는 자동 절단형 화장지를 도입하고 취약 장애인가구에 방범서비스를 지원하자는 의견이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