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립미술관에서는 11월 3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5,6 전시실에서 광주,전남 사진의 토대를 이룬 작고작가 및 원로작가들을 중심으로 지역 사진계를 살펴보는 전시 ‘순백의 기록’을 마련한다.
이번 전시는 지역의 공립미술관으로서 광주,전남 사진사에 대한 조명을 이루어내야 한다는 의지의 시작이다.
작고한 김홍인, 송진화, 신복진, 오종태, 이경모, 이진권, 최병오를 비롯해서 강봉규, 나경택, 문병오, 박종길, 박하선, 오상조, 장기철, 정영욱, 차일헌 등 광주·전남 사진 발전을 위해 열정을 바친 작가 16명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기회이다.
특히 작고한 김홍인, 송진화, 오종태가 50~ 60년대에 제작한 작품들이나 이경모가 종군기자 시절 사용했던 카메라, 오지호 화백이 제자인 최병오의 첫 개인전에 보낸 친필 서한 등 귀한 자료들도 함께 전시 된다.
또한 사진의 ‘기록예술로서의 가치’를 최고로 여겼던 작고작가들이 찍은 광주·전남의 거리 풍경과 당시의 세태를 짐작케 하는 ‘만원 버스’ ‘인기 스타 촬영 대회’ ‘땔감 하는 사람들’ 등의 자료사진으로 만든 아카이브 공간은 관람객을 ‘과거로의 여행’을 떠나게 한다.
그리고, 예술의 길을 활짝 열어가는 강봉규, 오상조, 박하선은 수십 년 천착해 온 화두에 대해 인상 깊은 작품으로 풀어 놓고 있으며, 신복진·나경택은 한 컷의 보도사진으로 현장의 진실을 알리는데 뛰어났음을 느끼게 한다.
문병오, 박종길, 장기철, 정영욱, 차일헌의 70년대 작품들은 사진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 녹아 들어간 작품들이다.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 지난 시대가 지녔던 이상과 가치를 환기시키고 있다.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현재 우리 지역에서도 사진 인구층이 광범위 할 뿐만 아니라, 미술계 역시 사진예술 분야의 작가층이 두터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다른 예술분야와 달리 사진예술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연구와 조명이 없었다.
그러므로 나날이 비중이 커져가고 있는 사진예술이 우리 지역에서 어떤 모습으로 시작이 되었으며, 어떤 선구적인 작가들의 노력과 활동이 있었는지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열리게 된 ‘순백의 기록’전시는 광주·전남 사진계 연구를 한 층 앞당기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