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논점 1
개별형 사이트에서 참여자들이 독자적으로 판단해 곡을 다운로드한 횟수가 미공개
신곡들의 질을 반영한다는 가정 아래 제시문(라)의 실험결과를 해석하라.
먼저 그림1을 보면 개별형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곡일수록 5개 점들간의 간격이 더 벌어지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개별형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곡일수록 집단형 사이트에서의 사이트마다의 다운로드 수 간의 편차가 크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그림2를 보면 곡1이나 곡10의 ■는 5개의 점들이 한 곳에 겹쳐 있음을 나타내므로 개별형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횟수 순위가 중위권일 때보다 최상위와 최하위일 때 집단형 사이트에서의 순위를 표시하는 점들이 더 일치하는 양상을 발견해 낼 수 있다. 다만 이를 그림 1과 연계해 볼 때 다운로드 수 자체에 있어서는 개별형 사이트에서 뚜렷하게 수용이 허락되거나 거부된 곡일수록 개별형 사이트에서의 다운로드 수보다 집단형 사이트에서의 다운로드 수가 가중되게 나타나는 양상을 짚어볼 수 있다.
② 논점 2
이를 바탕으로 제시문 (가)의 주장을 평가하시오.
일단 (가)의 주장에서 구성원들의 선호의 획일성 여부가 새로움의 부각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측면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겠다. 가령 그림1에서 개별형 사이트에서 뚜렷하게 수용되거나 거부된 곡일수록 개별형 사이트에서의 다운로드 수보다 집단형 사이트에서의 다운로드 수가 가중되게 나타나는 양상은 새로움이 부각되는 과정에서 집단 성원간의 획일성 여부가 일정 부분 작동함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는 구성원들의 선호의 획일성 여부가 새로움의 부각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측면의 허점도 발견할 수 있다. 가령 그림1과 그림2 모두에서 점들이 대체로 가로축과 세로축 값 간의 양의 상관관계로 분포돼 있다는 점은 선호하는 곡들의 다운로드 수나 순위에 있어서 집단형 사이트에서의 양상이 개별형 사이트에서의 양상과 일치하는 면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그림1을 보면 개별형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곡일수록 집단형 사이트에서의 사이트마다의 다운로드 수 간의 편차가 크다는 점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획일성을 띤 사회에서는 새로움을 수용하는 측면보다는 거부하는 측면에서 오히려 획일성이 강하게 작동한다는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를 토대로 천편일률적인 성향을 띠는 낮은 수준의 사회에서는 새로움이 부각되기 쉽다는 주장의 허점을 지적해 볼 수도 있겠다.
문의 02-562-2211
논술의 정답
정원석 원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