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초고속인터넷 가입 가구가 10월 25일 현재 300만을 넘어섰다.
정보통신부는 1일 이처럼 밝히고 올해 말 350만명을 쉽게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대부분 가정이고, 한 가구당 2명 이상이 이용할 경우 600만명 이상이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또 이는 전체 인터넷 이용자 1600만명의 37.5%에 해당되는 수치이다.
접속 방식별로는 ADSL 가입자가 147만명을 넘어섰고,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한 구내 LAN방식의 인터넷 가입자도 52만명에 이른다. 아파트 구내 LAN방식의 인터넷은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서비스한 방식으로 사용 기기의 상당 부분이 국산 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월 사용료가 다소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정통부에 따르면 초고속인터넷 가입 대기 가구가 한때 최고 100만 이상(적체율 55%)되던 것이 현재는 어느 정도 해소돼 1주일 내에 가설되고 있다.
정통부는 초고속인터넷의 급증에 대해 정부의 통신망 고도화 정책과 통신시장의 경쟁체제 도입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95년부터 초고속 정보통신 구축계획을 수립, 통신망 고도화 정책을 추진해 왔다. 이와 함께 통신서비스 수요 유발을 위한 각종 정보화사업을 함께 추진했다. 시장 원리에 따라 통신사업자들간 광, ADSL, CATV 및 위성망, 구내LAN망 등 다양한 기술들이 경쟁적으로 보급되면서 초기 시장가격이 낮아진 것도 가입자 증가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300만 이상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가 확보되면서 멀티미디어를 통한 인터넷교육이나 전자상거래 등 인터넷기반의 신 산업 활성화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일본과 독일 등의 인터넷사업자들은 한국의 대형사이트들이 갖고 있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통한 노하우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경험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들은 우리나라 업체와의 협력 등을 통해 경험을 전수받거나 한국 시장에 진출하여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환경에서의 인터넷 사업 경험을 축적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300만 가구 초고속인터넷 시대에 맞게 웹캐스팅, VOD, 원격교육 등 새로운 콘텐츠 개발과 관련 산업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월별 고속="" 인터넷="" 가입자="" 증가="" 현황(단위:천명)="">
구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가입수 874 1,125 1,574 1,871 2,207 2,626 3,008
상승률% - 28.6 39.9 18.9 18.0 19.0 14.6
※자료제공-정통부
고속인터넷 가입자 현황(단위:명)
서비스 업체 속도 실가입자수 예약가입자수
한국통신 256K~8M 877,823 221,678
ADSL 하나로통신 256K∼8M 511,558 56,261
드림라인 256K∼8M 83,405 8,390
LAN 한국통신B&A 512K∼2M 343,418 14,911
기타 사업자 1.5M∼10M 176,200 68,500
CATV 두루넷 256K∼10M 621,697 59,759
하나로통신 256K∼10M 284,492 91,003
드림라인 256K∼10M 55,604 5,594
데이콤 256K∼3M 32,371 6,105
위성 한국통신 1M 7,919개ID -
삼성SDS 200∼400K 8,400개ID -
B-WLL 한통·하나로 2M 5,172명 1,595
계 3,008,095 533,796
월별>
정보통신부는 1일 이처럼 밝히고 올해 말 350만명을 쉽게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대부분 가정이고, 한 가구당 2명 이상이 이용할 경우 600만명 이상이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또 이는 전체 인터넷 이용자 1600만명의 37.5%에 해당되는 수치이다.
접속 방식별로는 ADSL 가입자가 147만명을 넘어섰고,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한 구내 LAN방식의 인터넷 가입자도 52만명에 이른다. 아파트 구내 LAN방식의 인터넷은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서비스한 방식으로 사용 기기의 상당 부분이 국산 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월 사용료가 다소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정통부에 따르면 초고속인터넷 가입 대기 가구가 한때 최고 100만 이상(적체율 55%)되던 것이 현재는 어느 정도 해소돼 1주일 내에 가설되고 있다.
정통부는 초고속인터넷의 급증에 대해 정부의 통신망 고도화 정책과 통신시장의 경쟁체제 도입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95년부터 초고속 정보통신 구축계획을 수립, 통신망 고도화 정책을 추진해 왔다. 이와 함께 통신서비스 수요 유발을 위한 각종 정보화사업을 함께 추진했다. 시장 원리에 따라 통신사업자들간 광, ADSL, CATV 및 위성망, 구내LAN망 등 다양한 기술들이 경쟁적으로 보급되면서 초기 시장가격이 낮아진 것도 가입자 증가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300만 이상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가 확보되면서 멀티미디어를 통한 인터넷교육이나 전자상거래 등 인터넷기반의 신 산업 활성화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일본과 독일 등의 인터넷사업자들은 한국의 대형사이트들이 갖고 있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통한 노하우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경험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들은 우리나라 업체와의 협력 등을 통해 경험을 전수받거나 한국 시장에 진출하여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환경에서의 인터넷 사업 경험을 축적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300만 가구 초고속인터넷 시대에 맞게 웹캐스팅, VOD, 원격교육 등 새로운 콘텐츠 개발과 관련 산업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월별 고속="" 인터넷="" 가입자="" 증가="" 현황(단위:천명)="">
구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가입수 874 1,125 1,574 1,871 2,207 2,626 3,008
상승률% - 28.6 39.9 18.9 18.0 19.0 14.6
※자료제공-정통부
고속인터넷 가입자 현황(단위:명)
서비스 업체 속도 실가입자수 예약가입자수
한국통신 256K~8M 877,823 221,678
ADSL 하나로통신 256K∼8M 511,558 56,261
드림라인 256K∼8M 83,405 8,390
LAN 한국통신B&A 512K∼2M 343,418 14,911
기타 사업자 1.5M∼10M 176,200 68,500
CATV 두루넷 256K∼10M 621,697 59,759
하나로통신 256K∼10M 284,492 91,003
드림라인 256K∼10M 55,604 5,594
데이콤 256K∼3M 32,371 6,105
위성 한국통신 1M 7,919개ID -
삼성SDS 200∼400K 8,400개ID -
B-WLL 한통·하나로 2M 5,172명 1,595
계 3,008,095 533,796
월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