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는 특별하다. 전 세계를 감동의 물결에 빠트린 이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가 아니라 볼리우드에서 만든 영화라는 것이 충격적이고, 힌두교가 많은 인도에서 무슬림인 칸이 주인공이라는 게 놀랍다. 더구나 미국인에게는 너무나 민감한 사안인 9.11 사태를 다루면서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주인공을 앞장세운 것이 특별하다. 너무 작은 오해로 시작된 엄청난 고통과 비극, 그리고 묵묵히 견디어 내는 순수한 장애 청년의 고단한 인생 이야기가 우리 모두의 삶을 뒤돌아보게 한다. ?
''칸''이라는 무슬림 이름만으로 테러리스트가 되는 세상
영화는 칸이 공항에서 몸수색을 당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주인공을 맡은 이는 인도의 국민 배우 샤룩 칸. 칸은 무슬림에서 우리의 성(姓) ''김씨''와 같다. 무슬림을 대표하는 성인 칸. 그는 9.11 테러이후 그 ''칸''이라는 성 때문에 억울하게 몸수색을 당하고, 아들을 잃고, 사랑하는 아내도 그를 떠나게 된다. 그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너무나도 순수한 사람이며, 종교와 피부색과, 민족의 구분 없이 세상 사람을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으로만 구분해 사는 지극히 상식적인 사람이었다. 그는 어떤 상황에서도 성을 버리지 않고 종교 또한 감추지 않는다. 가족도 외면하지 않는다. 하지만 세상은 그에게 손가락질을 한다. 단지 무슬림이라는 이유로, ''칸''이라는 성을 쓴다는 이유로 테러리스트라 명명한다.
그런데, 칸이 겪는 어려움을 보면서 자문해 보지 않을 수 없다. 편견과 오만 없이 세상의 단순한 진리를 제대로 실천하고 있었나 하는 생각. 피부색으로, 혹은 종교와 빈부 차이로, 아니면 지역 차이를 핑계로 세상 사람들을 가르며 살아온 것은 아닌가. 그 중에 칸처럼 억울해하고 답답해하는 사람들을 만난 적은 없었을까. 우린 칸이기도 하고, 동시에 또 다른 칸을 규정짓는 무서운 선입견을 지닌 존재이다. ? ? ?
변해야 하는 것은 칸이 아니라 세상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궁금했다. 왜 자폐증을 앓고 있는 칸을 주인공으로 삼았을까. 순수한 집념을 그리고 싶은 감독의 마음이 주인공 칸에게 아스퍼거 증후군을 주진 않았을까. 보통 사람들은 몇 번의 오해와 편견의 벽에 부딪히면 결국 현실과 타협을 하고 만다. 우리들이라면 9.11 사태 이후 미국인들 앞에서 무슬림 종교의식을 고집스럽게 강행할 수 있을까. 같이 기도를 드리던 무슬림 사원에서 위험한 종교적 리더를 테러리스트로 신고할 수 있을까. 그가 장애를 가진 사람이었기에 자신의 믿음을 고집할 수 있었고, 그런 그의 모습이 우리의 가슴에 감동 보다 더 큰 울림으로 전해졌던 것이리라. ?
비록 장애를 가졌지만 누구보다 진솔하고, 누구보다 가식적이지 않은 칸. 그의 고통은 아직 차례가 돌아오지 않은 우리의 고통일지도 모른다. 편견으로 가득 찬 이 세상의 잣대가 바뀌지 않은 한 우리가, 혹은 우리의 아이가 언제 ''칸''이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칸은 헐리우드의 포레스트 검프와 닮았다.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그가 갑자기 수해지역으로 봉사를 하러가는 장면은 좀 어색하기도 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칸의 순수와 집념에 박수를 보낼 수밖에 없다. 행복을 위해서 우리는 ''칸''만큼 노력한 적이 있었던가? 세상의 눈높이에선 많이 부족할지 모르지만 칸은 위대하다. 사랑하는 가족의 행복을 위해 그는 스스로를 던질 줄 아는 사람이다.
이지혜 리포터 angus70@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칸''이라는 무슬림 이름만으로 테러리스트가 되는 세상
영화는 칸이 공항에서 몸수색을 당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주인공을 맡은 이는 인도의 국민 배우 샤룩 칸. 칸은 무슬림에서 우리의 성(姓) ''김씨''와 같다. 무슬림을 대표하는 성인 칸. 그는 9.11 테러이후 그 ''칸''이라는 성 때문에 억울하게 몸수색을 당하고, 아들을 잃고, 사랑하는 아내도 그를 떠나게 된다. 그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너무나도 순수한 사람이며, 종교와 피부색과, 민족의 구분 없이 세상 사람을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으로만 구분해 사는 지극히 상식적인 사람이었다. 그는 어떤 상황에서도 성을 버리지 않고 종교 또한 감추지 않는다. 가족도 외면하지 않는다. 하지만 세상은 그에게 손가락질을 한다. 단지 무슬림이라는 이유로, ''칸''이라는 성을 쓴다는 이유로 테러리스트라 명명한다.
그런데, 칸이 겪는 어려움을 보면서 자문해 보지 않을 수 없다. 편견과 오만 없이 세상의 단순한 진리를 제대로 실천하고 있었나 하는 생각. 피부색으로, 혹은 종교와 빈부 차이로, 아니면 지역 차이를 핑계로 세상 사람들을 가르며 살아온 것은 아닌가. 그 중에 칸처럼 억울해하고 답답해하는 사람들을 만난 적은 없었을까. 우린 칸이기도 하고, 동시에 또 다른 칸을 규정짓는 무서운 선입견을 지닌 존재이다. ? ? ?
변해야 하는 것은 칸이 아니라 세상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궁금했다. 왜 자폐증을 앓고 있는 칸을 주인공으로 삼았을까. 순수한 집념을 그리고 싶은 감독의 마음이 주인공 칸에게 아스퍼거 증후군을 주진 않았을까. 보통 사람들은 몇 번의 오해와 편견의 벽에 부딪히면 결국 현실과 타협을 하고 만다. 우리들이라면 9.11 사태 이후 미국인들 앞에서 무슬림 종교의식을 고집스럽게 강행할 수 있을까. 같이 기도를 드리던 무슬림 사원에서 위험한 종교적 리더를 테러리스트로 신고할 수 있을까. 그가 장애를 가진 사람이었기에 자신의 믿음을 고집할 수 있었고, 그런 그의 모습이 우리의 가슴에 감동 보다 더 큰 울림으로 전해졌던 것이리라. ?
비록 장애를 가졌지만 누구보다 진솔하고, 누구보다 가식적이지 않은 칸. 그의 고통은 아직 차례가 돌아오지 않은 우리의 고통일지도 모른다. 편견으로 가득 찬 이 세상의 잣대가 바뀌지 않은 한 우리가, 혹은 우리의 아이가 언제 ''칸''이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칸은 헐리우드의 포레스트 검프와 닮았다.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그가 갑자기 수해지역으로 봉사를 하러가는 장면은 좀 어색하기도 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칸의 순수와 집념에 박수를 보낼 수밖에 없다. 행복을 위해서 우리는 ''칸''만큼 노력한 적이 있었던가? 세상의 눈높이에선 많이 부족할지 모르지만 칸은 위대하다. 사랑하는 가족의 행복을 위해 그는 스스로를 던질 줄 아는 사람이다.
이지혜 리포터 angus70@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