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시론>불황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장명국 2001.09.03)
장명국 운영위원장
정치는 파국으로 치닫고 경제는 장기불황으로 진입하고 있다. 동서간의 갈등은 물론 계층간에도 대화가 단절되고 있다. 그로 인해 남북간의 대화물꼬도 지장을 받고 있다. 어찌 보면 총체적 위기라고 볼 수도 있다. 대외관계까지 원활하지 못하니 국민들은 모두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그중 경제적 어려움이 으뜸이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말이 있듯 경제가 제대로 가동되면 다른 문제는 단계적으로 고칠 수가 있지만 경제가 어려워지면 갈등과 대립은 더 심화되어 사회혼란을 더 자극함으로써 경제에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당연히 정치가 이를 해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제 정치권에 나라의 운명을 기대하는 국민은 거의 없다. 정치가 경제에 방해만 되지 않기를 기대할 뿐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1930년대 대공황을 극복한 것은 정부주도의 뉴딜정책이었다. 루스벨트 대통령의 지도력과 케인즈의 유효수요이론이 접목되어 공황을 극복해 미국은 강력한 경제대국이 되었다. 우리도 1930년대 미국의 경험을 토대로 서해안에 조력발전소를 만들어 에너지 비용을 낮추고 실업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하면서 토목건설업에 활력을 주는 정책을 쓸 수도 있다.
새천년 첫 경제불황 극복여부가 국가운명의 관건
그렇지만 지금 우리에게 보다 요구되는 시대적 과제는 시장경제를 뿌리내리면서 경제불황을 극복해야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보다는 민간기업이 불황을 극복하는 견인차 역할을 해야하며 불황과정 속에서 미래의 경제모델을 만들고 국민들에게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경제불황은 과잉생산을 조정하여 경쟁력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이다. 21세기는 자본 못지 않게 인적자원이 중요시 되는 시대이다. 그러므로 불황기에는 정부와 기업이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과감하게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불황은 장기화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시스템에 걸맞는 적극적인 자기개발을 하는 인적자원의 충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냥 돈을 지원하지 말고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 한 것처럼 제대군인 실업자들에게 대학에서 공부를 하면 비용을 대준 방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가장들에게 생계비를 지원한다면 육아교육을 마치고 보육원 교사가 되도록 지원하면 되지 않겠는가.
21세기는 자본과 권력에 예속된 월급쟁이의 철밥통 시대는 끝나고 인간이 직장과 사회의 주인 주체가 되는 새로운 시대이다. 그래서 이번 새 천년의 첫 불황을 극복하느냐의 가부가 매우 중요하다. 어떻게 극복하는가, 그 속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바뀌는가, 어떤 시스템으로 기업과 사회 나라가 만들어지는가라는 문제가 새 천년을 규정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북아의 대한민국을 생각한다면 동서간의 갈등, 남북간의 대립, 계층간의 차별, 여야의 쟁투 등은 20세기에 해결됐어야 할 과제이다. 급격히 다가오는 변화를 생각한다면 싸움은 할일 없는 사람들의 소일거리일 수도 있다.
민주개혁은 말많고 되는 것이 없는 정치권보다는 생존하지 않으면 밥을 먹을 수 없는 기업에서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경제 우리 기업들은 세계차원의 경제위기에 휩쓸려 붕괴될 수 밖에 없다.
IT에서 시작한 불황 타산업에 접목 생산성 높여 극복해야
1980년대 미국의 10년간의 불황 속에서 탄생한 사원지주제는 기업 속의 민주개혁의 모델이라 볼 수 있다. 사원이 주식을 가지고 있으니 민주이고 당연히 투명경영과 책임경영이 나올 수밖에 없으니 경제개혁이다. 물론 좌(左)쪽에서는 사원지주제는 우(右)이고 우(右)쪽에서는 좌라고 비난받았지만 장기불황 속에서는 이 방법밖에 생존할 수가 없어 지금은 미국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뿌리내리고 있다. 이번 불황 속에서 우리도 하루빨리 사원지주제를 통한 기업 경영의 모델을 각 산업 분야마다 만들어 확산시켜야 한다.
불황 아래서는 증시가 활성화되기 어렵고 시장에서 자본을 모으기도 어렵다. 그래서 사원들에 의한 증자는 더 빛을 발하게 된다.
이번 불황은 IT산업에서 시작되었다. IT산업을 타 산업에 적극적으로 접목시킨다면 IT의 수요는 늘어나 타 산업의 생산성을 높혀 불황이 도약의 기회를 마련할 수도 있다. 다만 기업의 외양은 성장했지만 내부구조가 변화하지 않아 기업 구성원들의 소득 즉 소비가 감소하는 것이 문제다.
반도체 가격 타령을 더이상 하지 말자. 외부여건 탓만 하지 말자. 생각을 확 바꿔보자. 주체적 관점을 갖고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신뢰를 쌓아 이번 기회에 시스템 변혁을 과감하게 하여 위기를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장명국 운영위원장
내일시론>
장명국 운영위원장
정치는 파국으로 치닫고 경제는 장기불황으로 진입하고 있다. 동서간의 갈등은 물론 계층간에도 대화가 단절되고 있다. 그로 인해 남북간의 대화물꼬도 지장을 받고 있다. 어찌 보면 총체적 위기라고 볼 수도 있다. 대외관계까지 원활하지 못하니 국민들은 모두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그중 경제적 어려움이 으뜸이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말이 있듯 경제가 제대로 가동되면 다른 문제는 단계적으로 고칠 수가 있지만 경제가 어려워지면 갈등과 대립은 더 심화되어 사회혼란을 더 자극함으로써 경제에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당연히 정치가 이를 해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제 정치권에 나라의 운명을 기대하는 국민은 거의 없다. 정치가 경제에 방해만 되지 않기를 기대할 뿐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1930년대 대공황을 극복한 것은 정부주도의 뉴딜정책이었다. 루스벨트 대통령의 지도력과 케인즈의 유효수요이론이 접목되어 공황을 극복해 미국은 강력한 경제대국이 되었다. 우리도 1930년대 미국의 경험을 토대로 서해안에 조력발전소를 만들어 에너지 비용을 낮추고 실업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하면서 토목건설업에 활력을 주는 정책을 쓸 수도 있다.
새천년 첫 경제불황 극복여부가 국가운명의 관건
그렇지만 지금 우리에게 보다 요구되는 시대적 과제는 시장경제를 뿌리내리면서 경제불황을 극복해야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보다는 민간기업이 불황을 극복하는 견인차 역할을 해야하며 불황과정 속에서 미래의 경제모델을 만들고 국민들에게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경제불황은 과잉생산을 조정하여 경쟁력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이다. 21세기는 자본 못지 않게 인적자원이 중요시 되는 시대이다. 그러므로 불황기에는 정부와 기업이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과감하게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불황은 장기화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시스템에 걸맞는 적극적인 자기개발을 하는 인적자원의 충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냥 돈을 지원하지 말고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 한 것처럼 제대군인 실업자들에게 대학에서 공부를 하면 비용을 대준 방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가장들에게 생계비를 지원한다면 육아교육을 마치고 보육원 교사가 되도록 지원하면 되지 않겠는가.
21세기는 자본과 권력에 예속된 월급쟁이의 철밥통 시대는 끝나고 인간이 직장과 사회의 주인 주체가 되는 새로운 시대이다. 그래서 이번 새 천년의 첫 불황을 극복하느냐의 가부가 매우 중요하다. 어떻게 극복하는가, 그 속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바뀌는가, 어떤 시스템으로 기업과 사회 나라가 만들어지는가라는 문제가 새 천년을 규정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북아의 대한민국을 생각한다면 동서간의 갈등, 남북간의 대립, 계층간의 차별, 여야의 쟁투 등은 20세기에 해결됐어야 할 과제이다. 급격히 다가오는 변화를 생각한다면 싸움은 할일 없는 사람들의 소일거리일 수도 있다.
민주개혁은 말많고 되는 것이 없는 정치권보다는 생존하지 않으면 밥을 먹을 수 없는 기업에서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경제 우리 기업들은 세계차원의 경제위기에 휩쓸려 붕괴될 수 밖에 없다.
IT에서 시작한 불황 타산업에 접목 생산성 높여 극복해야
1980년대 미국의 10년간의 불황 속에서 탄생한 사원지주제는 기업 속의 민주개혁의 모델이라 볼 수 있다. 사원이 주식을 가지고 있으니 민주이고 당연히 투명경영과 책임경영이 나올 수밖에 없으니 경제개혁이다. 물론 좌(左)쪽에서는 사원지주제는 우(右)이고 우(右)쪽에서는 좌라고 비난받았지만 장기불황 속에서는 이 방법밖에 생존할 수가 없어 지금은 미국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뿌리내리고 있다. 이번 불황 속에서 우리도 하루빨리 사원지주제를 통한 기업 경영의 모델을 각 산업 분야마다 만들어 확산시켜야 한다.
불황 아래서는 증시가 활성화되기 어렵고 시장에서 자본을 모으기도 어렵다. 그래서 사원들에 의한 증자는 더 빛을 발하게 된다.
이번 불황은 IT산업에서 시작되었다. IT산업을 타 산업에 적극적으로 접목시킨다면 IT의 수요는 늘어나 타 산업의 생산성을 높혀 불황이 도약의 기회를 마련할 수도 있다. 다만 기업의 외양은 성장했지만 내부구조가 변화하지 않아 기업 구성원들의 소득 즉 소비가 감소하는 것이 문제다.
반도체 가격 타령을 더이상 하지 말자. 외부여건 탓만 하지 말자. 생각을 확 바꿔보자. 주체적 관점을 갖고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신뢰를 쌓아 이번 기회에 시스템 변혁을 과감하게 하여 위기를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장명국 운영위원장
내일시론>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