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운 원장
소웅최면상담
(02)518-3270
www.mind-control.co.kr
다들 아시다시피 이 그림은 동화 ‘아기곰 푸우’의 주인공 ‘푸우’다. 이 푸우를 가지고 간단한 실험을 한 번 해보자.
1. 3초 동안 푸우를 바라보고 눈을 감는다.
2. 10초 동안 눈을 감은 상태에서 푸우를 생각하지 않는다.
성공한 사람이 있는가? 만일 가능한 사람이 있다면 그는 마인드컨트롤의 달인이거나 높은 도를 깨친 현자라고 봐야한다. 평범한 사람이라면 ‘푸우를 생각하지 말아야지’, ‘푸우를 생각하지 말아야지’, ‘푸우를 생각하지 말아야지’라고 마음속으로 반복해서 다짐하면 다짐할수록 오히려 마음속에서 푸우의 이미지가 뚜렷해지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특정한 이미지나 사물을 생각하지 않으려 하면 오히려 그 이미지는 머릿속에서 더욱 강해진다. 그러다보니 좋아하든 싫어하든 사랑하든 미워하든 상관없이 자주 접하고 반복되는 이미지가 있으면 사람의 잠재의식은 그쪽으로 끌려간다. 매일같이 반복되는 광고를 보면서 필요도 없는 물건을 구입해 본 경험이 있는 분이라면 이 말을 이해할 것이다.
실제 상황으로 들어가서, 우리 아이가 게임에 심하게 몰입하느라 공부도 운동도 안하고 저녁 내내 컴퓨터 앞에만 붙어있는 상황을 상상해 보자. 어머니는 화가 몹시 나서 매일 큰 소리로 야단을 친다.
“게임 좀 그만 해!”
자, 이 상황에서 게임을 하지 말라는 반복적인 자극은 아이의 잠재의식 속에서 게임에 대한 욕구를 강화시킬까 약화시킬까? 앞서 제시한 아기 곰 푸우의 실험에 대해 명확히 이해했다면 오히려 게임에 대한 욕구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알아챌 것이다. 게임을 하지 말라는 자극이 반복되면 될수록 오히려 아이의 잠재의식 속에서 게임의 이미지는 더욱 강화되며, 아이는 더욱 게임에 집착하게 된다. 바로 이것이 부모들이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어린 아이가 상점에서 뭔가를 집어왔을 때, 부모가 마구 매질을 하면서 야단을 친다.
“커서 도둑이 되려고 그러니? 도대체 왜 이래!”
매로 인한 고통과 함께 ‘도둑’의 이미지는 아이의 잠재의식 속에 깊숙이 각인된다. 절대 해서는 안 될 일이다. 야단을 치더라도 제대로 쳐야지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아이의 버릇을 망치게 되는 것이다. 자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상황을 뒤집어서 생각해보자. 사람의 잠재의식은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자극을 향해 끌려간다. 그렇다면 게임을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나 운동을 하라고 말해야 옳다.
아이가 몇 시간째 게임에 빠져 정신을 못 차리고 있거든 과일이나 과자와 같이 아이가 좋아하는 간식을 준비하라. 그리고 게임을 하는 아이 앞에 넌지시 간식을 갖다놓고 딱 한마디만 건네라.
“공부 좀 해야 하지 않겠니?”
아이가 듣건 말건 상관없다. 그냥 그렇게 한 마디만 던지고 방에서 나오라. 다음날도 똑같이 한마디를 건네고, 그 다음날도 그렇게 하라. 중요한 것은 반복이다. 딱 한 달만 그렇게 하면 ‘공부’라는 메시지는 부지불식간에 아이의 잠재의식에 각인된다. 아이는 조금씩 게임 시간을 줄이고 공부에 눈을 돌리게 될 것이다. 아이가 조금씩 공부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 칭찬을 해줘라. 아주 잠깐 책을 들추기라도 하거든 기뻐하는 모습을 보여줘라.
아이가 물건을 훔친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너 미쳤니? 도둑질을 왜 해!”라는 식의 꾸중보다 “착한 사람이 돼야지”라는 타이름이 더 효과적이다. 물론 게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꾸준히 반복적인 자극이 유지되어야 한다.
강한 부정을 통해 진행되는 꾸짖음은 당장은 효과가 빠르게 나타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부작용이 있다. 마음은 물길과 같아서 억지로 막으려 하면 넘쳐서 홍수를 일으키는 법이니 마음을 움직이고자 하거든 그 길을 돌려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한다.
다시 한 번 정리를 하자면 이렇다.
1. 부정문으로 야단치기보다 긍정문으로 달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2. 적절한 자극으로 꾸준히 반복해서 아이의 행동을 유도하라.
3. 그리고 원하는 반응이 나왔다면 반드시 칭찬하고 보상하라.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는 보이지 않는 연대감이 매우 강하다. 그런 탓에 부모가 적절한 자극으로 유도를 해주면 아이는 충분히 따라갈 수 있다. 아이가 잘못했을 때 무작정 화를 내기보다 아이의 마음이 어떻게 흘러갈지를 충분히 따져보라. 그러한 노력과 관심은 아이를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하게 해주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