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남동 차이나타운엔 ‘서울시 중국집’만?
주민 반발에 서울시 ‘전면 보류’ 결정 … 시-주민 ‘네 탓’ 공방
서울시가 오세훈 시장 주력사업으로 추진해온 마포구 연남동 차이나타운 사업을 전면 중단하기로 한 가운데 ‘네 탓’ 공방이 일고 있다. 시는 과도한 주민들 요구가 원인이라고 보는 반면 일부 주민들은 시가 주민들에게 일방적으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 대표 국제마을 만든다더니… =
19일 서울시와 마포구 등에 따르면 서울시는 이달 초 마포구에 연남동 차이나타운 조성사업을 전면 보류하겠다는 공문을 보냈다. 연남동 동교동 일대 화교 문화를 활용해 일대 20만㎡에 차이나타운을 조성, 중국관광객이 찾는 특색있는 관광중심지로 개발하기로 한 계획을 무기한 중단하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는 2006년 하반기 사업구상을 밝힌 뒤 2007년 기본구상을 세우고 지난해 초 지구단위계획까지 확정하며 사업을 추진해왔다. 시는 이 지역에 주거(52.9%) 업무·숙박(12.6%) 시설 등을 조성하는 한편 중국문화특화거리를 조성해 서울의 대표적인 국제마을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지난 연말 특화거리 조성을 접은데다 올해 초 차이나타운 사업중단까지 선언하면서 시와 주민들이 사업 중단 원인을 서로에게 떠넘기는 ‘네 탓’ 공방이 일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원안추진을 요구하며 주민간 갈등도 커지는 양상이다.
서울시는 주민들이 과도한 개발이익을 요구한 탓에 사업이 중단됐다는 입장이다. 개발지역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으로 용도 상향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 시 관계자는 “전체를 종 상향하면 땅값이 올라 개발이나 이후 화교상권 입지가 어려워진다”며 “간극이 좁혀지지 않기 때문에 한동안 냉각기를 갖고 다시 검토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서울시가 일방적인 업무추진 책임을 회피한 채 주민만 탓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연남동 주민대책위 한 관계자는 “2006년 말 계획을 발표할 때도 이번에 보류결정을 내릴 때도 주민들과는 먼저 의논하지 않았다”며 “재산권 문제도 있지만 비민주적인 사업추진방식이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개발 내용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주민들은 서울시가 당초 반대하는 주민들을 설득하는 수단으로 제시한 기본구상에는 현 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종 상향해 개발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돼있다며 원안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서울시 입장번복을 ‘사기극’으로 규정하고 오세훈 시장 면담을 요구하는 등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면 서울시는 당시 계획은 공영개발을 전제로 한 것이며 지금은 주민들 스스로 개발하는 형태이기때문에 일부 기부채납분에 대한 상향 이상은 특혜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 의견이 바뀌면 다시 재개할 수도 있다”면서도 “다만 전체 종 상향은 어렵다”고 밝혔다.
◆마포구, 한발 물러서 관망만 =
서울시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면서 연남동 ‘차이나타운 예정지’에는 ‘서울시 중국집’인 동챠오만 덩그라니 남게 됐다. 시는 차이나타운을 찾는 중국인 입맛을 공략할 음식점이 필요하다며 동챠오를 개설한 뒤 서울관광마케팅에 위탁을 맡겨왔다. 중국 베이징시에서 차이나타운을 장식하라며 선물한 사자상 한쌍도 서울대공원에서 기약없는 세월만 보내고 있다.
한편 시와 주민들이 직접 공방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정작 마포구는 유감표명만 한 채 관망하고 있다. 차이나타운 조성사업은 서울시 업무라 그동안도 보조업무만 해왔고 지구단위계획이 문제가 된 지금도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것이다. 구 관계자는 일부 주민들이 시장 면담을 요청해놓은 상태인데도 “주민 요구사항은 서울시에 전달하겠지만 현재까지 서류로 접수된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주민 반발에 서울시 ‘전면 보류’ 결정 … 시-주민 ‘네 탓’ 공방
서울시가 오세훈 시장 주력사업으로 추진해온 마포구 연남동 차이나타운 사업을 전면 중단하기로 한 가운데 ‘네 탓’ 공방이 일고 있다. 시는 과도한 주민들 요구가 원인이라고 보는 반면 일부 주민들은 시가 주민들에게 일방적으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 대표 국제마을 만든다더니… =
19일 서울시와 마포구 등에 따르면 서울시는 이달 초 마포구에 연남동 차이나타운 조성사업을 전면 보류하겠다는 공문을 보냈다. 연남동 동교동 일대 화교 문화를 활용해 일대 20만㎡에 차이나타운을 조성, 중국관광객이 찾는 특색있는 관광중심지로 개발하기로 한 계획을 무기한 중단하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는 2006년 하반기 사업구상을 밝힌 뒤 2007년 기본구상을 세우고 지난해 초 지구단위계획까지 확정하며 사업을 추진해왔다. 시는 이 지역에 주거(52.9%) 업무·숙박(12.6%) 시설 등을 조성하는 한편 중국문화특화거리를 조성해 서울의 대표적인 국제마을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지난 연말 특화거리 조성을 접은데다 올해 초 차이나타운 사업중단까지 선언하면서 시와 주민들이 사업 중단 원인을 서로에게 떠넘기는 ‘네 탓’ 공방이 일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원안추진을 요구하며 주민간 갈등도 커지는 양상이다.
서울시는 주민들이 과도한 개발이익을 요구한 탓에 사업이 중단됐다는 입장이다. 개발지역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으로 용도 상향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 시 관계자는 “전체를 종 상향하면 땅값이 올라 개발이나 이후 화교상권 입지가 어려워진다”며 “간극이 좁혀지지 않기 때문에 한동안 냉각기를 갖고 다시 검토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서울시가 일방적인 업무추진 책임을 회피한 채 주민만 탓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연남동 주민대책위 한 관계자는 “2006년 말 계획을 발표할 때도 이번에 보류결정을 내릴 때도 주민들과는 먼저 의논하지 않았다”며 “재산권 문제도 있지만 비민주적인 사업추진방식이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개발 내용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주민들은 서울시가 당초 반대하는 주민들을 설득하는 수단으로 제시한 기본구상에는 현 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종 상향해 개발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돼있다며 원안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서울시 입장번복을 ‘사기극’으로 규정하고 오세훈 시장 면담을 요구하는 등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면 서울시는 당시 계획은 공영개발을 전제로 한 것이며 지금은 주민들 스스로 개발하는 형태이기때문에 일부 기부채납분에 대한 상향 이상은 특혜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 의견이 바뀌면 다시 재개할 수도 있다”면서도 “다만 전체 종 상향은 어렵다”고 밝혔다.
◆마포구, 한발 물러서 관망만 =
서울시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면서 연남동 ‘차이나타운 예정지’에는 ‘서울시 중국집’인 동챠오만 덩그라니 남게 됐다. 시는 차이나타운을 찾는 중국인 입맛을 공략할 음식점이 필요하다며 동챠오를 개설한 뒤 서울관광마케팅에 위탁을 맡겨왔다. 중국 베이징시에서 차이나타운을 장식하라며 선물한 사자상 한쌍도 서울대공원에서 기약없는 세월만 보내고 있다.
한편 시와 주민들이 직접 공방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정작 마포구는 유감표명만 한 채 관망하고 있다. 차이나타운 조성사업은 서울시 업무라 그동안도 보조업무만 해왔고 지구단위계획이 문제가 된 지금도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것이다. 구 관계자는 일부 주민들이 시장 면담을 요청해놓은 상태인데도 “주민 요구사항은 서울시에 전달하겠지만 현재까지 서류로 접수된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