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기 대표이사
(주)Law&PMD 전문대학원 아카데미
QCT2 주니어 아카데미 대표강사
(02)567-9490
1. 왜 우리 아이들은 비판적 사고에 약할까?
최근 모 일간지를 보니 미국에 유학 간 우리나라 학생의 자퇴율이 49%라고 한다. 많은 유학생들이 미국 대학교의 교과과정을 따라갈 수 없어서 자퇴한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비판적 사고 훈련이 안되었기 때문이다. 비판적 사고를 하려면 읽는 책이나 듣는 말을 비판적으로 보려는 의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은 교과서라는 바이블(Bible)에 대한 의심을 허용하지 않는다. 교과서를 배우는 데 대부분의 공부시간을 투자한다. 그러나 교과서에 대한 비판은 용납되지 않는다. 만약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가진다면 중간?기말고사에서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없다. 객관식은 말할 것도 없고, 서술형 시험이라는 것도 교과서에 있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틀렸다고 채점하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이런 교육 하에 비판적 사고능력을 기르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신성불가침한 교과서는 일획 일자라도 바꿔서 읽어서는 안 된다. 조선시대 주자를 비판하면 사문난적으로 몰렸듯이 교과서를 비판하면 비참한 성적으로 앙갚음을 당한다. 이를 버틸 장사가 어디 있겠는가?
2. 비판적 사고는 왜 중요한가?
TV를 켜보면 수많은 토론을 볼 수 있다. 토론은 꼭 100분 토론이나 심야토론 등과 같은 시사토론만이 아니다. 우리가 예능이라고 하는 프로그램도 토론의 일종이다. 토론할 능력이 없이는 정치인, 학자 뿐 아니라 가수도 탤런트도 자기를 알릴 기회를 가지기 힘들다.
우리나라 사회를 연고주의, 학벌주의라고 개탄하는 말들이 많이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명문대를 나온 변호사가 밥벌이를 못하고, 신용불량자인 의사가 넘쳐난다는 신문기사는 더 이상 새로운 뉴스거리가 아니다. 우리나라도 점차 능력주의 사회로 변해가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주장을 설득력 있게 전개하지 못하면 사회에서 생존할 수 없다. 이젠 합리적 근거 없이 "친구야 도와주라"는 말은 친구를 매장시키겠다는 엄포와 다름 아니다. 한?미FTA, 한?EU FTA등 수 많은 국제 협상, 기업 간의 협상, TV토론과 지상토론, 배심원을 설득하기 위한 법정 토론이 범람하는 시대이다. 이 토론의 사회에서 논증 능력없이 비판적 사고력 없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비판적 사고와 논증력도 생존에 필요한 무기가 되어가고 있다.
3. 어떻게 하면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비판적 사고력은 훈련을 통해 기를 수 있다. 일단 글이나 말의 주장과 이유, 근거, 전제를 분석하는 훈련을 하고, 그 이유나 근거의 논리적 결함을 찾아내는 훈련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에서 흡연금지 운동을 벌일 때, "흡연을 해서는 안 됩니다.(주장) 흡연은 폐암 등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이유) 국립 암센터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암 발생 확률이 4배 정도라고 합니다.(근거)" 라고 주장을 전개한다면 이런 논증과정이 타당한지를 분석하는 것이 비판적 사고력 향상의 첫걸음이다.
4. 고등교육의 성공과 실패는 비판적 사고능력에 달려있다.
이미 교육의 변화는 시작되었다. 그 변화의 핵심은 비판적 사고능력이다. 고등교육의 성공과 실패는 비판적 사고능력에 달려 있다. 이미 비판적 사고는 대입 수능, 행정고시, 외무고시 1차의 PSAT(공직적격성시험), 법학전문대학원의 LEET(법학적성시험), 의치학전문대학원의 MEET?DEET(의학?치학입문검사), 약학대학의 PEET(약학교육입문검사), 삼성의 SSAT(삼성직무적성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이다. 특목고 구술면접, 대입 수시, 입학 사정관제, 수능 언어, 고급 영어독해는 비판적 사고 없이 통과할 수 없다. 학교성적이 뛰어난 학생도 추리력, 비판적 사고능력, 이해력, 자료해석능력, 표현력이 학교성적에 비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치하면 학교성적을 유지할 수 없다. 왜냐하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갈수록 고도의 사고능력, 이해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사고능력, 이해력이 부족하면 중2, 고1 때 갑자기 학교성적도 떨어지기 시작한다. 노력을 해도 사고력, 이해력 부족으로 따라 갈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사고능력, 이해력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주)Law&PMD 전문대학원 아카데미
QCT2 주니어 아카데미 대표강사
(02)567-9490
1. 왜 우리 아이들은 비판적 사고에 약할까?
최근 모 일간지를 보니 미국에 유학 간 우리나라 학생의 자퇴율이 49%라고 한다. 많은 유학생들이 미국 대학교의 교과과정을 따라갈 수 없어서 자퇴한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비판적 사고 훈련이 안되었기 때문이다. 비판적 사고를 하려면 읽는 책이나 듣는 말을 비판적으로 보려는 의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은 교과서라는 바이블(Bible)에 대한 의심을 허용하지 않는다. 교과서를 배우는 데 대부분의 공부시간을 투자한다. 그러나 교과서에 대한 비판은 용납되지 않는다. 만약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가진다면 중간?기말고사에서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없다. 객관식은 말할 것도 없고, 서술형 시험이라는 것도 교과서에 있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틀렸다고 채점하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이런 교육 하에 비판적 사고능력을 기르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신성불가침한 교과서는 일획 일자라도 바꿔서 읽어서는 안 된다. 조선시대 주자를 비판하면 사문난적으로 몰렸듯이 교과서를 비판하면 비참한 성적으로 앙갚음을 당한다. 이를 버틸 장사가 어디 있겠는가?
2. 비판적 사고는 왜 중요한가?
TV를 켜보면 수많은 토론을 볼 수 있다. 토론은 꼭 100분 토론이나 심야토론 등과 같은 시사토론만이 아니다. 우리가 예능이라고 하는 프로그램도 토론의 일종이다. 토론할 능력이 없이는 정치인, 학자 뿐 아니라 가수도 탤런트도 자기를 알릴 기회를 가지기 힘들다.
우리나라 사회를 연고주의, 학벌주의라고 개탄하는 말들이 많이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명문대를 나온 변호사가 밥벌이를 못하고, 신용불량자인 의사가 넘쳐난다는 신문기사는 더 이상 새로운 뉴스거리가 아니다. 우리나라도 점차 능력주의 사회로 변해가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주장을 설득력 있게 전개하지 못하면 사회에서 생존할 수 없다. 이젠 합리적 근거 없이 "친구야 도와주라"는 말은 친구를 매장시키겠다는 엄포와 다름 아니다. 한?미FTA, 한?EU FTA등 수 많은 국제 협상, 기업 간의 협상, TV토론과 지상토론, 배심원을 설득하기 위한 법정 토론이 범람하는 시대이다. 이 토론의 사회에서 논증 능력없이 비판적 사고력 없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비판적 사고와 논증력도 생존에 필요한 무기가 되어가고 있다.
3. 어떻게 하면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비판적 사고력은 훈련을 통해 기를 수 있다. 일단 글이나 말의 주장과 이유, 근거, 전제를 분석하는 훈련을 하고, 그 이유나 근거의 논리적 결함을 찾아내는 훈련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에서 흡연금지 운동을 벌일 때, "흡연을 해서는 안 됩니다.(주장) 흡연은 폐암 등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이유) 국립 암센터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암 발생 확률이 4배 정도라고 합니다.(근거)" 라고 주장을 전개한다면 이런 논증과정이 타당한지를 분석하는 것이 비판적 사고력 향상의 첫걸음이다.
4. 고등교육의 성공과 실패는 비판적 사고능력에 달려있다.
이미 교육의 변화는 시작되었다. 그 변화의 핵심은 비판적 사고능력이다. 고등교육의 성공과 실패는 비판적 사고능력에 달려 있다. 이미 비판적 사고는 대입 수능, 행정고시, 외무고시 1차의 PSAT(공직적격성시험), 법학전문대학원의 LEET(법학적성시험), 의치학전문대학원의 MEET?DEET(의학?치학입문검사), 약학대학의 PEET(약학교육입문검사), 삼성의 SSAT(삼성직무적성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이다. 특목고 구술면접, 대입 수시, 입학 사정관제, 수능 언어, 고급 영어독해는 비판적 사고 없이 통과할 수 없다. 학교성적이 뛰어난 학생도 추리력, 비판적 사고능력, 이해력, 자료해석능력, 표현력이 학교성적에 비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치하면 학교성적을 유지할 수 없다. 왜냐하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갈수록 고도의 사고능력, 이해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사고능력, 이해력이 부족하면 중2, 고1 때 갑자기 학교성적도 떨어지기 시작한다. 노력을 해도 사고력, 이해력 부족으로 따라 갈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사고능력, 이해력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