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증권 보험권 따로따로 … 증권·선물거래상담사 지원 많아
“펀드매니저 되고 싶어요” 운용전문인력시험도 매회 2천여명 몰려
재테크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지만 ‘가까이 하기에 너무 먼’ 것도 재테크다.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가 “필요하다, 중요하다”고 말하면서도 어려워한다. 부동산값이나 주가가 많이 올라 돈을 많이 번 사람이 주위에 나온 이후에야 부러운 시선을 보낼 뿐이다.
그러나 이제 재테크는 제대로 하지 못하면 노후가 보장되지 않을 정도로 중요해졌다.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셈이다. 어차피 할 것이라면 좀더 적극적으로 하면 어떨까.
전문가들은 금융 자격증에 도전해볼 것을 주문했다. ‘금융’ ‘주식’ ‘세테크’ ‘자산관리’ 등과 친해지는 것이다. 올해는 자신의 형편에 맞는 자격증을 하나 선택해 도전해 보는 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어떤 자격증을 딸까 = 금융연수원 등에 따르면 금융관련 자격증은 모두 28개다. 이중 국가 자격증은 금융감독원에서 부여하는 보험계리사, 손해사정사, 보험중개사 등 3개뿐이며 법정자격증은 증권투자상담사 등 8개다. 공인민간자격증은 주로 금융연수원에서 발급하고 있으며 비공인민간자격증은 각 금융업계 협회에서 부여한다.
전문가들은 취업하려거나 금융지식을 얻기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금융분야를 먼저 선택할 것을 주문했다.
가장 대표적인 게 자산관리사(FP)다. 자산관리사자격증은 보험 은행 증권쪽에서 각각 종합자산관리사(IFP), 자산관리사, 금융자산관리사(자산설계전문인력)란 이름으로 나온다. IFP자격증은 보험사와 설계사의 재무설계, 자산관리서비스 제공능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시험과목도 △파이낸셜플래닝의 이론과 실제 △금융자산 운용설계 △위험관리와 보험설계 △부동산 운용설계 △세무 설계 등으로 나눠있다. 은행권인 금융연수원에서 제공하는 FP자격증 시험은 고객의 수입과 지출, 자산 및 부채현황, 가족상황 등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 종합적인 자산설계를 상담하고 실행하는 업무능력을 측정하게 된다. 증권업계의 금융자산관리사시험에 합격하면 고객의 자산을 자산운용전략을 중심으로 설계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주가가 급등하고 펀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애널리스트와 펀드매니저를 희망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증권업협회에서 주관하는 증권분석사 자격증은 필수 자격증이 아니다. 이 자격증이 있으면 좋겠지만 없어도 애널리스트가 될 수 있다. 시험은 1, 2차에 걸쳐 이뤄져 그리 쉬운 편이 아니다. 반면 펀드매니저가 되려면 일반운용전문인력자격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업의 재무와 신용평가, 그리고 위험관리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증권쪽의 재무위험관리사(FRM)나 은행쪽의 여신심사역, 신용분석사, 신용위험분석사 자격증 취득은 기업 분석 능력을 크게 높여 줄 것이다.
증권업계에서는 또 증권투자상담사와 선물거래상담사 자격증이 있어야 관련 상품을 취급할 수 있다. 증권업계에서 일하려는 사람들에게는 필수 자격증이다. 특히 자산관리상담을 위해서는 이 정도 자격증을 기본적으로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합격률도 봐야지 = 합격률은 10~20%수준이다. 자산관리사는 그러나 자주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부담이 덜하다. 금융연수원에서 실시하는 자산관리사 자격증시험은 합격률도 25.7%로 다른 자산관리사시험에 비해 높고 올 시험횟수도 삼 회로 늘었다. 보험권의 IFP의 지난해 평균 합격률은 20.2%다. 올해는 3월 16일을 시작으로 세 번이 계획됐다. 증권업권의 금융자산관리사 시험은 지난해 두 번 실시해 응시자 중 평균 15.4%가 합격증을 받았다. 올해도 두 번 계획돼 있다.
운용전문인력자격증시험의 합격률은 16.1%로 낮지만 올해 세 차례나 기회가 주어질 예정이며 투자상담사 자격증 시험도 3회 실시될 예정이다. 지난해 평균합격률은 27.7%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신용위험분석사 시험은 1차가 2차보다 쉬웠던 반면 증권분석사 시험에선 1차보다 2차 합격률이 더 높았다.
금융연수원 관계자는 “금융관련 국가자격과 법정자격증은 자격증취득자만 해당업무를 할 수 있어 응시인원이 많은 반면 민간자격증은 자격증 취득과 상관없이 업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응시자가 적다”며 “개별 역량강화보다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자격증을 따려는 사람들이 많다”고 분석했다.
이어 “자격 취득자에게 자기계발을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각종 혜택을 제도적 으로 마련해야 한다”며 “자격제도를 운영할 때도 선진금융기법과 실무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을 많이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펀드매니저 되고 싶어요” 운용전문인력시험도 매회 2천여명 몰려
재테크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지만 ‘가까이 하기에 너무 먼’ 것도 재테크다.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가 “필요하다, 중요하다”고 말하면서도 어려워한다. 부동산값이나 주가가 많이 올라 돈을 많이 번 사람이 주위에 나온 이후에야 부러운 시선을 보낼 뿐이다.
그러나 이제 재테크는 제대로 하지 못하면 노후가 보장되지 않을 정도로 중요해졌다.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셈이다. 어차피 할 것이라면 좀더 적극적으로 하면 어떨까.
전문가들은 금융 자격증에 도전해볼 것을 주문했다. ‘금융’ ‘주식’ ‘세테크’ ‘자산관리’ 등과 친해지는 것이다. 올해는 자신의 형편에 맞는 자격증을 하나 선택해 도전해 보는 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어떤 자격증을 딸까 = 금융연수원 등에 따르면 금융관련 자격증은 모두 28개다. 이중 국가 자격증은 금융감독원에서 부여하는 보험계리사, 손해사정사, 보험중개사 등 3개뿐이며 법정자격증은 증권투자상담사 등 8개다. 공인민간자격증은 주로 금융연수원에서 발급하고 있으며 비공인민간자격증은 각 금융업계 협회에서 부여한다.
전문가들은 취업하려거나 금융지식을 얻기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금융분야를 먼저 선택할 것을 주문했다.
가장 대표적인 게 자산관리사(FP)다. 자산관리사자격증은 보험 은행 증권쪽에서 각각 종합자산관리사(IFP), 자산관리사, 금융자산관리사(자산설계전문인력)란 이름으로 나온다. IFP자격증은 보험사와 설계사의 재무설계, 자산관리서비스 제공능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시험과목도 △파이낸셜플래닝의 이론과 실제 △금융자산 운용설계 △위험관리와 보험설계 △부동산 운용설계 △세무 설계 등으로 나눠있다. 은행권인 금융연수원에서 제공하는 FP자격증 시험은 고객의 수입과 지출, 자산 및 부채현황, 가족상황 등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 종합적인 자산설계를 상담하고 실행하는 업무능력을 측정하게 된다. 증권업계의 금융자산관리사시험에 합격하면 고객의 자산을 자산운용전략을 중심으로 설계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주가가 급등하고 펀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애널리스트와 펀드매니저를 희망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증권업협회에서 주관하는 증권분석사 자격증은 필수 자격증이 아니다. 이 자격증이 있으면 좋겠지만 없어도 애널리스트가 될 수 있다. 시험은 1, 2차에 걸쳐 이뤄져 그리 쉬운 편이 아니다. 반면 펀드매니저가 되려면 일반운용전문인력자격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업의 재무와 신용평가, 그리고 위험관리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증권쪽의 재무위험관리사(FRM)나 은행쪽의 여신심사역, 신용분석사, 신용위험분석사 자격증 취득은 기업 분석 능력을 크게 높여 줄 것이다.
증권업계에서는 또 증권투자상담사와 선물거래상담사 자격증이 있어야 관련 상품을 취급할 수 있다. 증권업계에서 일하려는 사람들에게는 필수 자격증이다. 특히 자산관리상담을 위해서는 이 정도 자격증을 기본적으로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합격률도 봐야지 = 합격률은 10~20%수준이다. 자산관리사는 그러나 자주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부담이 덜하다. 금융연수원에서 실시하는 자산관리사 자격증시험은 합격률도 25.7%로 다른 자산관리사시험에 비해 높고 올 시험횟수도 삼 회로 늘었다. 보험권의 IFP의 지난해 평균 합격률은 20.2%다. 올해는 3월 16일을 시작으로 세 번이 계획됐다. 증권업권의 금융자산관리사 시험은 지난해 두 번 실시해 응시자 중 평균 15.4%가 합격증을 받았다. 올해도 두 번 계획돼 있다.
운용전문인력자격증시험의 합격률은 16.1%로 낮지만 올해 세 차례나 기회가 주어질 예정이며 투자상담사 자격증 시험도 3회 실시될 예정이다. 지난해 평균합격률은 27.7%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신용위험분석사 시험은 1차가 2차보다 쉬웠던 반면 증권분석사 시험에선 1차보다 2차 합격률이 더 높았다.
금융연수원 관계자는 “금융관련 국가자격과 법정자격증은 자격증취득자만 해당업무를 할 수 있어 응시인원이 많은 반면 민간자격증은 자격증 취득과 상관없이 업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응시자가 적다”며 “개별 역량강화보다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자격증을 따려는 사람들이 많다”고 분석했다.
이어 “자격 취득자에게 자기계발을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각종 혜택을 제도적 으로 마련해야 한다”며 “자격제도를 운영할 때도 선진금융기법과 실무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을 많이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