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 거품요금 인하 물결운동’ 서명자가 10만명을 넘어섰다.
요금 내리자는 데 반대할 사람 없겠지만, 단 열흘간의 반응 치곤 폭발적이다. 그만큼 이동전화의 가
격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은 크다. 반면 정보통신부와 업체들의 반응은 여전히 냉담하기만
하다. 심지어 한 업체는 97년 이후 단 한차례밖만 실시한 요금인하를, 일곱 차례나 했다는 허위 주장
을 담은 자료를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통신부는 하반기에나 검토하여 연말쯤 조정할 수 있다는 불확실한 입장만을 던져 놓고 복지부
동 중이다. 아마 내년의 본격적인 선거일정을 앞두고 선심 쓰듯 인하하겠다는 심사인지도 모르겠다.
이동전화요금의 거품을 빼라는 소비자들의 주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는 명백하다.
첫째, 가입자가 전 국민의 60%인 2700만명이며 매출액이 10조원을 웃돈다. 정상적인 사업을 했다면, 초
기투자비용을 회수해도 벌써 했어야 할 시점이다. 가입자가 늘어나 망의 효용성은 커지고 원가는 절
감되었다. 사업자들은 가입자 확대로 시스템 용량 증설, 서비스 지역확대 등을 위해 수천억원의 투자
를 매년 하고 있기 때문에 여력이 없다는 주장을 하지만, 그 비용을 감안하고도 순이익은 1조원 이상
이 된다.
둘째, 단말기보조금제 폐지와 줄어든 마케팅비용으로 업체들의 이익이 큰 폭으로 신장되었다. 엉업
비용이 최소한 1조원 이상 절감된 사실은 사업자들도 부인하지 못한다. 다만, 일시적 현상이며, 비용
이 다시 늘어날 서도 있다고 한다. 심지어는 SK텔레콤의 시장점유율 규제가 끝나는 7월부터는 마케팅
비용이 다시 늘어날 것이라며, ‘가입자 쟁탈전’비용을 계속 소비자들에게 담당하라고 한다.
셋째, 요금비중이 큰 기본료의 근거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설비투자와 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은 뺀
다고 치자. 그렇더라도 기본료의 상당부분은 근거가 없다. 통화료와 성격상 아무 차이도 없다 그런
데 단 한 통화, 10초의 기본통화도 무료로 제공되지 않는다. 외국의 사업자들은 마음이 좋아 기본료
에 기본통화를 제공하는 것인가.
넷째, 외국과 비교해도 결코 요금이 싸다 할 수 없다. 경제규모와 구매력, 환율, 요금체계 등이 달라
직접비교가 쉽진 않지만, 할인시간대의 요금이 거의 무료인 점, 근거리 요금이 파격적으로 낮은 점,
그리고 여타 공공요금이나 물가는 더 낮은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요금이 싸다는 정통부나 업체의
주장은 터무니없다.
IS-95C와 IMT2000 신규투자 부담이 커 요금인하가 어렵다는 이유는 가입자에게 사업비용 떠맡으라는 논
리다.
이동전화요금에 대한 문제제기의 중심에는 요금결정권을 포함한 실질적 권한을 쥐고 있는 정보통신
부가 있다. 정보통신 전 분야를 망라해 성장에만 몰두하는 정보통신부의 사업자 편들기 정책기조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근래의 ‘초고속 인터넷 회선 공유 금지’조치나 ‘정보통신사업자에 대한 공정위의 실태조사를 정
통부가 나서 막은 것’ 등은 사업자 편들기의 노골적 사례이다. 이동전화요금을 인하하라는 시민들
의 요구도 ‘어린아이의 투정’쯤으로 취급하고 있다.
정보통신부가 사업자의 대리인인가. 신임 정보통신부 장관이 업계 논리에 충실하려는 것도 눈에 띈
다. 참여연대가 통신위원회의 독립을 강력히 주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부의 존재이유를 다시금 진지하게 검토해 볼일이다. 산업진흥이나 기술개발
부분의 정책수립과 업무추진은 산업자원부나 과학기술부에서 담당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박원석(참여연대 시민권리국 부장)
요금 내리자는 데 반대할 사람 없겠지만, 단 열흘간의 반응 치곤 폭발적이다. 그만큼 이동전화의 가
격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은 크다. 반면 정보통신부와 업체들의 반응은 여전히 냉담하기만
하다. 심지어 한 업체는 97년 이후 단 한차례밖만 실시한 요금인하를, 일곱 차례나 했다는 허위 주장
을 담은 자료를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통신부는 하반기에나 검토하여 연말쯤 조정할 수 있다는 불확실한 입장만을 던져 놓고 복지부
동 중이다. 아마 내년의 본격적인 선거일정을 앞두고 선심 쓰듯 인하하겠다는 심사인지도 모르겠다.
이동전화요금의 거품을 빼라는 소비자들의 주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는 명백하다.
첫째, 가입자가 전 국민의 60%인 2700만명이며 매출액이 10조원을 웃돈다. 정상적인 사업을 했다면, 초
기투자비용을 회수해도 벌써 했어야 할 시점이다. 가입자가 늘어나 망의 효용성은 커지고 원가는 절
감되었다. 사업자들은 가입자 확대로 시스템 용량 증설, 서비스 지역확대 등을 위해 수천억원의 투자
를 매년 하고 있기 때문에 여력이 없다는 주장을 하지만, 그 비용을 감안하고도 순이익은 1조원 이상
이 된다.
둘째, 단말기보조금제 폐지와 줄어든 마케팅비용으로 업체들의 이익이 큰 폭으로 신장되었다. 엉업
비용이 최소한 1조원 이상 절감된 사실은 사업자들도 부인하지 못한다. 다만, 일시적 현상이며, 비용
이 다시 늘어날 서도 있다고 한다. 심지어는 SK텔레콤의 시장점유율 규제가 끝나는 7월부터는 마케팅
비용이 다시 늘어날 것이라며, ‘가입자 쟁탈전’비용을 계속 소비자들에게 담당하라고 한다.
셋째, 요금비중이 큰 기본료의 근거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설비투자와 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은 뺀
다고 치자. 그렇더라도 기본료의 상당부분은 근거가 없다. 통화료와 성격상 아무 차이도 없다 그런
데 단 한 통화, 10초의 기본통화도 무료로 제공되지 않는다. 외국의 사업자들은 마음이 좋아 기본료
에 기본통화를 제공하는 것인가.
넷째, 외국과 비교해도 결코 요금이 싸다 할 수 없다. 경제규모와 구매력, 환율, 요금체계 등이 달라
직접비교가 쉽진 않지만, 할인시간대의 요금이 거의 무료인 점, 근거리 요금이 파격적으로 낮은 점,
그리고 여타 공공요금이나 물가는 더 낮은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요금이 싸다는 정통부나 업체의
주장은 터무니없다.
IS-95C와 IMT2000 신규투자 부담이 커 요금인하가 어렵다는 이유는 가입자에게 사업비용 떠맡으라는 논
리다.
이동전화요금에 대한 문제제기의 중심에는 요금결정권을 포함한 실질적 권한을 쥐고 있는 정보통신
부가 있다. 정보통신 전 분야를 망라해 성장에만 몰두하는 정보통신부의 사업자 편들기 정책기조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근래의 ‘초고속 인터넷 회선 공유 금지’조치나 ‘정보통신사업자에 대한 공정위의 실태조사를 정
통부가 나서 막은 것’ 등은 사업자 편들기의 노골적 사례이다. 이동전화요금을 인하하라는 시민들
의 요구도 ‘어린아이의 투정’쯤으로 취급하고 있다.
정보통신부가 사업자의 대리인인가. 신임 정보통신부 장관이 업계 논리에 충실하려는 것도 눈에 띈
다. 참여연대가 통신위원회의 독립을 강력히 주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부의 존재이유를 다시금 진지하게 검토해 볼일이다. 산업진흥이나 기술개발
부분의 정책수립과 업무추진은 산업자원부나 과학기술부에서 담당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박원석(참여연대 시민권리국 부장)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