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의 권위가 모래 한 줌보다 더 가벼워진 시대, 이 땅의 아버지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디인가.
한국사회에만 존재하는 ‘기러기 아빠’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연세대 최양숙 (사진)교수는 “아버지가 현실을 직시하고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충고했다.
여성이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요즘도 육아와 살림은 여성이 책임지고 남성은 경제활동을 맡아야 한다고 믿는 아버지들이 여전히 많다는 게 최 교수의 지적이다.
전적으로 어머니에게 요즘 아이들은 시대상황과 맞지 않는 아버지와의 대화를 거부하게 되고 결국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서먹한 관계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해결책은 공동살림과 육아, 그리고 따뜻한 대화다.
그는 “엄마와 아빠가 따뜻하게 대화하고 살림과 육아를 함께 하는 모습을 보며 아이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가족’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깨닫는다”며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아버지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이 아니라 자발적인 존경심을 갖게 된다”고 강조했다.
바람직한 아버지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제도상의 변화도 필요하지만 더 시급한 것은 아버지들의 인식 개선이다.
최 교수는 “환경이 바뀌기만을 기다리면 그만큼 늦어진다”며 “남 눈치 보지 말고 자신부터 과감히 바꿔나가면 어느새 가족은 아버지의 넉넉한 품안에 들어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광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사회에만 존재하는 ‘기러기 아빠’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연세대 최양숙 (사진)교수는 “아버지가 현실을 직시하고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충고했다.
여성이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요즘도 육아와 살림은 여성이 책임지고 남성은 경제활동을 맡아야 한다고 믿는 아버지들이 여전히 많다는 게 최 교수의 지적이다.
전적으로 어머니에게 요즘 아이들은 시대상황과 맞지 않는 아버지와의 대화를 거부하게 되고 결국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서먹한 관계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해결책은 공동살림과 육아, 그리고 따뜻한 대화다.
그는 “엄마와 아빠가 따뜻하게 대화하고 살림과 육아를 함께 하는 모습을 보며 아이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가족’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깨닫는다”며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아버지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이 아니라 자발적인 존경심을 갖게 된다”고 강조했다.
바람직한 아버지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제도상의 변화도 필요하지만 더 시급한 것은 아버지들의 인식 개선이다.
최 교수는 “환경이 바뀌기만을 기다리면 그만큼 늦어진다”며 “남 눈치 보지 말고 자신부터 과감히 바꿔나가면 어느새 가족은 아버지의 넉넉한 품안에 들어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광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