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검색결과 총 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공간 ‘416기억저장소’ 다섯 해를 맞는 잔인한 4월,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기 위해 기억공간을 찾는 발걸음들에 유가족은 어떤 마음일까…. 단원고등학교 2학년 교실과 교무실을 재현하는 ‘4.16기억교실’에서 2학년 6반 이태민 엄마 문연옥 씨를 만나 기억저장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4.16기억저장소 :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다4.16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기록하고, 행동하는 공간이다. 참사 이후 몇몇 안산시민들이 모여 기록, 수집, 보존 활동을 시작해 시민기록단, 시민기록위원회가 꾸려지며 그간의 기록을 남기고, 남겨진 기록을 역사로 전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유가족들은 운영위원이 되어 분향소 기록물 정리, 동거차도와 팽목항 기록화 작업, 서명용지 스캔작업, 민주시민교육프로그램 등 기억저장소 곳곳에서 활동한다. 세월호 이전엔 평범했던 엄마들이 세월호 이후 아이들의 빈자리를 지키는 활동가가 되어 있었다.기억저장소의 가장 대표적인 활동은 4.16기억교실 운영이다. 기억교실에는 수학여행에서 돌아오지 못한 250명의 학생들과 선생님 11명의 책상과 의자, 사진 등 물품이 보존되어 있다. 기억교실은 유가족뿐만 아니라 희생자들이 사용했던 공간과 물품을 국민과 공유함으로써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며 현재를 바로 잡고, 다시는 이런 참담한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래의 방향키가 될 수 있도록 기록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4.16기억교실 : 기억과 약속의 길태민 엄마는 미용실을 운영하느라 많이 의지했던 큰아들의 사고에 절망했다. “평생 안고 가야 할 아픔으로 숨 쉬고 밥 먹는 일조차 힘들었던 한 해 두 해를 보내고 5년이 되니 이제 남아 있는 아이들이 보인다”는 그녀는 남겨진 두 동생이 살아갈 날들에는 더 이상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기에 매일같이 기억교실에 나온다. 같은 아픔을 겪은 이들에 기대어 하루를 보내는 유가족들은 해마다 기억교실을 찾는 사람들의 숫자는 줄어들고 있지만 매 주기마다 잊지 않고 찾아오는 추모객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교실을 안내한다.기억저장소에서는 매월 셋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 ‘기억과 약속의 길’을 운영하는데 신청자들에게는 언제나 안내가 가능하다. 기억교실에서 출발해 단원고, 기억전시관, (가칭)4.16생명안전공원 부지를 순례하며 별이 된 아이들의 이야기를 되짚으며 우리가 손잡고 가야 할 길을 찾는 시간을 갖는다.4.16기억전시관 : 기억프로젝트 5.0_공간에서 시간으로절대 잊을 수 없을 것 같던 참사가 시간이 흐르면서 사람들의 기억에서 멀어져간다. 단원고에 있던 기억교실이 (구)안산시교육지원청으로 옮겨지고, 세월호 참사 4주기 합동 영결?추도식을 기점으로 합동분향소가 화랑유원지에서 철거됐다. 세월호 인양 이후 동거차도와 팽목항도 정리됐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는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맹세로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혁명을 이끌어내는 단초 역할을 했다.망각에 대한 꿋꿋한 저항의 매체로서 ‘장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해가고 잊혀져가는 것에 대한 저항의 출발점이 된다. 기억전시관에서는 지난한 투쟁을 함께했던 이들이 있었던 공간을 상기하면서 앞으로 세월호가 남긴 흔적과 공간들을 어떻게 기억하고 보존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방법을 모색하는 전시를 연다.“세월호, 이제 그만 잊어도 되지 않겠냐”는 말들에 유가족들은 “진실을 향한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잊을 수 있을 것”이라며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 설치와 전면 재수사’에 대한 국민 청원에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2019-04-17
- 기억은 정확히 어떻게 뇌세포에 저장되는가? 어텐션타임정미자 센터소장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기억은 뉴런(neuron)간의 연결인 시냅스(synapse)의 지속적인 변화를 포함한다는 생각을 뒷받침 하는 많은 증거가 제시되었다.노벨상 수상자 Eric Kandel은 학습과 기억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바다달팽이(Aplsia californica)를 연구함으로써 기억의 세포적 메커니즘을 알아내었다.과학자들은 연관 세포들에서의 특정 화학물질과 구조적 변화를 군소가 보이는 몇가지 단순한 형태의 기억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Kandel은 특정한 자극을 가하면 더 강한 보호적 반사가 일어나는 것, 즉 바다달팽이에서 한 형태의 학습을 발견하였다. 추후 연구를 통해 더 강한 시냅스가 이러한 정보의 저장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혀냈다.장기기억은 여러 방법으로 형성된다. 더 강한 자극은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어떤 단백질 수준을 증가시키고 어떤 것은 감소시킨다. 이러한 변화는 궁극적으로 시냅스의 성장을 이끌어 낸다. 인간의 기억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은 어떤 수뇌부(brain center)도 혼자서 기억을 저장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그보다는 여기저기 산재되어 지각, 정보처리, 학습중인 사물의 분석에도 관여하는 피질의 여러 정보 처리 시스템들에 기억이 저장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뇌의 각 부분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영구 기억에 관여 하는 것이다. 인간의 경우, 기억을 유지하거나, 조작할 때 전전두엽 피질이 매우 활성화된다.전전두 피질은 리허설, 장기 기억으로부터 정보의 감시(모니터링)등과 같은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을 담당한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기능적 뇌영상 기법을 이용한 연구결과 피질에서 동물,얼굴,단어 등의 다른 종류의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넓은 영역이 발견되었다. 중요한 점은 우리의 뇌의 기능이 형성되는 결정적 시기는 여러 차례 존재하며,순차적으로 조직된다는 것이다. 특히 전두엽의 발달은 20대 초반까지도 계속된다. 즉 청소년의 뇌도 완전히 성숙한 것은 아님을 알고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건강한 성숙은 다양한 환경적 변화에 적응하게 하는 가소성(plasticity)을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질 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2016-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