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수능이 코 앞으로 다가왔다. 16일 수능이 끝나자마자, 17일 서울대 일반전형 1단계 합젹자 발표가 있다. 11월 24일에는 심층면접이 실시되고 12월 15일 최종합격자 발표가 있다. 서울대 일반전형 인문계열의 심층면접을 해설한 ‘2018년 SKY 심층면접’의 저자인 벼리아카데미 박우현 원장의 기고를 싣는다. 서울대 일반전형의 인문계열의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3년간의 논제분석을 통하여 심층면접에서 유의해야할 사항을 점검해보는 기회를 만들어보았다. (사회계열은 수학과 경제관련 문제등이 있어서 제외하였다.)
우리 사회의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는 주제들이 빈번하게 출제
지난 3년간의 서울대 논제들은 우리 사회가 맞닥뜨리고 있는 사회문제들과 동떨어져있지 않다. 2015년 오전은 긍정적 사고와 부정적 사고의 한계를 물어보고있다. ‘사고’를 물었지만 바꾸어놓자면 개인과 사회의 문제이다. 즉, 우리의 사고를 결정하는 것이 ‘자유의지’인지 아니면 ‘사회구조’인지를 묻고 있다. 사고가 다르면,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의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오후 문제는 빈말과 거짓말의 차이를 묻고 있다. 가짜뉴스(fake news)와 탈진실(posttruth)이 횡행하는 지금의 세계에서 말이 갖는 가치는 더욱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런 세계에서 빈말은 더욱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이런 빈말은 거짓말은 아니지만 듣는 상대와의 껍데기만의 정서적 일체감만이 있다.
2016년 면접 문제에서, 1번과 2번은 윤리의 근원으로서 ‘연민’을 들고 있다. 맹자의 ‘혼종’을 말하면서 측은지심으로 일컫는 연민이 윤리적 행위의 원천이자 왕도정치의 출발점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연이어서 이러한 윤리의 근원으로서 연민이 실제의 삶속에서 실천되어질 때 부딪치는 딜레마로서 인애(仁愛)를 지적하고 있다. 왜 보지 않은 대상에게 우리의 연민이 나아가지 못하는지를 묻고 있다. 3번과 4번은 죽음과 삶을 대하는 오딧세우스와 아킬레우스의 태도를 비교하면서 현재 살아가는 삶에서 우리에게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묻고 있다. 죽음을 사고한다는 게 우리를 절망 속으로 몰아넣지만은 않는다. 죽음은 삶의 의미를 일깨움으로써 현재의 삶을 충실하게 해준다고 한다.
2017년 문제, 오전은 세 개의 제시문들에서 드러난 자연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물었다. 지금의 생태위기를 넘어서려면 우리의 자연에 대한 태도가 어떠해야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나와 견해가 다른 사람들이 나에 대한 비판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묻고 있다. 오후에는 무의미한 삶의 사례와 대비하여 의미있는 삶이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요구하고 있다. 내가 제시한 의미있는 삶이 다른 제시문의 ‘좋은 상태’의 인생과 부합되는지를 묻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행복하지 않은 사회에서 우리에게 의미있는 삶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답이 나온다.
물어보는 논제가 고등학교의 충실한 학생활동이 뒷받침되어야
묻는 형식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논술의 논제와 다를 바가 없다. 그 형식에는 제시문내 인물 들 또는 제시문 간의 차이점을 물어보는 비교 유형이 매해마다 빠지지 않고 나왔다. 또한 제시문과 연관되는 사회적 현상을 묶어서 설명하면서 그 현상과 관련된 구체적 사례를 우리 사회 현실에서 찾아 낼 수 있어야한다. 상호 대립되는 제시문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면서, 그 중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제시문들의 입장에서 오는 비판에 대하여 반박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하다. 제시문의 논지를 근거로 특정 상황이나 인물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기도 한다. 구체적인 사례를 들면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것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2016년 입시에서는 유추의 문제도 믈어보았는데 제시문을 근거로 답하여지지 않은 상황에 대하여 빈칸을 채원넣는 논리적 추론 능력 역시 중요하였다.
서울대학은 학생부 종합을 선도적으로 이끌었다. 논술도 어떤 대학보다 일찍 폐지하였고 학생부와 개별면접을 중심으로 학생들을 선발한다. 물어보는 논제에서도 겉치레의 학종이 아니라 실제 학교 생활에서의 충실한 활동을 확인해보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생기부를 멋있게 채워서 면접관에게 보여주는 독서활동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실제로 면접현장에서 이러한 활동이 얼마나 진실하게 이루어졌는가를 확인하려한다.
2015년 입시의 논제에서 ‘본인이 읽은 책에서 적절한 인물 하나를 예로 들어서’ 라고 묻듯이 답변해야하는 범위가 한정되어져있다. 이는 2017년 입시 논제에서도 ‘유의미한 인생’에 답할 때도 최소한 하나는 문학작품에서 택할 것으로 못을 박아서 물어보기도 한다. 이런 질문에 읽은 책이 없다면 답하기 어렵다. 전제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답하기 쉬울지 모르나 재학 중 충실한 독서활동이 없다면 답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단기적인 차원에서 준비하는 것이 역시 쉽지 않다. 따라서 학종이 요구하는 본연의 활동에 충실한 것이 답이라고 할 수 있다.
일산 벼리아카데미 박우현 원장
[2018 SKY심층면접]저자
현)벼리논술 (대치/일산) 원장
현)강남KNS바칼로레아 강의
서울대 일반전형/고대국제인재/연대 언더우드, 하스
031-922-6544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