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3명은 역류성식도염을 앓고 있다고 한다. 역류성식도염은 초기에는 약간의 소화불량 정도를 호소하지만, 만성적으로 심해지면 가슴이 답답해지고 목의 이물감, 속쓰림 등의 증상으로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대구 수성구 K씨의 경우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 식도염이 생긴 케이스에 속한다. 약국에서 약을 먹고 증상이 나아졌지만, 약을 중단하면 증상이 심해져서 나중에는 가슴이 답답하고 숨쉬기 힘든 경우도 생기고, 목에 무언가 걸린 듯한 이물감도 심해져서 잠을 못자는 경우도 많아졌다. 병원을 찾아 내시경 검사를 해보았지만 의외로 식도와 위는 가벼운 염증정도라는 진단을 받게 되었다. 약을 두 달 정도 복용했지만 약을 중단하니 다시 증상이 재발되었다.
이처럼 역류성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을 가리킨다. 위와 식도 사이에는 괄약근이 있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경우엔 이 괄약근이 작용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는다. 하지만 괄약근의 조절 기능이 약화되면 위와 식도의 경계 부위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되고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에 염증을 유발시키게 된다.
대구 수성구 시지 경희예한의원 김신형 원장(한의학 박사)은 “내시경 검사 상 큰 이상이 없는 역류성 식도염이나 만성위장질환은 담적병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담적은 위장근육운동이나 소화력을 떨어뜨려서 위산의 역류를 일으키고 위장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담적은 위장 외벽 근육층에 노폐물이 쌓이고 굳어진 위장근육층의 이상증상을 말한다. 담적병이 생기면 위가 위치한 부위인 배꼽과 명치 사이를 눌러보면 딱딱한 부분이 만져지고 깊이 누르면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담적이 발생한 경우 명치끝이 답답하고 메쓰꺼우며, 식사를 하면 잘 체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 가스가 잘 차고 항상 속이 더부룩하며 대변을 보아도 시원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담적병의 가장 큰 특징은 본인은 증상이 심해졌다고 느끼지만, 위 내시경 검사로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위내시경은 위내부 점막만을 살피기 때문에, 위장의 근육조직을 파악하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담적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복부촉진을 통해서 위장상태를 살피고, 위장기능 상태를 파악해서 치료방향과 기간, 예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방(韓方)에서는 개인별로 위산의 역류와 소화불량 등의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을 찾아서 치료한다. 흔히 한가지 민간요법이나 특효약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데, 같은 담적병이라도 원인에 따라서 치료법이 달라지 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오래된 담적병의 경우에는 장기적인 치료와 함께 음식조절이 동반되어야 한다. 가벼운 소화불량이나 일시적인 식도염은 1-2주 내로 소화제 복용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만성적인 담적병은 적어도 2-3개월 이상의 식이조절과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가스가 많이 차는 밀가루 음식이나 라면 등의 인스턴트식품은 위장운동을 저하시키고 위점막을 자극하기 쉽다. 너무 맵고 자극적인 음식, 신맛이 강한 음식은 위산분비를 촉진해서 속쓰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