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풍납동 ‘풍납토성 지역 보존 논란’이 집단민원으로 번져가고 있다.
지난 5월 ‘유구 훼손 사건’을 계기로 풍납토성은 여론의 한 가운데 놓였었다. 이후 경당연립 부지를 비롯
한 풍납동 일대가 사적이나 문화재 지구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재건축을 추진 중이던 경당연립, 미래마을, 외환은행조합 뿐만 아니라 풍납동 주민들 대부분이
문화재 학계 등에 불만을 갖게 됐다.
주민들은 “일부 학자들이 언론플레이를 통해 풍납동 주민들을 매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풍납토성 일대
의 문화재적 가치에 대한 학술적 검증보다 언론을 통한 ‘여론몰이’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송파구의회 이병용 의원은 “재산권을 보호하려는 주민들의 요구가 반문화적인 이기주의로 호도 돼선 안 된
다”며 “주민들 사이에 일부 사학자와 언론에 대한 피해의식과 불신이 깊어가고 있다”고 걱정했다.
현재 유구 훼손 사건이 일어났던 경당연립터는 사적으로 지정돼 재건축이 중단, 당국과 조합간에 보상 협상
이 진행중이다. 보상액 규모가 300억∼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견해차가 커 어려움을 겪고 있
다. 미래마을 등에서는 공사가 유보된 채 유적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재건축을 시작한 주민들은 이렇다할 결론 없이 시간이 흐르는 것을 가장 걱정하고 있다. 수십억 원에 이르는
금융비용이 고스란히 조합원들의 부담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지역이 슬럼화 되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적지않다. 문화재 보존 지구로 묶여 풍납동 전지역의 건축 행위가
전면 중단되면 ‘죽은 마을’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이다.
더욱이 일부인사들이 ‘이 일대를 30년만 묶어 놓으면 보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
면서 주민들의 불만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미래마을 재건축 조합 박현하 조합장은 “여러 차례 물난리로 토성이 쓸려갔을 때 토성을 다시 쌓아 지켜온
것은 주민들이었다”며”정부는 풍납토성과 함께 살아온 주민들이 기쁜 마음으로 따를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문화재 보존에 반대하는 게 아니라 피해를 강요하는 절차와 방법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학계의 주장 못지 않게 이곳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난 5월 ‘유구 훼손 사건’을 계기로 풍납토성은 여론의 한 가운데 놓였었다. 이후 경당연립 부지를 비롯
한 풍납동 일대가 사적이나 문화재 지구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재건축을 추진 중이던 경당연립, 미래마을, 외환은행조합 뿐만 아니라 풍납동 주민들 대부분이
문화재 학계 등에 불만을 갖게 됐다.
주민들은 “일부 학자들이 언론플레이를 통해 풍납동 주민들을 매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풍납토성 일대
의 문화재적 가치에 대한 학술적 검증보다 언론을 통한 ‘여론몰이’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송파구의회 이병용 의원은 “재산권을 보호하려는 주민들의 요구가 반문화적인 이기주의로 호도 돼선 안 된
다”며 “주민들 사이에 일부 사학자와 언론에 대한 피해의식과 불신이 깊어가고 있다”고 걱정했다.
현재 유구 훼손 사건이 일어났던 경당연립터는 사적으로 지정돼 재건축이 중단, 당국과 조합간에 보상 협상
이 진행중이다. 보상액 규모가 300억∼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견해차가 커 어려움을 겪고 있
다. 미래마을 등에서는 공사가 유보된 채 유적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재건축을 시작한 주민들은 이렇다할 결론 없이 시간이 흐르는 것을 가장 걱정하고 있다. 수십억 원에 이르는
금융비용이 고스란히 조합원들의 부담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지역이 슬럼화 되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적지않다. 문화재 보존 지구로 묶여 풍납동 전지역의 건축 행위가
전면 중단되면 ‘죽은 마을’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이다.
더욱이 일부인사들이 ‘이 일대를 30년만 묶어 놓으면 보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
면서 주민들의 불만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미래마을 재건축 조합 박현하 조합장은 “여러 차례 물난리로 토성이 쓸려갔을 때 토성을 다시 쌓아 지켜온
것은 주민들이었다”며”정부는 풍납토성과 함께 살아온 주민들이 기쁜 마음으로 따를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문화재 보존에 반대하는 게 아니라 피해를 강요하는 절차와 방법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학계의 주장 못지 않게 이곳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