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과학>은 문·이과 통합을 위한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 신설된 과목이다. 그 이전의 융합과학과 거의 비슷한 내용으로 중학교 과학 정도의 개념이 30~50% 가량 섞여 있고, 이후 배울 선택 과탐 과목의 일부 내용을 간단히 다루고 있다. 우주 탄생서부터 현재까지의 자연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과학 기술 발달에 따른 과학적 소양 함양을 목표로 한 과목이다. 또한 과학과 기술에 대한 융합적 사고력을 키우는 차원에서 마련되었다.
‘2022 개정 교육 과정’의 통합과학은 현행 통합과학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학기별로 통합과학 1과 2로 나누어진 것 외에 첫 단원에 ‘과학의 기초’가, 마지막 단원에 ‘과학과 미래 사회’가 추가되었는데 이들 단원은 정보 과학 요소들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행 과탐 선택 과목들은 크게 일반 선택, 진로 선택, 융합 선택의 각 영역으로 나뉘어 세분화 되었다.
문제는 2028 수능서부터 통합과학이 필수 상대평가 영역으로 지정된 것이다. 개정 시안에 따르면 현행 개별 과목에 치우친 암기 위주 평가에서 사회/과학 전반을 다루고 논리적 사고 역량을 키우는 융합 평가로 개선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현행 통합과학의 학교 기출문제를 살펴보자. 어떤 학교에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평범한 문제를 출제한 탓에 만점자가 많아져 한 문제 틀린 학생이 3등급을 받는 경우가 있는 반면, 또 어떤 학교는 선택 과탐 과목과 연계된 단원의 문제를 수능형 모의고사 문제로 다수 출제해 제한된 시간 안에 모두 풀어내기 어렵게 출제하는 경우도 있다. 일단 시안 설명에서 현행 17개 선택 과목을 다 공부해야 한다거나 심층적 내용으로 고난도 문항(킬러 문항)을 출제할 것이라는 예측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렇다고 학생들의 실수를 유도하는 ‘말장난’같은 문제를 출제할 것이라 보기도 어렵다. 개정 시안은 이 모두를 지양한다는 것이다.
도대체 어떤 평가란 말인가.
2028 수능 개편안에 대한 수학·과학계의 거센 반발 또한 넘어야 할 과제임이 분명하다. 현행 제도 하에서도 많은 부작용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진로와 연계된 학습은 언감생심이고 과목 선택의 유불리만 따지는 일이 당연시 되지 않았나. 이미 물리학을 배우지 않고 기계 공학부를 진학하는 학생이나 화학을 공부하지 않고 화공학과를 진학하는 학생은 드문 경우가 아니다. 하물며 현행 제도에서도 이럴진대 이제 고등학교 3년, 아니 그 이상을 통합 사회/과학만 주구장창 공부하는 학생들이 많아져 학생들의 기초 소양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는 학계의 걱정스러운 불만을 그냥 지나치기는 어렵다.
통합과학의 각 단원을 뜯어보면 양질의 문제를 출제할 만한 부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3년 동안 통합과학을 공부한 학생을 대상으로 과연 그것이 통할지는 미지수이나 물리학과 화학에 대한 단원과 지구과학과 생명과학의 일부 단원에서 변별력을 확보한 문제를 출제할 것으로 보인다. 때에 따라서는 이론상 부족한 부분을 제시문을 써서 출제할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 출제 경향성을 전혀 알 수 없는 지금의 입장에서는 통합과학의 각 단원에 해당하는 현행의 선택 과탐 영역까지 충분히 공부해두는 방법 외에는 특별한 조언을 하기는 힘들 듯하다. 한 번에 난이도 높은 문제까지 가려고 하지 말고 여러 번 반복해서 조금씩 깊이를 더해간다는 생각으로 공부하면 되지 않을까. 교육과정 개편과 수능 개편으로 걱정되고 혼란스러울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깊이 공감하며 어떤 개편안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실력을 갖출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일산 후곡 제피로스수학과학학원 방현수 원장
위치 일산서구 일산로 558 서울프라자 3층
문의 031-923-6889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