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성적, 재학생과 졸업생의 비교
정시 비중이 줄고, 수시에서 수능 최저 등급 기준이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정시를 졸업생들의 잔치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지금은 정시의 비중이 늘면서 그나마 고3 현역 아이들도 예전보다는 정시 생각을 많이 하지만, 여전히 정시라고 하면 겁을 내는 아이들이 많은 것 같다.
다음은 2022학년도 수능 시험에서 1등급과 2등급을 받은 재학생과 졸업생의 비율이다. (국어를 예로 들면, 수능 응시 재학생 중 2.5%, 수능 응시 졸업생 중 8.2%가 1등급을 받았다는 의미이다.)
확실히 졸업생의 성적이 좋다. 2등급 이내의 성적을 받은 학생 수를 비교해 보면 국어는 3배, 수학은 5배, 영어는 2배 가량 차이가 난다. 게다가 2022학년도 입시에서 서울 소재 대학의 재수생 비율이 35.3%였다고 하고, 2020학년도 서울 소재 12개 대학 정시 합격자 중 65.6%가 재수생이었다고 하니 정시를 두려워하는 심정을 알 듯도 하다.
그런데 사실, 2018학년도 수능 시험만 해도 재학생과 졸업생의 성적 격차가 이 정도로 심하지는 않았다.
재학생만 보면, 2등급 이내의 성적을 받은 비율이 국어는 1.6%p, 수학은 7.7%p~6.7%p, 영어는 1.5%p 정도 줄어들었다. 국어와 수학에서 2배 살짝 넘던 격차가 2022 수능에서는 각각 3배, 5배로 벌어진 것이다. 시험별 응시 인원의 차이와 시험 난이도의 차이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격차가 상대적으로 벌어진 것은 맞는 듯하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왜 성적 격차가 벌어졌을까, 하는 점이고 두 번째는 그래서 정말 재학생은 정시로 대학을 가기 힘든가, 이다.
재학생과 졸업생의 성적 격차가 벌어진 이유
사실, 왜 성적 격차가 벌어졌는가는 우리가 대답할 수 없다.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추측을 해 보자면 코로나19로 인한 학업 격차, 재수생의 비율 증가(2018년 대비 2022 수능에서는 3.3%p 가량 재수생의 비율이 늘었다.) 등을 이유로 들 수 있겠다. 하지만 이것들보다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체감하는 바로는 정시에 대한 마음가짐의 차이가 가장 크지 않을까 한다.
재수생이 현역보다 수능에서 유리한 것은 1년을 더 공부한다는 것과 다른 것에 시간을 빼앗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시간의 절대적 투자량의 우위와 항상성의 유지가 성적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데 재학생은 이와 반대로 갔다. 더 많이 수시에 집착했고, 수능 공부에는 시간을 투자하지 않았다. 선택의 문제이긴 하지만, 이것이 성적 격차가 벌어진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된다.
정시에서 졸업생 비율이 높은 이유
각 표에서 ‘인원’ 항목을 보면 재학생의 성적이 나쁘지만은 않다. 2022 수능에서는 수학에서 재학생의 수가 많이 줄긴 했지만 2018 수능만 보더라도 모든 영역에서 재학생의 수가 더 많다. 그렇다면 왜 정시에서 졸업생이 강세를 보인다고 하는 것일까?
이는 수시에서 재학생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즉 수능 성적 상위권 학생 중에서 수시로 대학에 합격하는 아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졸업생의 다수는 정시로 대학에 진학하지만, 재학생은 수시와 정시로 분산이 되니, 정시에서 재수생의 강세가 두드러지게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수능, 끝까지 노력해야 한다
2023 입시에서는 서울 소재 주요 대학의 정시 비율이 40~45%가량 되어, 이제는 재학생 중에서도 정시를 생각하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수시에서 해결을 봐야한다는 인식이 팽배한 것 또한 명백한 사실이다.
재학생은 정시로 대학을 가기 어렵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정시는 생각보다 가까이 있다. 그러니 부디 많은 아이들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최선을 다해서 원하는 대학에 합격했으면 한다.
한얼국어학원 원장, 조지웅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