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입을 여닫을 때 턱관절 주변에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을 느끼거나,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개구장애 등이다. 통증과 개구장애가 나타나면 대부분 병원을 바로 찾아오지만, 턱관절 주변에서 소리가 난다고 바로 병원에 오는 환자는 많지 않다. 하지만 턱에서 나는 소리를 사소하게 생각해선 안 된다. 그 이유에 대해 일산 리빙웰 치과병원 김현철 병원장(치의학박사)의 상세한 설명을 들어보았다.
도움말 일산 리빙웰 치과병원 김현철(치의학박사) 병원장
턱관절 근육통 방치하면 턱관절 내 디스크에 염증 생기기도
턱관절 증상으로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 소염진통제와 근육이완제 등을 처방한다. 환자에 따라서는 입안에 넣는 교합안정장치를 처방하기도 한다. 아플 땐 쉬는 게 최선이다. 일단 쉬다 보면 자연스럽게 회복하기도 하고, 휴식과 치료를 병행하면 더 빨리 낫는다. 교합안정장치를 처방하는 것은 턱관절을 쉬게 하기 위해서다. 교합안정장치를 영어로 ‘스플린트(splint)’라고 하는데 이는 ‘부목’을 말한다. 다리를 삐끗해서 불편해지면 부목으로 묶어놓는데 이게 스플린트다. 다리를 쉬게 하듯 턱관절을 쉬게 하기 위해 착용을 권한다. ‘치아는 산과 계곡처럼 홈이 있어 움직일 때마다 서로 부딪히며 외상을 준다’는 근거 하에 부목 치료가 시작된 것이다. 외상을 주지 않고 쉬면 근육통 개선에 바로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 근육통을 방치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턱관절도 허리처럼 디스크 관절 원판이 들어 있다. 허리나 턱관절이나 우리 몸에 있는 디스크는 혈행(피의 흐름)이 없다. 그래서 디스크 자체에는 피 공급이 안 된다. 디스크 주위 조직이 피 공급을 받으면 그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다. 턱관절은 위에 턱과 아래턱에 있고, 그 안에 똑같이 디스크가 들어 있다. 턱관절 내 디스크는 앞쪽에 근육이 2개, 뒤쪽에 근육이 1개가 달려 있다. 말을 하는 순간 입을 벌리면 앞쪽 근육과 뒤쪽 근육이 거의 동시에 움직이며 턱이 벌어지고 이 과정에서 디스크도 움직인다. 외상으로 턱관절에 근육통이 생기면 근육이 계속 긴장 상태에 있게 되고, 움직일 때마다 디스크에도 부담이 가해져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턱관절 관절 원판(디스크) 손상되면 탈출증 생길 가능성 커져
턱관절은 주변 근육이 정상일 때는 자연스럽게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하며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턱관절 디스크도 움직인다. 그런데 턱관절 근육이 긴장하면 디스크의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고, 움직일 때마다 소리가 난다. 입을 벌리거나 다무는 과정에서 디스크가 움직이며 ‘툭툭’하고 소리가 난다. 이때 나는 소리의 변화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하지만 치과에서는 턱관절 치료 시 소리 나는 증상을 치료의 목표로 삼지 않는 경향이 있다. 통증이나 개구장애처럼 긴급하게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턱관절에서 나는 소리를 결코 가볍게 봐서는 안 된다. 턱에서 나는 소리는 외상이 생기는 과정으로 봐야 하고, 이를 계속 방치한다는 건 만성 외상을 만드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다 보면 허리에 디스크 탈출증이 나타나는 것처럼 턱관절 디스크도 탈출증이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면 입이 안 벌어지고, 통증을 동반하며, 치료 과정이 복잡해진다. 처음엔 턱을 움직일 때마다 내 귀에만 소리가 들렸다. 하지만 계속되는 외상으로 관절 원판이 손상되고, 턱뼈에도 변이가 생기면 이제는 턱에서 나는 소리가 다른 사람에게도 들리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이건 아주 나빠진 상태를 말한다. 턱관절에서 나는 소리를 방치하기보다 소리가 날 때 원인을 파악하고 빨리 회복 시켜 주는 적극적인 치료가 꼭 필요한 이유다.
양지연 리포터 yangjiyeon@naver.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