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에 최소 150명 이상의 수험생(학부모)들과 면대면 상담을 하다 보면 ‘대학과 학과’ 선택, ‘진로 설정’의 선택형 질문을 많이 받게 된다. 흔히 문과는 ‘대학(브랜드)’, 이과는 ‘학과(전공)’로 도식화된 해답으로 위안을 받으려 하는 경향성이 있다. ‘과거’를 통해 미래를 판단하고 예단하기보다는 ‘미래’ 사회를 예측하고 ‘현재’를 결정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1. 대학(브랜드) 선호 type –> 결국은 내가 brand화 되어야
수시 지원은 원하는 대학과 학과를 모두 염두에 두고 버거운 목표를 향한 도전을 즐긴다. (추합) 기대와 (재수) 공포가 공존하는 정시 지원에는 이과생까지 대학(브랜드)를 자존심처럼 지키려는 선택을 많이 한다. ‘묻지마 학과’를 외치며 입학한 명문대 졸업생의 타이틀을 어렵사리 얻었지만 취업 성공, 전문성 경쟁에서 부족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결국 생소한 전공 선택, 흥미와 열정이 부족했던 학과 공부가 본인만의 storytelling, 자신만의 brand화를 위한 준비에 저해 요소는 아니었을까?
2. 학과(전공) 선호 type –> 나만의 style과 진지한 story를 입혀야
이과생의 경우는 이미 정해진 진로와 자격요건을 채우면 나름 ‘보장’이 되는 의약, 보건계열이나 취업 경쟁력이 높은 공대 내 ‘전화기’나 컴공 분야 등 학과 하나만을 보고 직진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인정과 존경 받는 그룹에 진입하려면 급변하는 세상을 읽는 나만의 식견과 통찰, 인문학적 소양까지 요구된다. 적어도 30분은 모니터(스마트폰) 사각화면에서 탈출(?)하여 책장을 넘기거나 사색을 통해 자신만의 생각 논리를 톺아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현실에서 보면 대학들은 학생(학부모)들의 고민에 이미 선제적으로 해결책을 준비해 놓았다. 졸업학점도 120학점까지 낮아졌고, 성균관대와 서강대는 복수전공을 넘어 3중전공에도 10% 내외 학생들이 도전하고 있다. 올해 전과 TO를 20%로 확대한 한양대, 막혀 있던 전과를 21학번부터 전면 개방한 고려대까지 고객처럼 학생을 존중하는 행정 릴레이를 하고 있다.
내면의 풍경을 읽어내는 ‘인문’학적 호흡과 AI, 빅데이터 ‘과학’으로 세상 분석, 대학과 학과 선택의 이분법보다는 대학 생활에서 자신만의 스토리와 브랜딩을 하기 위한 여러 전공과 지식 분야의 융합-통섭의 시도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연구소 - 공감과 통찰 정해석 소장
문의 010-6257-7972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