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 이미 도착했지만 우리가 인지하지 못한 것.”
평촌에서 십여년을 국어를 가르치다보니 마치 데자뷰처럼 해마다 경험하는 일이 있다. “중학교 때는 괜찮던 국어성적이, 고등학교 올라가서 갑자기 떨어졌어요.”라는 하소연이다. 왜 똑같은 국어 과목인데, 갑자기 성적이 나빠지는 사례가 많은 것인가?
첫째, 개념어를 모르기 때문이다.
중등국어과 고등국어의 가장 큰 차이점을 꼽으라면 개념어의 난이도가 다르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이 시에서는 애상적 심상을 통해 화자의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라는 선택지를 만났을 때, ’애상哀傷‘이라는 개념어가 슬픔이라는 것을 모르는 학생이 있다면 본문에 대한 준비를 아무리 착실하게 했다고 해도 질문의 의도를 모르기 때문에 속수무책이 된다. 중학교 시험에서는 애상은 슬픔으로, 심상은 이미지로, 내면은 마음으로 출제되었을 것이다.
둘째, 외부작품을 모르기 때문이다.
중등시험과 고등시험의 목적이 다르다. 절대평가 방식의 중등시험과 달리, 고등시험은 상대평가로 내신 등급을 가르기 위한 변별력이 있는 문제를 출제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지문을 낯선 외부작품과 비교하는 문제를 출제한다. 중학생 때는 시험범위 지문만 착실하게 공부하면 되었는데, 갑자기 시험범위에서 보지도 못한 작품을 시험지에서 만나게 된 학생들은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셋째, 학교별 출제 경향을 모르기 때문이다.
지역 내 고등학교의 국어시험지를 함께 펼쳐놓고 비교해보면, 이게 같은 교과과정의 시험지가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다양하다. 몇몇 학교는 아예 교과서를 사용하지도 않는다. 또한 학교마다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식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자신이 다니는 학교의 기출 경향에 준비되지 않은 학생은 적응하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유비무환有備無患. 미래는 준비하는 사람의 것이다. 첫 시험을 치른 후의 놀라움이 탄식의 놀라움이 아닌 기쁨의 놀라움이 되기를 응원한다.
숨인국어학원
이전구 원장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