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입 면접은 ‘두괄식 말하기’와 ‘구체적 말하기’ 두 가지 정도만 알아두면 면접 준비에 톡톡한 도움이 된다. 이번 글에서는 구체적 말하기에 관해 알아본다.
15분 내외의 짧은 면접 과정에서 추상적 말하기로는 좋은 점수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미지가 잘 그려지도록 구체적으로 명료하게 말해야 하는 이유다. 예를 들어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것은 훌륭한 시민입니다.’라고 말하기 보다는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것은 법을 준수하는 시민입니다.’라고 해야 평가자가 이해하기 쉽다. ‘그것은 교육이 나아갈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보다는 ‘그것은 유아교육이 나아갈 길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해야 면접자의 진술 의도가 잘 그려진다. ‘그녀는 감기에 걸렸다’라고 말하지 말고, ‘그녀는 콧물이 나고 열이 난다’라고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화법을 모의면접을 하면서 몸에 익혀야 한다. 그렇다면 ‘구체적 말하기’ 사례를 예를 들어 살펴보자.
■구체적 말하기 예시 [1]
<수정 전>
저는 어렸을 때부터 축구를 정말 좋아했습니다. 고3이 된 지금까지도 축구를 정말 사랑합니다. 축구에 대한 열정은 어떤 지원자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습니다.
<수정 후>
저는 축구를 정말 좋아해서 매주 토요일 파주에 있는 축구장에서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친구들과 축구를 합니다. 축구에 대한 열정은 어떤 지원자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습니다.
자, 이제 수정 전과 수정 후를 곰곰이 살펴보자. 체대를 지원하는 동일한 학생의 진술 내용이지만, 수정 후가 선발될 확률이 높다. 진술 내용이 생동감 있고 덕후의 느낌이 물씬 나기 때문이다.
■구체적 말하기 예시 [2]
<수정 전>
저는 좋은 국어교사가 되고 싶었습니다.
<수정 후>
저는 고3 독서 교과서 구성이 산만하다고 느꼈습니다. 국어 교사가 되면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교과서를 새롭게 재구성해 보고 싶습니다.
이 경우도 수정 후가 뽑힐 것이다. 수정 전은 좋은 국어 교사에 대한 설명이 추상적이고 막연하기 때문이다.
■구체적 말하기 예시 [3]
<수정 전>
고등학교 2학년 때 배운 ‘정치와 법’ 과목은 시사상식에 둔감했던 제게 두려움의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두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수정 후>
고등학교 2학년 때 배운 ‘정치와 법’ 과목을 공부하면서 토론과 과제탐구 주제들이 시사상식과 관련된 것이 많았습니다. 신문이나 방송을 보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던 저는 처음에는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하지만 대체복무와 관련한 위헌 판결 내용에 관한 시사 뉴스가 헌법의 사상의 자유와 연관된다는 점을 이해하면서 시사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이 사례 역시 수정 후가 선발될 확률이 높다. 평가자가 알기 쉽게 밝혀서 말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말할 때는 표현 의도에 맞는 단어를 선택해서 명료하게 말해야 한다.
■구체적 말하기 예시 [4]
<수정 전>
1. 팀프로젝트 주제를 정할 때 친구들은 저와 생각이 전혀 틀렸습니다.
2. 공부하지 않은 부분인데도 정답을 많이 맞췄습니다.
<수정 후>
1. 팀프로젝트 주제를 정할 때 친구들은 저와 생각이 전혀 달랐습니다.
2. 공부하지 않은 부분인데도 정답을 많이 맞혔습니다.
이렇듯, 문맥에 맞지 않거나 부정확한 단어를 사용하면 말의 의미기 불분명해지거나 부적절해져서 진술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 함께 떨어진다. 맥락에 꼭 맞는 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어휘력이 밑받침돼야 한다. 평소에 사전을 찾아보는 습관을 들이면 도움이 된다. 말을 할 때 자신의 의도에 맞는 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의어 사전을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음 글에서는 ‘비유, 묘사, 비교/대조, 예시’ 말하기 방법을 살펴본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