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동사’라는 이름은 왜, 그리고 어떻게 쓰고 어떤 느낌을 갖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사역동사 이해의 첫걸음 to
to의 기원은 전치사로 쓸 때나 to부정사로 쓸 때나 같다. to의 정확한 뜻은 in the direction of ‘~의 방향으로’이다. 즉, 표현하고자 하는 느낌은 바로 ‘~로 향함’이다. 전치사 to가 ~로 착 달라붙는 느낌을 이해하면, 결국 어떤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어떤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향하여’ 그 뒤에 나오는 ‘결과’를 내는 것이 바로 to라는 단어의 본질이다.
따라서 ‘앞으로’라는 느낌이 들어있는 동사들은 그 뒤에 거의 to부정사를 쓴다. plan + to V(앞으로 ~할 것을) 계획하다, promise + to V(앞으로 ~할 것을) 약속하다, expect + to V(앞으로 ~할 것을) 기대하다. 그런데 여기가 ‘사역동사’에 대한 의문이 풀리기 시작하는 기점이다.
사역동사(Causative verb)는 cause(~를 일으키다, ~를 야기하다)에서 출발했다. 사역(使役)이라는 문법 용어는 남에게 일을 ‘시킨다’라는 뜻. 그러나 대부분 해석을 ‘시키다’로 번역하면 각 단어의 뉘앙스를 전달하기에 무리가 있다. 대표 사역동사 make, let, have를 각 예문을 통해 살펴보자.
대표적인 사역동사 make, let, have
이 두 문장을 보면 그 차이를 바로 느낄 수 있다.
I'm going to make him study hard from now on. 지금부터 그가 열심히 공부하도록 만들겠다.
Let me know her name. 그녀의 이름을 알려 주세요.
자세히 보면 두 단어는 많이 다르다. make는 뒤에 나오는 목적어가 ‘~하게 만들다’라는 누군가에게 행동을 강제로 시키는 느낌을 가지는데, let은 목적어가 어떤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라는 뜻. 보통 목적어가 그 행동을 원하는 경우에 let을 쓴다. 정리하면 make는 ~하도록 만드는 주어의 의지가 강하다. 반면 let은 목적어의 의지에 따라 그렇게 하도록 ‘허락’하는 표현이다.
have는 굳이 사역동사의 관점에서 따지면 make와 let의 중간 정도에 해당해서 우리말로 딱 부러지게 번역하기 어렵지만 주로 요청, 부탁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Have her come here. 그녀를 여기에 오게 하라.
직역하면 여기로 오는 그녀를 갖게 하라. 언어 인지학의 관점에서 have는 possess(소유하다)에서 파생되어 이 근본 의미는 변하지 않고 have라는 고유의 그림을 가지고 다양하게 쓰일 뿐이다.
그러면 사역동사에서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 왜 목적어 뒤에 to를 삭제했을까? 이 사역동사들의 특징은 바로 뒤 목적어가 그 뒤에 나오는 것 쪽으로 ‘가도록’ 만드는 것이 아니라 어떤 행위나 상태를 즉각 하게 하거나, 즉각 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쪽으로 가는’ 그림을 가지고 있는 to는 들어가면 안 된다. 즉, ‘목적어가 ~한 결과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다’라는 것이 일반 동사+목적어+to V의 구조라면 사역동사는 to 없이 바로 목적어를 동사하게 만드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기법’에 불과하다.
준 사역동사의 정체는?
전통 문법에서는 get을 ‘준사역동사’라고 부른다. 사역동사에 준한다는 말의 의미는?
get her to come here 그녀를 여기에 오게 해라.
이렇게 get은 목적어 뒤에 to가 나오기 때문에 완전한 사역동사는 아니고 ‘준사역동사’라고 외우란 말인가? 사역의 의미가 있는데 get은 아니라고?
get의 근본의미는 ‘obtain(얻다), reach(도달하다), beget(야기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원래 어떤 출발점에서 어떤 결과지점으로 도달하고 그것을 ‘야기한다’라는 그림을 가지고 있어 to의 ‘~로 향함’의 그림과 어울려 이 습관이 그대로 문법으로 정착하였다.
I will make my son to do his homework first.
I will get my son to do his homework first.
두 문장에서 아들을 어떻게 하려는 것일까? 무슨 수를 써서라도 ‘강제로 숙제를 하게 만들겠다’라는 말의 뉘앙스는 make, ‘설득’해서 숙제라는 행위를 하게 하는게 get의 느낌이다.
중세에 언어의 마술사인 작가들은 언어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이 사역동사의 어감 자체를 살리는데 to를 쓰는 게 맞는지, 생략하는 것이 맞는지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그래서 처음에는 혼용하다가 나중에 점점 쓰지 않는 방향으로 기울어 현대영어로 넘어왔다.
사역동사는 원래부터 있었던 게 아니라 이런 기본적인 동사들을 쓸 때 그 근본 뉘앙스를 발현하려는 노력이었다.
장덕진 원장
목동 초,중등 전문 영어학원 디잉글리쉬
문의 02-2642-0506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