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에는 내용과 형식이 있다. 보통은 이것들이 잘 맞물려 떨어질 때 일은 수월하고 결과는 탁월하다. 필자가 말하려는 국어 학습의 방법도 여기에 있다. 학습에서 ‘왕도’는 없다고 하지만 체계가 있다면 좀 더 과정과 결과에서 만족스러울 수 있다.
글에는 ‘내용’이 있고, ‘형식’이 있다. 이를테면 ‘시’의 경우 ‘내용’은 주제와 연결된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시적 대상, 시적 상황일 것이다. ‘형식’은 운율을 형성하는 방법과 시적 정서를 형상화하는 여러 수사법(비유, 상징, 심상 등)을 말한다. 그런데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정에서 본인이 학습하고 있는 것이 내용인지, 형식인지조차 모르고 무조건 외우거나 문제를 푸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그래서 필자는 제언을 하려 한다. 첫째, 일단 글을 대하면 내용과 형식을 나눠 본다. 예를 들어 글의 갈래를 아는 것도 형식이다. 글의 종류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내용만 공부한다면 글의 갈래에 따른 문제가 나올 때 당연히 틀릴 수밖에 없다. 또한 비문학을 대하는데, 내용 보기에만 급급해서 이 내용이 과정 중심으로 되어 있는지, 분석위주로 설명되어 있는지도 모르고 독해를 한다.
둘째, 내용과 형식의 연결고리를 생각한다. 문학에서는 보통 ‘의문형 어미의 반복을 통해 시적화자의 상황을 제시한다.’와 같은 선지구성을 좋아한다. ‘의문형 어미’가 반복된다는 것은 운율형성이나 설의법 같은 형식과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끝나지 않고 이것이 시적화자의 상황과 연결되는지의 내용일치 여부까지 묻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늘 여기서 빗금을 치고 문제를 풀라고 한다. ‘~를 통해’ 뒷부분과 앞부분을 나누어서 형식과 내용의 연결 관계를 잘 들여다보면 실수는 줄어든다.
중학교부터 배우는 ‘응집성’과 ‘통일성’이라는 개념이 있다. 각각 글에서 ‘형식’과 ‘내용’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 둘이 맞아 떨어질 때 글의 완성도는 높아진다. 학생들이 내용과 형식을 들여다보아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김종훈 원장
국어연구소맥
문의 031-411-954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