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의 글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통합과학의 주된 교육목적은 토론수업의 다양한 효과들을 교육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면서 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하자는 것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통합과학문제를 토론수업의 효과와 연결시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토론수업의 기본내용중 하나인 ‘논리성’과 관련된 문제가 있습니다. 책 읽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요즘의 학생들에게 가장 부족한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쓰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쓰시오”와 같은 문제들이 대표적인 유형들입니다. 과학적 현상에 대한 발생원인은 암기를 통해서 얻어진 지식들로 해결가능 하지만 왜 그런지를 쓰는 것은 과학적인 논리성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제대로 쓰기가 매우 어려운 내용이 되어 버립니다. ‘백문이 불여일견’ 이라는 말이 있듯이 ‘백청이 불여일사’라는 말도 있습니다. 백번 듣는 게 한번 생각하고 추론해보는 것만 못하다는 뜻입니다.
즉 외부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시청각신호들은 정보화과정을 통해 저장되는데 이때 논리성이 연결되지 못하면 단순기억으로 저장하게 되고 이는 위와 같은 유형의 문제에서 요구하는 과학적 논리력을 기를 수 없는 경우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무슨 방법을 써야 이런 논리력을 기를 수 있을까요? 그렇습니다. 정답은 바로 토론입니다. 본인이 학습을 통해 알게 된 새로운 내용들을 그 분야의 학문적 원리를 이용하여 명확히 이해한 후 내용을 정리하고 확인해봐야만 하는데 이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를 검증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성이 좋은 방법으로 여겨지는 것이 토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각을 할 수 있어야 토론은 가능하며 제대로 된 토론은 제대로 된 생각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되기 때문입니다. 현상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기본 자세는 바로 생각을 통한 의문을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상을 이해하고 내용을 저장하는데 있어 가장 좋은 방법은 토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끝으로 제대로 된 토론은 논리적이므로 쉽게 토론이 가능하며 이러한 특징은 토론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사용 될 수 있습니다.
코어과학전문학원
박찬석 원장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