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본 능안공원에서 매주 일요일 진행되는 ‘웃음클럽’이 300회를 넘겼다. 2009년부터 시작되었으니 햇수로만 8년이다. 누가 시켜도 한 것도 아니고 금전적인 보상이 주어지는 일도 아닌데, 이처럼 오랜 시간 ‘웃음클럽’이 진행되는 이유가 궁금했다. 웃음동아리 ‘감탄사’의 모임이 있던 수요일. 이들을 따라 실컷 웃고 난 후 미소보이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행복해지고 싶었던 한 남자
삶이 힘겨웠지만 행복해 지고 싶었고, 스스로 행복을 되찾고 싶었던 이찬희씨. 어느 날부터 회사 배지 아래 노란색 스마일 배지를 달고 다녔다. 모두들 의아해 했고, 때론 비웃기도 했지만 행복이 너무도 절실했기에 2년간 스마일 배지는 이씨의 가슴에 달려 있었다. 그러나 2008년. 알코올중독, 일중독, 건강이상, 이혼위기가 동시에 찾아왔다. 결국 이씨는 자살시도까지 하고 말았다.
벼랑 끝에 몰린 상태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해 참여한 ‘웃음 프로그램’은 이씨의 인생을 바꿔놨다. 이씨는 “2박3일 동안 미친 듯이 소리치다보니, 모든 것은 내가 선택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았다”며 “그 때 행복을 선택하기로 그리고 웃음을 평생동안 반복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이후 이씨는 직장을 그만두고 웃음을 업으로 삼았다. 그러나 말더듬이였던 그가 웃음강사가 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다. 모두들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웃음클럽의 시작
그 당시 아내도 이씨도 모두 직장을 그만둔 상태였지만 둘의 관계는 오히려 더 좋아졌다. 매일 웃고 있는 이씨의 모습에 모든 것이 변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모든 것이 좋은 건 아니었다. 말더듬이라는 꼬리표가 이씨의 새로운 도전을 방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나는 당신을 믿는다’는 아내의 말 한마디가 이씨에게 힘을 줬다. 이씨는 “사람들이 ‘야, 너는 말더듬이잖아’라고 말할 때마다 아내의 말을 떠올리며 힘을 냈고, 포기하고 싶을 때에도 그 말을 떠올리며 용기를 냈다”며 “아내의 그 말 한마디가 지금도 가장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그러한 이씨가 아내로부터 용기를 얻어 자신감을 키우기 위해 시작한 것이 바로 ‘웃음클럽’이다.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게 두려워 2달간 고민하다 산본 능안공원에 후배 한명을 데리고 나갔다. 그러나 그 다음주 후배는 오지 않았다. 너무 부끄럽다는 이유로. 그래도 이 씨는 한번 시작한 웃음클럽을 멈추지 않고 이어갔다.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래서 2009년 3월1일 시작한 웃음클럽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씨는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찾기 위해 ‘웃음클럽’을 시작했기 때문에 사실 1년 정도 하다가 그만둘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체감온도가 영하 25도로 매우 추웠던 어느날 ‘설마 사람들이 나올까?’ 반신반의 하면서 나갔는데, 10여분이 나온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며 “그 때부터 웃음클럽을 계속 하기로 다짐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2014년 5월부터는 산본 중앙도서관에서 재능기부로 ‘월요웃음치료’까지 진행하고 있다.
웃음동아리 ‘감탄사’와 미소보이의 꿈
올해 군포시 우수동아리로 선정된 ‘감탄사’는 이씨와 함께 웃음클럽을 이끌어갈 사람을 양성하려고 만든 동아리로, 이씨의 꿈을 도와줄 든든한 후원군이기도 하다.
이씨는 “지역의 행복문화를 만들어가는 ‘감탄사’같은 동아리를 전국에 만드는 것이 개인적인 비전”이라고 말하며, “전국에 만들어진 동아리들이 1년에 한번씩 모여 축제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후원하는 것도 자신의 꿈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 꿈은 더디지만 계속해서 진행 중이다. 감탄사 회원들은 이씨가 바쁜 일정으로 참여가 어려울 때 웃음클럽과 월요웃음치료를 이끌고 있다. 감탄사의 우순실 회장은 “웃음을 통해 나 자신이 행복해 지니까. 내 가정도 밝아지고 요양원이나 노인대학교 등에 봉사를 나가 사랑과 행복도 나눌 수 있어 너무 좋다”며 “작년 연말에는 선생님 대신 감탄사 회원들과 월요웃음치료를 진행했는데 웃음바다가 되어서 너무 행복했다”고 말했다. 또한 “누군가에게 웃음을 전파하는 일이 떨리고 두렵기보다는 그 자리에서 같이 웃을 수 있다는 자체로 너무 행복하고 즐겁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씨는 “자신의 닉네임 ‘미소보이’는 아름다울 ‘미(美)’에 웃을 ‘소(笑)’ 그리고 아이를 뜻하는 ‘보이(boy)’가 합쳐진 말”이라며 “모두가 아이들의 아름다운 웃음을 닮았으면, 그리고 아이들처럼 웃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경미 리포터 fun_seeker@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