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여름을 서늘하게 해줄 판타지 호러 영화 <손님>이 찾아왔다. 한국 공포영화의 단골 소재가 비현실적인 원혼이었다면 <손님>은 보다 현실적인 소재로 접근한다. 영화 속의 쥐떼는 겉으로 드러난 공포의 대상일 뿐, 더 무서운 것은 타인에 대한 적개심과 배타적인 태도, 그리고 인간의 이기심이다. 이러한 인간 내면의 비인간적인 심리로 인해 생겨나는 크고 작은 약속의 불이행에 대해 영화는 섬뜩하게 경고한다.
비밀스러운 마을에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손님
한국전쟁이 막 휴전으로 들어간 1950년대, 지도에도 없는 산골마을에 부르지 않은 손님이 찾아온다. 약장수를 따라 떠돌아다니는 피리 부는 악사 우룡(류승룡)과 그의 아들 영남(구승현) 부자가 영남의 폐병을 고치기 위해 서울로 향하던 중 여독을 풀기 위해 찾아온 것이다.
시끄러운 바깥세상과는 달리 마을은 촌장(이성민)의 강력한 지도 아래 주민들이 제 역할을 다하고 있어 모든 것이 풍족하고 평화롭다. 단 하나의 골칫거리는 시도 때도 없이 출몰하는 쥐떼들이다. 점점 난폭해져 사람까지 해칠 정도가 된 쥐떼는 주민들에게 공포의 대상으로 발전하고 주민들은 쥐 퇴치를 위해 갖은 방법을 써보지만 속수무책이다.
이를 해결해주겠다고 제안한 우룡과 촌장 사이에 계약이 이루어진다. 촌장은 우룡에게 쥐떼를 쫓아주면 아들 영남의 폐병을 고칠 목돈을 주겠다고 마을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약속한다. 우룡은 방책을 마련해 결국 쥐떼를 쫓아내지만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서 재앙은 시작된다.
토속 민간신앙과 서양 전설이 만난 재미와 공포
영화 <손님>은 ‘손’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토속 민간신앙에 독일의 민간 전설인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가 만나 탄생한 판타지 호러물이다. ‘손님’은 날짜에 따라 네 방향으로 돌아다니며 인간생활을 방해한다는 귀신인 ‘손’에서 온 말이다. 아직도 이사를 할 때 ‘손 없는 날’을 고르는 전통이 남아있을 정도로 민간신앙에서 ‘손’은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불쑥 마을로 들어선 우룡 부자에 대해 마을 사람들이 경계심과 두려움을 갖는 것은 이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의 소재와 스토리 구성은 ‘피리 부는 사나이’와 흡사하다. 골칫거리 쥐떼, 지도자(시장·촌장)와의 약속, 피리를 불어 쥐를 몰아내는 방법, 약속 불이행과 그에 대한 보복 등의 전개가 동일하다. 다른 것은 거래의 배경과 보복의 강도다. 단순히 돈을 목적으로 한 계약이 아니라 아들의 병을 고치기 위한 돈이라는 점에서 절실함이 더해지고, 단순한 약속 불이행에 대한 보복이 아니라 사랑하는 아들을 잃은 슬픔이 더해져 보복은 증폭된다.
이기심으로 지키지 않는 약속 섬뜩하게 풍자
약속을 지키지 않아 벌을 받고 있는 마을에 찾아온 손님, 그렇지만 주민들은 또 다시 손님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아 더 큰 벌을 자처한다. 촌장은 ‘살기위해 저지른 죄’라고 말하지만 그들의 죄는 어디까지나 이기심에서 시작된다. 우룡의 보복은 피리 부는 사나이의 보복보다 훨씬 잔인하고 섬뜩하다. 그렇지만 이를 대하는 정서가 ‘반감’보다 ‘공감’에 가까운 것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세상에 대한 응징에서 대리만족을 느끼기 때문은 아닐까.
이선이 리포터 2hyeono@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