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우리나라의 문해력(文解力)이 OECD국가 중에 최하위수준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나라처럼 학구열이 높은 나라에서 그게 무슨 소리인가 하는 의심의 눈초리로 반응하였지만, 교육업에 종사하는 입장에서 바라보면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는 자조의 목소리가 팽배하다. 하지만 누구 하나 이런 현실을 개탄만 할 뿐 문제원인과 구체적 대안을 말하지 않는다.
아마도 그것은 오늘날처럼 입시교육이 정치적 쟁점화 되어있는 현실에서는 어떠한 교육정책도 환영받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을 우리는 너무도 잘 알기에 서로 눈치만 볼 뿐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면 앞으로 수능도 어려워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하지만 수능 국어영역의 본령이 ‘국어능력의 제고’에 있다면 현재 고3들이 EBS문제집에만 몰두해 있는 것은 실로 안타까운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어쩌면 문해력이 떨어지는 일에 교육정책이 일조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문해력(文解力)은 ‘문서, 혹은 문장 해독능력’을 뜻한다. 다시 말하면 ‘독해력’과 ‘요약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말을 바꿔 다시 생각해보면 참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처럼 어려서부터 사교육비가 많이 드는 나라도 없다고 난리이면서 모든 공부의 출발점이 되는 국어문장 독해력조차도 기본기가 안 되는 현실이라니? 게다가 수능에서마저 ‘물수능’이라는 말까지 빈번히 등장하고 있는데도, 여전히 많은 학생들은 수능 국어영역 시험에서 시간 부족을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고 있다.
이러한 모순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너무도 자명하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독서교육, 독해교육의 부재라고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관행이 자연스러운 독서습관만을 강조하였고, 독해능력이 뒤떨어지면 모두 학생의 독서습관과 성실성의 문제로만 치부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정확하게 우리말의 기본적인 어휘체계와 그 범위를 언어발달 단계와 교과과정을 고려하여 한정하고, 우리말의 기본 문장구조를 체계적으로 학습시켜 읽기와 쓰기교육에 자연스럽게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문해력’은 지식의 습득과 사고력, 표현력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교육이 그토록 강조하는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력의 출발점이자 그 끝이라 할 수 있다.
최 강 소장
미담(美談)언어교육 연구소장
문의 : 042-477-7788 www.sindlin.com
주요이력
현 미담 국어논술 학원장
현 신들린 언어논술 학원장
현 해법독서논술 세종·대전북부지사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