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증은 불안장애의 범주에 속하는 정신과적 질환으로 정신적 고통의 크기가 매우 큰 편에 속합니다. 공황장애와 비교해보면 공황장애도 공황증상으로 인한 공포가 환자를 압도하기 때문에 그 고통이 매우 큰 편이지만 강박증은 어떤 생각이나 행동에 대한 얽매임의 지속시간이 매우 길다는 점에서 공황장애와는 다른 성질의 고통이 나타나며 그 고통은 보통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매우 심합니다.
예를 들어 손에 끈적이는 것이 묻은 느낌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텐데요. 그 느낌이나 생각이 아무리 나름대로 없애려고 해도 없어지지 않고 몇시간씩 지속된다면 그 고통의 크기가 짐작될 수 있을까요? 그런 느낌이 몇 초 정도나 몇분정도 지속되고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면 별 상관없겠지만 몇 시간씩 또는 하루 종일 지속된다면 아마 매우 힘들 겁니다.
강박증은 그런 느낌의 고통입니다. 잊을 만 하면 또 다시 머리속에 들어와서 괴롭힙니다. 실제로 상담오는 환자들을 봐도 강박증환자가 고통을 호소하는 정도가 공황장애환자가 호소하는 고통의 크기보다 더 큽니다.
환자의 심리적인 면에서 보면 강박장애환자는 기본적으로 강박 증상(강박사고와 강박행동)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그것 자체로 고통스러워하게 되는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런 강박증 상들이 비합리적이고 불필요한 행동이란 걸 알면서도 어느 순간 또 다시 강박 증상에 얽매여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자신을 생각하면 스스로 자괴감과 우울감이 빠져드는 면도 환자를 괴롭히는 부분입니다. 그 결과 우울증의 동반비율이 매우 높아집니다. 강박장애는 공황장애보다 우울증이 동반되는 비율이 더 높습니다.
어떤 병이던지 오랜 기간 동안 고생을 하면 삶의 질이 떨어지고 즐거움이나 흥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우울증이 동반될수 있습니다만 강박증은 불안 장애중에서도 가장 우울증의 동반비율이 높으며 본원에 오는 환자의 비율을 살펴봐도 그렇습니다. 병의 이환기간(병에 걸려 있는 기간)이 다른 질환보다 더 긴 특성도 우울증의 동반비율을 높이는 이유가 될수도 있습니다.
강박증은 단순히 마음가짐이나 성격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물론 그런 심리적인 면을 무시하면 안 됩니다. 그러나 꼭 생각해봐야 할 부분은 강박증이 생물학적인 면이 분명히 작용하는 질환이라는 점입니다. 뇌의 편도체를 중심으로 하는 불안반응센서가 불안신호를 증폭시켜 환자를 불안정하고 불편하게 만들고 그 결과로 어떤 생각이나 행동에 집착하는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본능적인 불안을 담당하는 편도체는 불안신호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자신도 어쩔 수 없이 강박증상이 유발되지만 한편으로 이성적인 사고를 담당하는 대뇌는 나름대로 작동을 하기 때문에 그런 행동이 그것이 불필요하고 어리석은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강박증상이 불합리한 것임을 알면서도 멈추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그렇게 이성적인 사고와 본능적인 불안이 싸우는 것이 강박증입니다. 환자는 그 과정 속에서 심한 정신적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고 동시에 고통받게 됩니다.
치료적인 측면에서 보면 편도체를 중심으로 하는 불안반응센서를 안정시키는 치료를 할 수 있으면 불안의 강도가 줄어들면서 불필요한 강박사고나 행동은 줄어듭니다. 한의학에서는 강박증은 다사증(多思症), 선의증(善疑症)등으로 표현되어 왔으며 옛날부터 치료해왔던 증상입니다.
''한의원치료로 생각이나 행동이 바뀔까?''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적절한 한의학적 치료로 뇌와 신경계통으로 좋은 기(氣)가 흐르게 되면 불안반응센서가 안정되면서 그런 강박사고나 행동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 한의학에서는 몸에 부담감이나 부작용 없이 강박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강박증은 한의학적 치료로 충분히 좋은 경과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해건한의원
서일두 원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