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전형은 대표적인 사교육을 유발 시키는 전형으로 인식되어 왔다.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 있던 대한민국 입시 교육을 혁신시킨다던 논술이 사교육의 상징이 된 이유는 어려운 문제 출제 유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고교 교육과정 외에서 출제되다 보니 정상적인 학교수업만으로는 논술을 체계적으로 대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한때 각 대학교의 논술시험의 수준이 해당 대학의 서열을 의미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몇몇 상위권 대학의 논술 제시문은 외국의 논문에서 발췌하는 일도 의례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졌다. 공교육에서 학생을 가르쳐야 할 교사들 스스로도 대학에서 출제하는 논술을 이해 할 수 없다보니 학생들은 결국 사교육의 시장으로 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작년에 치루어진 대학별 논술시험과 모의논술을 살펴보면 교과서의 지문을 대폭 활용하고 논제를 단순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통합교과적으로 구성해 사고력과 표현력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대학의 논술고사를 전환한 것이다. 논술은 기실 창의적인 글쓰기 시험이 아니기에 문제에 대한 방향과 지향점을 논리적으로 답변해 내는 구성력과 표현력을 측정하는 시험이 되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최근 대입 논술의 방향 전환은 시의 적절한 방향으로 각 대학별로 정착이 되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논술을 잘하기 위해서는 이제는 정형화 되어 있는 각 대학들의 시험 출제 원리를 이해하고, 논술문제로 나올 만한 테마와 주제들을 선별하고, 사회 현상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쟁점들을 끊임없이 반복학습 해야 한다. 물론 논술은 결코 암기 과목은 아니기에 해당주제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본기를 체계적으로 닦아야 한다. 대입논술은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전제로 출제를 한다. 논술 시험 역시 대입을 결정하는 주요한 시험과정이기에 대학에서 요구하는 정답은 있을 수밖에 없다. 다만 그 정답이 객관식 시험의 경우처럼 한가지로만 나타나지 않을 뿐이다. 논술고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대학과 교육 당국에 제언하고 싶은 것은 대학 간 공동출제를 통한 평가와 학생부 비교과의 신뢰도를 논술고사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 해 볼만하다. 또한 학교폭력과 경쟁으로 인하여 무너져가는 학생들의 도덕성과 인성에 관련된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답을 쓰라고 요구할 수도 있다. 이처럼 대학별 논술고사를 학생이 지닌 지적능력과 인성 사고력 등 보다 다양한 분야로 확대 시켜서 나간다면 교과체계를 중심으로 한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의 수업이 가능하기에 공교육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논술이 기여를 할 것이다.
평촌 큐브논술 원장
문화콘텐츠학 박사 홍성표
031-381-3381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