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진로코칭을 받으러온 고등학생 찬영군에게 진로계획에 대해 물었더니 찬영군은 대뜸 ''인 서울이요'' 라고 답했습니다.
찬영군이 진로를 결정하는 방식은 전형적인 보텀업 (Bottom-u 방식). 학생들이 자기 성찰이나 직업에 대한 고민없이 기성세대가 원하는 방식으로 진로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수학성적으로 문과. 이과 계열을 정하고 수능 모의고사 성적으로 대학의 지역을 결정한 뒤 최종적으로 수능성적에 맞춰 희망하는 대학과 학과에 응시하는 방식입니다.
일단 찬영군이 기본적인 직업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진로코칭을 시작했는데. 첫번째로 ''직업 창문'' 을 제작해볼 것을 권유했습니다. 평소에 찬영군이 관심을 갖고 있는 다양한 직업 중에서 선호하는 것과 선호하지 않는 것. 잘하는 것과 잘하지 못하는 것을 기준으로 관심 직업을 재배치했습니다.
찬영군은 본인의 강점과 약점. 관심이라는 기준을 반영해 총 5개의 직업을 도출해냈고 5개의 직업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의 소질과 흥미. 적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적으로 선택한 직업은 아나운서. 그는 진로코치을 통해 구체적인 직업을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1. 직업과 진로에 대한 로드맵을 그려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몇 주후에 그에게 대학진학에 대해 물어보았더니 그는 ''아나운서가 되기 위해 정말 필요한 학과에 가고 싶다'' 라고 말했습니다. 진로코칭 이후. 찬영군이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방식이었던 바텀업 방식이 톱다운 (TOP down) 방식으로 변화된 것입니다.
톱다운 방식은 우선적으로 우리 사회안에 세부적으로 어떤 계열과 분야들이 있는지를 알아본 후. 그 분야 안에 어떤 직업들이 있는지. 그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어떤 대학. 어떤 학과로 진학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심도있게 탐색해보는 과정입니다.
그는 아나운서라는 직업에 대한 ''직업로드맵'' 을 그려본 후. 학과를 탐색하고 가고 싶은 대학을 설계했습니다. 직업로드맵과 학과 탐색 내용을 기반으로 본인의 ''진로로드맵'' 도 설계했습니다. 톱다운 방식을 근거로 직업로드맵과 진로로드맵을 갖고 있는 아이들은 아주 구체적인 현실적 목표와 계획을 설계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아이 스스로 꿈과 목표를 달성해갈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2. 진로코칭은 톱다운 방식을 보편화해야합니다.
고등학생들이 대기업의 취업을 목표로 시작해 보텀업 방식으로 전공분야를 선택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에서 진로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찬영군이 그랬듯이 많은 청소년들은 아직도 이런 방식으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현재 한국에 진로코칭이 꼭 필요한 이유입니다. 자기성찰을 통해 직업을 탐색하고 직업을 설계한 후. 그 목표를 이루는데 도움이 되는 대학과 학과에 진학하는 탑다운 방식이 보편하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학생들이 제대로된 진로코칭과 교육을 받아야할 것입니다.
행복한 진로진학 행진부천원미지사에서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12주 커리큘럼으로 구성된 Top down방식의 진로교육 및 진로특강, 진로캠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부습관트레이닝센터 주인공 부천 상동, 중동센터 이정민
자료제공 : TMD교육그룹 행진 부천원미지사 이정민지사장 ,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