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대전시 이모저모
미창부, 대전시 제안 수용 ‘과학벨트사업 속도낸다’
IBS 엑스포과학공원으로 확정…야당·충북도 “협약철회 원안사수” 주장
대전시와 미창부가 3일 미래부 회의실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조성 및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오세정 기초과학연구원장, 최문기 미래부 장관, 염홍철 대전시장, 채 훈 대전마케팅공사 사장.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핵심 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 건립지가 대전엑스포과학공원으로 확정되면서 속도를 내게 됐다. 염홍철 대전시장과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정부과천청사에서 ‘과학벨트 수정안’에 합의하는 업무협약을 3일 전격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대전시가 제시한 4가지 수용 조건을 미창부가 받아들이면서 체결됐다. 시가 제시한 4가지 원칙은 △343만 2000㎡의 과학벨트 거점지구 면적 축소 불가 △기초과학연구원이 입주하려 했었던 과학벨트 거점지구 내 52만 8000㎡ 전액 국비 매입 △엑스포공원에 사이언스센터(19만 8000㎡) 등 창조경제 핵심 시설 건립 △시가 건의한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 기지 조성 방안’의 국가정책 반영이다.따라서 엑스포공원에 입주하는 기초과학연구원은 내년 상반기 착공에 들어간다. 시는 엑스포과학공원 부지 일부(26만㎡)를 기초과학연구원에 20년간 무상 임대한다. 신동·둔곡지구는 개발계획 변경과 실시계획 승인을 거쳐 내년에 토지보상에 들어간다.
시가 엑스포과학공원 내 사이언스센터 건립을 위해 당초 요구한 1000억원에 대해 정부는 내년에 사업비 500억원을 반영키로 했다. 시가 제시한 사이언스센터 규모가 과대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시는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방안’을 정부정책으로 반영하기 위해 관련기관 전문가로 구성하는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 기획위원회’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또한 미창부가 ‘정주환경 인프라 구축 및 벤처·창업 기업 지원을 위한 펀드 조성’ 등 추가사업을 추진키로 약속함에 따라 지원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인 사업내용은 조만간 미창부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최문기 장관은 협약식에서 “대덕특구는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최적지로 업무협약 내용을 조속히 이행해 과학벨트 사업 정상화는 물론 대덕특구를 국가의 신성장 거점으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이에 염홍철 시장은 “이번 협약으로 대덕특구가 국정 핵심과제인 창조경제 실현을 선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답보상태인 과학벨트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르고 지난 20년간 돌파구를 찾지 못했던 엑스포과학공원이 창조경제의 중심지와 국제과학공원으로 새롭게 변모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야 정치권, 상반된 평가
미래부와 시는 이번 협약으로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 문제가 해결돼 해외 우수 브레인을 유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낡고 막대한 관리비가 들어가는 엑스포과학공원을 ‘국제 사이언스파크’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여야 정치권은 과학벨트 업무협약에 따른 상반된 평가를 내놓고 있어 향후 ‘과학벨트 공방’은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등 당 지도부와 충청지역 의원들은 4일 오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방문해 ‘창조경제 실현방안 모색과 성공적인 과학벨트 조성’을 주제로 최고위원회 열고 IBS현장을 방문한다. 과학벨트 조성사업 추진을 새누리당 공으로 돌리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반면 민주당은 김한길 대표 등 당 지도부들이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최고위원회를 열고 ‘과학벨트 수정안 협약 철회’ 목소리를 높이며 원안 사수를 촉구할 방침이다.
그동안 과학벨트 문제로 잠잠했던 충북도도 목소리를 높였다.
충북도는 3일 이시종 지사 이름으로 성명서를 내고 “160만 도민은 충청권 공조 없는 미래부와 대전시간의 일방적인 과학벨트 변경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며 “과학벨트는 500만 충청인의 공조와 상생의 협력으로 얻어낸 성과로 충청인의 협의를 거쳐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학벨트 수정으로 세종·천안·청원 등 기능지구가 물거품이 됐다. 과학벨트 활성화 방안을 위해 충청권 공조체제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시는 정치 공방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시 과학산업본부 직원은 “국회 의장과 부의장을 배출한 충청권 정치인들 역할이 별로 없었다. 과학벨트 사업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도마 위에 올려놓고 칼질하는 모습을 보니 씁쓸하다”고 꼬집었다.
전호성 기자 hsje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