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역 연구특구인 첨단과학산업단지 안에 있는 조선대 첨단산학캠퍼스가 생산제조와 금형기술로 특화된 산학융합 연구마을로 조성된다. 조선대는 장기적으로 관련 학과를 첨단지구로 이전해 이곳을 생산제조와 금형산업 특화캠퍼스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조선대는 첨단산학캠퍼스를 생산제조와 금형산업 연구개발단지로 활성화시켜 관련 기업에 가공, 용접, 평가, 분석, 측정, 국가교정 업무를 지원하는 센터로 육성한다. 연구마을 운영기간은 2년이며, 연간 20억여 원을 지원받아 입주기업과 대학의 공동 연구개발사업을 돕는다.
그동안 산학협력은 중소기업과 연구 인프라를 갖춘 대학이 원거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그쳤으나 연구마을은 대학 내 유휴 공간에 중소기업 부설연구소를 직접 입주시켜 산학 간 밀착 협력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앞으로 이곳은 마이크로금형, 3차원 프린터 기술 등을 기반으로 광산업, 자동차, 조선, 정보가전, 로봇, 신소재, 생명 부문에서 고부가가치 첨단제품을 연구·생산하는 단지로 육성된다.
조선대는 장기적으로 첨단산학캠퍼스에 기계설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금속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등 생산제조와 금형관련 학과를 이전해 생산제조와 금형산업 특화 캠퍼스로 육성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오현미 리포터 myhy329@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조선대는 첨단산학캠퍼스를 생산제조와 금형산업 연구개발단지로 활성화시켜 관련 기업에 가공, 용접, 평가, 분석, 측정, 국가교정 업무를 지원하는 센터로 육성한다. 연구마을 운영기간은 2년이며, 연간 20억여 원을 지원받아 입주기업과 대학의 공동 연구개발사업을 돕는다.
그동안 산학협력은 중소기업과 연구 인프라를 갖춘 대학이 원거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그쳤으나 연구마을은 대학 내 유휴 공간에 중소기업 부설연구소를 직접 입주시켜 산학 간 밀착 협력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앞으로 이곳은 마이크로금형, 3차원 프린터 기술 등을 기반으로 광산업, 자동차, 조선, 정보가전, 로봇, 신소재, 생명 부문에서 고부가가치 첨단제품을 연구·생산하는 단지로 육성된다.
조선대는 장기적으로 첨단산학캠퍼스에 기계설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금속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등 생산제조와 금형관련 학과를 이전해 생산제조와 금형산업 특화 캠퍼스로 육성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오현미 리포터 myhy329@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