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년 전 전주에서 처음 발견된 멸종위기 야생식물이 전주에 돌아온다. 전북 전주시는 오는 21일 덕진구 송천동 오송제에서 ''전주물꼬리풀'' 옮겨심기 행사를 연다고 밝혔다.
''전주물꼬리풀''은 1912년 일본 식물학자가 전주에서 처음 발견, 세상에 알려졌다. 키 30∼50cm의 여러해살이 풀로 8∼10월에 연한 홍자색 꽃을 피운다. 일본인 학자가 처음 발견한 후 1969년 식물학자인 이창복씨가 전주의 지명을 넣어 ''전주물꼬리풀''로 이름 붙여 지금까지 그대로 불리고 있다. 전주지명을 단 유일한 식물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발견됐지만 자연발아율이 10% 이하로 매우 낮아 보존이 쉽지 않은 식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남부지방의 햇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자라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데, 도시화로 습지가 사라지면서 전주를 비롯한 전국에서도 더는 자생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됐다. 이번에 귀환하는 ''전주물꼬리풀''은 1980년대 중반 제주도 한라생태숲에서 자생 하던 것을 발견,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이 2011년 인공증식에 성공한 것이다.
제주도 서식지도 훼손돼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자 환경부는 2012년부터 전주물꼬리풀을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전주시는 환경부로부터 3000포기를 넘겨받아 습지가 잘 보존된 전주 오송제 상류에 심는다.
전주시는 "전주라는 지명을 가진 야생화의 상징성이 있는데다 오송제 상류습지가 자생할 수 있는 최적의 생육조건을 갖춘 것으로 나타나 전주로 이식하게 됐다"고 밝혔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주물꼬리풀''은 1912년 일본 식물학자가 전주에서 처음 발견, 세상에 알려졌다. 키 30∼50cm의 여러해살이 풀로 8∼10월에 연한 홍자색 꽃을 피운다. 일본인 학자가 처음 발견한 후 1969년 식물학자인 이창복씨가 전주의 지명을 넣어 ''전주물꼬리풀''로 이름 붙여 지금까지 그대로 불리고 있다. 전주지명을 단 유일한 식물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발견됐지만 자연발아율이 10% 이하로 매우 낮아 보존이 쉽지 않은 식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남부지방의 햇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자라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데, 도시화로 습지가 사라지면서 전주를 비롯한 전국에서도 더는 자생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됐다. 이번에 귀환하는 ''전주물꼬리풀''은 1980년대 중반 제주도 한라생태숲에서 자생 하던 것을 발견,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이 2011년 인공증식에 성공한 것이다.
제주도 서식지도 훼손돼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자 환경부는 2012년부터 전주물꼬리풀을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전주시는 환경부로부터 3000포기를 넘겨받아 습지가 잘 보존된 전주 오송제 상류에 심는다.
전주시는 "전주라는 지명을 가진 야생화의 상징성이 있는데다 오송제 상류습지가 자생할 수 있는 최적의 생육조건을 갖춘 것으로 나타나 전주로 이식하게 됐다"고 밝혔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