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1) 인구를 파악하고 과세하는 호구(戶口)의 법이 세밀하지 못해 누락자가 80~90%로 추정된다. 미등록자를 찾아내다 보면 시민이 괴롭게 된다. 인구조사와 등록을 충실하게 하고 시민의 부담을 공평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라!
이는 세종대왕이 즉위 17년(1435년)에 직접 출제한 과거시험 문제다. 세종은 ''나라를 다스리는 데 꼭 참고하고 싶은 내용을 고민했다''고 출제 배경을 설명했다. 세종은 또 ''우리나라 군사제도는 농사와 군역을 동시에 행한다. 이로써 군사력이 떨어지고, 농사에 지장이 있다. 강한 국방력을 키우면서도 농업생산도 증대할 수 있는가'' 등도 물었다.
대학 논술시험의 뿌리는 조선시대 과거제도다. 대학 논술의 논제는 조선시대 문과 3차 시험과 비슷하다. 지문은 요즘 대학논술 제시문 2개 분량이고, 질문 사항은 5개 내외다. 답해야 하는 내용은 지극히 현실적인 게 많다.
대학 논술도 현실적이다. 사변적이고 철학적인 내용에서 답이 명확한 논술로 바뀌고 있다. 또 종합하고 적용하는 창의력을 측정하는 문제가 속속 출제되고 있다. 단순 앎이 아닌 분석하고, 재해석하고, 종합하고, 유추하는 생산적인 답안을 요구하고 있다. 연세대는 아예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창의인재 전형을 실시할 정도다.
이 같은 분위기는 논술 문제에도 반영돼 있다. 2012학년도 연세대 인문계 논술 2번은 창의력 테스트의 전형이다. 벽돌쌓기에 적용한 과학적 관리법과 주어진 실험결과를 결합, 신입사원 채용 과정을 설계하라는 주문이다. 정해진 원칙은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를 순차적으로 한다는 것뿐이다. 즉 단순한 앎이 아닌 다양한 생각, 종합적 사고와 유추로 현실적 대안을 요구하는 답이다. 고려대 2013모의논술도 비슷했다. 창의성을 다루는 문제는 상위권 대학은 물론 중하위권 대학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중고교생들은 논술 대비를 어떻게 해야 할까. 원칙에 입각한 대비가 가장 좋다. 한 사건이나 문제에 대해 깊이 사고하는 학습이다. 다름과 다름을 통합해 새로움을 창조하는 사고 훈련을 글쓰기로 연결하는 게 바람직하다. 심층인터뷰를 통한 창의력 자극, 브레인스토밍, 창의 에세이 쓰기가 방법이다. 신우성 학원이 12월 22일에 우리나라 최초로 개강하는 ''연-고대 창의에세이 논술반''은 이 같은 새로운 교육을 하는 무대이다.
신우성학원 논술-에세이 강사 이상주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