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맥스 종합학원
윤순원 원장
2653-2428
엄마는 자녀양육의 대표자이면서도 책임자로 자녀발달의 전 과정을 학부형이라는 이름으로 개입하기에는 상당한 굴곡이 있을 수밖에 없다. 청소년기 특히, 퇴행기와 사춘기가 겹치며 다면적 자아상에 따른 정체성과 자아인식에 어려움을 겪는 중등 및 고등 저학년 시기에는 30평대 중산층 핵가족에 기초한 엄마 주도 일변형 자녀교육은 자칫 교육은 물론이고 가정상에 상당한 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
우리 한국의 어머니들은 아이를 키우고 가르쳐 나가면서 초인적이고도 거의 종교적인 굴신과 지휘의 자녀교육 접근태도 변화를 보여 준다. 큰애와 작은애 대하는 것이 다르고 심지어는 남편까지 자세를 달리해야 통한다. 더 나아가 한 아이를 키우면서도 학년마다 나이마다 달라지는 아이를 좆아 가느라 한 둘 밖에 없는 허물없는 친구들과 장시간 통화를 한다.
‘아빠’ 그 원형적 의미를 희구하며
요즘 아빠들은 너무 바쁘다. 정신적 피로와 무기력함이 더 클 수도 있다. 아이 교육은 물론 양육의 일부마저 함께 할 정력이 남아있지 못하는 듯하다. 엄마와 아이의 갈등도 알고 있고 아이교육의 원칙도 아빠의 역할도 알고 있다. 하지만 이미 매너리즘이 되어버린 ‘지켜봄’과 때로의 ‘아이 공포증’에 의한 회피, 그리고 당장의 가정 분위기 유지에 입각한 비교육적 ‘처사’ 등이 아빠가 할 수 있는 학부형과 양육후원자로서의 전부 인 경우가 많다. 아이는 엄마 혼자서 키워 내기 어렵다. 우선 우리 어머니들은 아이에 비해 더 유약하고 덜 교활하고 더 정직하며 끈기가 없다. 남자 아이들의 사춘기와 퇴행적 특성을 전혀 모르는 경우도 많다. 아이는 북한 특수부대원 무장간첩인데 엄마는 행정방위병 대항군인 셈이다. 아빠가 도와야 한다. 아빠의 울타리가 아이의 시선에 보일 수 있어야하고 더 나아가 피부에 접촉감이 생생해야 할 시기가 있는 것이다. ‘적정거리(Optimal Distance)’는 교육학에만 나오는 말이 아니다. 부모도 자신의 긍정적 영향의 자기장 안에서 아이가 의미 있는 자성적 긴장감을 갖고 힘들고 위험한 시기를 넘길 수 있도록 때로는 강단 있는 마인드를 높여야 비로소 선생들이 어찌 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의 기본을 갖춘 자녀가 된다.
‘선생’ 선생은 다 어디로 갔나
‘맹모삼천지교’, 과연 학군 따라 이동한 것이었을까? 이는 진정한 참스승을 찾는 과정이었을 것이다. 이 고사성어의 현대판 해석은 특목고입시, 또는 좋은 학원 찾기가 아닐까. 언젠가 목동의 한 대형 학원 앞에서 현장 실시한 1000명의 학부모 설문에서 학생이 한 학원을 지속한 기간이 평균 4.5개월 이란 모 일간 기사를 보고 놀란 적이 있다. 이젠 선생도 학부모도 더 이상 이래서는 안 된다. 학원이 ‘옵션’인 시대는 이미 끝났다는 것은 말 할 필요도 없다. 시골 아이들도 방학이면 서울에서 학원을 다닌다. 아니 이미 전국의 학원비와 학원교사 급여가 평준화 된 세상이다.
물론, 잠깐의 학원생활로 어려움을 겪는 일부과정 또는 일부과목을 보충하거나 학생주도, 학부모 주도로 2-3년 선행과정을 이 학원 저 학원 옮겨 다니면서 잠깐 잠깐 소위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가 가정에서 잘했으면 학원에 올 일이 없었고 ‘공교육’이 잘되었다면 더욱더 그러했을 거라는 기본에서 생각해보자. 사람은 쉽게 바뀌지 않는 습성이 있다. 어떤 면에서 학생은 더욱 더 그러하다. ‘욕심’ ‘목표’ ‘독기’ ‘경쟁’ ‘자기주도’ 등의 추상적 목표와 이데올로기는 성인에게도 힘든 부분이 크다. 대다수의 아이들에게 교육은 ‘이끌어 데려가는 것’이다. 칼국수집에서 흐르는 환상적인 ‘남의 자식’ 무용담에 현혹되지 말자. 아이 성장과 교육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맥락성 없는 ‘분노와 짜증’ 그리고 ‘말 없음 표 및 말 줄임 표’로 이어지는 양육과 교육의 쌍곡선에서 아이 들은 어찌 될까 라는 자문을 해 보자.
강사가 아닌 선생님을 만들어 한다. 학원이 아닌 참된 교육기관을 만들자. 그 여부에 가장 큰 책임과 권리가 우리 학부모에 있다. 우리 가정과 아이를 드러내어 온전히 ‘선생님’께 맡겨보자. 참된 학원, 참된 교사는 아이들도 금 새 알아 볼 만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치와 원칙을 무시한 그 무수한 방법론 찾기식의 학원 옮겨 다니기는 그만두자. 우리 내외와 가정상의 문제점을 찾지 못한 채 아이를 끌고 또는 아이에게 휘둘리기 보다는 교사라는 역할모델의 상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동서고금의 교육진리였음을 인식하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