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센터나 관공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탄소포인트제 홍보문구. 말대로 가정에서 에너지를 아끼면 돈으로 돌려받을 수 있을까. 부천시에서는 올해 7월부터 탄소포인트제 활성화를 위해 그린카드 제도를 함께 운영 중이다. 연회비 없는 그린카드를 활용하면 탄소포인트 적립은 물론 각종 녹색표시제품과 대중교통 이용 시 별도의 포인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주부 절약습관이 돈 되는 탄소포인트제
부천시 중1동에 사는 김혜원 주부. 그는 얼마 전 주민센터에서 7만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 을 받았다. 김 주부 가정은 지난해 탄소포인트제에 가입해 그동안 꾸준히 에너지를 줄여왔기 때문이다. 탄소포인트제는 에너지 감량 분량만큼 그 포인트로 상품권을 지급하는 제도다.
김 주부는 “아이들과 함께 지구의 탄소배출을 줄이는 체험활동차원에서 탄소포인트제를 시작했다. 말로 하는 환경교육보다 가족이 힘을 합해 실천하는 기회”라며 “가스와 수도 절약은 주부 몫이지만 전기는 가족들의 도움이 절대적인 분야”라고 말했다.
올해 경기도 공동주택우수관리단지로 뽑힌 중동 한라뜨란채 3단지. 한라뜨란채 3단지 아파트의 수상 배경에도 탄소포인트제 가입 가구 수 실적이 심사 점수에 포함되었다. 단지에서는 각 세대의 에너지 절약 외에도 자체 에너지자동제어시스템을 설치했다. 그 결과 월 200만원의 에너지 절감을 기록했다.
그렇다면 가정에서는 얼마나 절약을 해야 줄인 에너지만큼 포인트를 적립해 상품권을 받을 수 있을까.
5000포인트 기준 상품권 최대 10만원 증정
탄소포인트제로 온누리 상품권을 받으려면 우선 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www.cpoint.or.kr)에 세대별로 가입해야 한다. 절약 대상은 전기와 수도, 가스 세 가지다. 포인트 합산은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연단위로 결산한다.
부천시 에너지관리팀 윤명화 담당자는 “가령 우리 집이 올해 12월 탄소포인트제에 가입했다면 그 전년도와 사용량과 비교해 절약한 수치만큼 최대 10만원까지 상품권으로 돌려받는다. 또 사용량 정산도 내년부터는 연 2회로 늘여 참여의 보상 기회를 넓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포인트는 5000 적립 시 5000원의 상품권이 지급된다. 산정방식은 1포인트 당 2원 적립이다. 따라서 전기는 1kwh절감 시 424g의 CO2 감축해 42포인트를 받는다. 수도는 1㎥을 절감하면 332g의 CO2를 감축하고 33포인트를, 가스는 1㎥ 절감 시 2240g의 CO2를 감축해 결국 224포인트를 받는다.
시 에너지관리팀 측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사용량이 여름과 겨울에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탄소포인트제 가입을 꺼리는 경우도 많다”며 “탄소포인트제는 한 해 동안 사용한 에너지를 전년도와 통합해 비교하기 때문에 계절별 상승분 역시 적을수록 유리하다”고 말했다.
그린카드 활용하면 최대 20만원 절약
탄소포인트제와 관련한 상품권 인센티브 외에도 그린카드 제도를 활용해도 각종 포인트 적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린카드의 인센티브는 크게 4종류로 연간 최대 20만 원 이상 혜택이 가능하다.
그린카드 인센티브는 탄소포인트 외에도 녹색제품으로 표기된 상품사용 시, 공공시설 이용 및 대중교통 이용 등에 에너지 절약 포인트를 지급한다. 탄소포인트제 가입이 홈페이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이라면, 그린카드는 BC카드 회원은행 영업점에서 발급한다. 또 전용 홈페이지(www.greencard.or.kr)를 통해도 가능하다. 종류는 신용 혹은 체크카드 중 선택한다. 다만 그린카드를 발급받으려면 탄소포인트제 가입을 해야 한다. 탄소포인트제 가입명의와 그린카드 발급명의가 동일해야만 탄소포인트제 포인트가 그린카드로 자동 적립되기 때문이다.
그린카드는 교통후불카드 등 일반 신용카드와 같은 기능을 가지면서 연회비는 없다. 에너지를 아끼고 포인트도 얻는 탄소포인트제와 그린카드 혜택. 가입하면 기념으로 5000포인트 선물도 받을 수 있다.
가입 및 관리 문의 032-625-2717
김정미 리포터 jacall3@hanmail.net
Tip 알고 사용하면 좋은 그린카드 혜택
- 탄소포인트 : 전기와 수도, 가스 감축 실적에 따라 연 7만점 적립
- 녹색제품 포인트 적립 : 녹색제품 표기 상품 구매 시 1~5포인트 적립
- 공공부문 인센티브 : 그린카드 소지자에 한해 지자체 및 공공기관 이용시 포인트 혜택
- 일반카드 서비스 : 공공요금 적용 시 100~200포인트 적립 등 녹색생활 특화 포인트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