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아이는 토론할 수 있는 친구사이가 되어야
홍세화 씨를 만난 곳은 대화동의 한 전통찻집이었다. 성저마을에 사는 그는 시간에 늦지 않으려고 빗길을 달려왔노라 말했다. 순박하고 친근한 이웃 아저씨 같은 그는 그러나 정치 망명객으로 20여년을 타향에서 살았다. 파리에 살면서 마로니에 거리를 그리워했다던 그는, 지금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논객으로 살고 있다. 두 아이의 아버지이기도 한 그에게 한국 사회, 특히 교육 문제에 관한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보았다.
정치적 망명객으로 20여년 프랑스에
1979년 3월 무역회사 해외지사 근무 차 유럽으로 건너간 그는 소위 ‘남민전 사건’으로 귀국하지 못하고 파리에 정착했다. 2002년에 귀국해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라는 자전적 에세이를 펴냈다. 귀국 후 한겨레신문 기획위원으로 일했으며 2년 전부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의 편집인으로 일하고 있다. 1947년 생으로 경기중고를 졸업하고 1966년 서울대 공대 금송공학과에 입학했다. 1969년에는 다시 서울대 문리대 외교학과에 입학했다. ‘학벌’로 보자면 결코 뒤지지 않을 이력을 지닌 그가 ‘학벌 없는 사회’라는 시민단체의 대표이사이기도 했다는 사실은 또한 아이러니다.
그는 1974, 77년생인 두 자녀를 프랑스에서 키웠다. 프랑스 공교육에 대해 그는 “우리나라의 대안교육에 가깝다”고 말한다. 그 이유로 인문사회교육과 토론, 글쓰기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 풍토를 들었다.
“프랑스에서는 주입식 교육을 시키지 않고 너무나 당연히 인문사회 교육과 글쓰기 교육을 시킵니다. 사회 현상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건 너무나 당연해요. 아이가 스스로 글쓰기도 일찍부터 시작하고 세상에 대해,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죠.”
부모는 아이와 이야기 나누는 친구 되어야
“한국에 귀국한 다음 논술 문제를 보고 깜짝 놀랐어요. 단지 변별력을 갖기 위한 것이지 아이들이 자기 생각을 갖도록 하는 게 아니었어요. 문제를 꼬아서 맞는 답을 골라내는 것은 나쁘죠.”
인격 학식 성품이 아닌 ‘돈이 얼마 있느냐’ 다시 말해 ‘당신이 어디에 사는가가 당신을 말해 줍니다’라는 광고 멘트가 통하는 나라. 그만큼 돈이 삶의 기준이 되고 교육 또한 그것에 맞추어 가는 나라에서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들에게 그는 희망을 포기하기에는 이르다고 도닥인다. 또 “교육 현실을 탓하기 보다는 아이들과 일상을 함께 보내면서 토론하라”고 조언한다. 그가 생각하는 부모의 역할은 ‘자녀가 삶의 의미를 스스로 찾아가는 능력을 갖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려면 일상적으로 생각을 주고받는 시간을 자주 가지라고 말한다.
그는 ‘부모 자식 사이에 가정에서 어떤 대화를 나누는지 분석해 보라’고 권한다. “보통은 요구하기 위한 대화가 많을 것입니다. 부모들은 이렇게 해, 저렇게 해. 공부 열심히 해, 이런 말을 많이 하죠. 자식은 부모에게 이거 해줘, 저거 해줘, 뭘 사야 되니까 돈 달라고 요구하고요.”
그는 부모의 존재가 ‘돈 대주는 사람’을 넘어 ‘아이와 생각을 나누는 가장 가까운 동시대인, 친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개똥 세 개의 교훈 잊지 못해
그에게도 어린 시절, 생각을 나누는 어른이 곁에 있었다. 잊을 수 없는 일은 외할아버지가 들려주신 ‘개똥 세 개 이야기’다.
“서당 선생이 어느 날 삼형제를 가르치면서 장래희망을 물으니, 맏아들은 정승, 둘째는 장군이 되고 싶다고 말했어요. 선생은 사내대장부가 그래야지, 하며 흡족해했죠. 막내에게 물으니 장래 희망은 그만두고 개똥 세 개가 있으면 좋겠다고 말해요. 나보다 책을 안 읽는 맏형이 정승이 된다고 큰 소리를 치니 하나를 주고, 나보다 겁 많은 둘째 형이 장군이 되겠다 큰소리를 치니 또 하나를 주고 싶다고 하죠.”
나머지 하나가 남았다. 막내는 뭐라고 했을까. 외할아버지가 어린 홍세화에게 물었을 때, 그는 “서당 선생에게 준다”고 답했다. 엉터리 같은 형들의 답에 즐거워 한 탓이다. 할아버지는 ‘앞으로 살아가면서 세 번째 개똥은 당신 거라고 말하지 못할 때는 네가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외할아버지가 들려주신 이야기는 그의 삶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아이하고 몸을 두는 자리가 같은 것, 삶을 공유하는 기회가 많을수록 좋다”고 말한다. 집을 떠나는 여행을 나누는 경험도 좋다. 또 “한국 부모들이 자녀의 영어교육에 쏟아 붓는 열정의 1/3만 대화와 글쓰기에 쏟아 부어도 아이들이 훌륭하게 자라날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향지 리포터 greengreens@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