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 KB국민은행 인재개발원 팀장
일전에 신문에서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 가까이가 '재테크'를 하고 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바야흐로'재테크 열풍'이다.
그런데 '재(財)테크'에는 그렇게 열심인 사람들이 신용을 관리하는 '신(信)테크'에 대해서는 도무지 관심이 없다.
재테크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신용을 관리하는 '신테크'다. 신용사회에서는 신용이 곧 '돈'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대출을 받을 때 '신용등급'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금리로 인해 개인의 이자부담은 "하늘과 땅" 차이다.
한 신용정보평가회사에 따르면 2011년 1월 기준으로 1억 원을 은행권에서 대출받을 경우 신용 1등급은 연간 690만원의 이자를 10등급은 1등급보다 1890만원이나 더 많은 연간 2580만원의 이자를 내야 한다. 신용등급 10등급인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1년 사이 고급승용차 한 대 값을 이자로 날린 것이다. 반대로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은 금리가 싼 금융기관이나 대출상품을 찾아 나서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이자부담을 훨씬 줄인 셈이다. 그야말로 앉아서 돈을 버는 손쉬운 재테크가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원금손실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주식·펀드·부동산투자와는 달리 종자돈도 필요 없고 아무런 위험부담도 따르지 않는다.
신용사회에선 신용이 돈
신테크의 기본인 신용등급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신용거래의 발자취'라고 할 수 있는 신용등급은 평소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신용등급은 눈 깜빡 할 사이에 추락할 수 있지만 한 번 떨어진 신용등급을 다시 회복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그러니 가장 확실한 방법은 '예방'이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일을 막기 위해서는 연체를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보통 연체기준은 5일 이상, 10만원 이상을 제때 갚지 못한 경우를 말한다. 또 연체 금액보다는 연체 기간이 더 중요하다. 소액이더라도 연체를 하다가는 신용등급 추락이라는 뜻밖의 낭패를 당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일반적으로 10만원 미만의 작은 금액이라도 5일 이상 연체하면 모든 금융기관에 그 정보가 공유된다. 비금융권 채무도 자칫 신용에 큰 상처를 남길 수 있으므로 휴대폰·인터넷 요금은 절대 연체하지 않도록 자동이체를 해놓는 것이 좋다. 세금을 밀려서도 안 된다. 국세·지방세 등 세금도 체납액이 500만원이 넘고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났거나 1년에 3회 이상 체납하면 공공기록정보에 등록돼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미친다.
재테크 첫걸음은 신용관리
또한 신용등급 관리를 위해서는'신용조회'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신용등급 하락을 불러올 수 있는 불필요한 대출조회는 삼가 해야 한다. 실제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신용조회 기록이 남아 신용등급산정에서 불이익을 받은 사람들이 무려 300만 명을 넘는다고 한다.
그런데 모든 신용정보 조회가 신용등급 하락을 불러오지는 않는다. 본인이 스스로 하는 신용조회는 횟수에 관계없이 신용등급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백화점이나 휴대폰·인터넷·케이블 TV개통 시 이뤄지는 통신업체의 조회기록 역시 신용등급과는 무관하다.
하지만 금융기관이 대출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조회할 때는 얘기가 달라진다. 조회빈도가 많을수록 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금융기관들은 짧은 시간 내에 신용이력 조회건수가 많을 경우 개인의 신용이나 상환능력에'빨간 불'이 켜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인다. 돈을 빌려주는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조회 횟수가 많을 경우 타 금융기관에서 신용이 낮아 대출을 거절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은행 외에 할부금융회사나 대부업체 등의 조회기록이 많은 경우 신용정보는 더욱 추락한다. 특히 고금리로 대출을 해주는 대부업체의 조회기록은 신용등급에 치명적이다. 심지어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사유가 되기도 하니 유의해야 한다.
재테크의 첫걸음은 '신용관리'다. 특히 요즘과 같은 물가가 치솟으면서 한 푼의 돈이 아쉬운 고물가시대에는 신용등급을 올려 금리를 낮추는 것도 효과적인 재테크 방법이 아닐 수 없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일전에 신문에서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 가까이가 '재테크'를 하고 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바야흐로'재테크 열풍'이다.
그런데 '재(財)테크'에는 그렇게 열심인 사람들이 신용을 관리하는 '신(信)테크'에 대해서는 도무지 관심이 없다.
재테크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신용을 관리하는 '신테크'다. 신용사회에서는 신용이 곧 '돈'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대출을 받을 때 '신용등급'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금리로 인해 개인의 이자부담은 "하늘과 땅" 차이다.
한 신용정보평가회사에 따르면 2011년 1월 기준으로 1억 원을 은행권에서 대출받을 경우 신용 1등급은 연간 690만원의 이자를 10등급은 1등급보다 1890만원이나 더 많은 연간 2580만원의 이자를 내야 한다. 신용등급 10등급인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1년 사이 고급승용차 한 대 값을 이자로 날린 것이다. 반대로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은 금리가 싼 금융기관이나 대출상품을 찾아 나서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이자부담을 훨씬 줄인 셈이다. 그야말로 앉아서 돈을 버는 손쉬운 재테크가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원금손실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주식·펀드·부동산투자와는 달리 종자돈도 필요 없고 아무런 위험부담도 따르지 않는다.
신용사회에선 신용이 돈
신테크의 기본인 신용등급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신용거래의 발자취'라고 할 수 있는 신용등급은 평소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신용등급은 눈 깜빡 할 사이에 추락할 수 있지만 한 번 떨어진 신용등급을 다시 회복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그러니 가장 확실한 방법은 '예방'이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일을 막기 위해서는 연체를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보통 연체기준은 5일 이상, 10만원 이상을 제때 갚지 못한 경우를 말한다. 또 연체 금액보다는 연체 기간이 더 중요하다. 소액이더라도 연체를 하다가는 신용등급 추락이라는 뜻밖의 낭패를 당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일반적으로 10만원 미만의 작은 금액이라도 5일 이상 연체하면 모든 금융기관에 그 정보가 공유된다. 비금융권 채무도 자칫 신용에 큰 상처를 남길 수 있으므로 휴대폰·인터넷 요금은 절대 연체하지 않도록 자동이체를 해놓는 것이 좋다. 세금을 밀려서도 안 된다. 국세·지방세 등 세금도 체납액이 500만원이 넘고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났거나 1년에 3회 이상 체납하면 공공기록정보에 등록돼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미친다.
재테크 첫걸음은 신용관리
또한 신용등급 관리를 위해서는'신용조회'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신용등급 하락을 불러올 수 있는 불필요한 대출조회는 삼가 해야 한다. 실제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신용조회 기록이 남아 신용등급산정에서 불이익을 받은 사람들이 무려 300만 명을 넘는다고 한다.
그런데 모든 신용정보 조회가 신용등급 하락을 불러오지는 않는다. 본인이 스스로 하는 신용조회는 횟수에 관계없이 신용등급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백화점이나 휴대폰·인터넷·케이블 TV개통 시 이뤄지는 통신업체의 조회기록 역시 신용등급과는 무관하다.
하지만 금융기관이 대출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조회할 때는 얘기가 달라진다. 조회빈도가 많을수록 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금융기관들은 짧은 시간 내에 신용이력 조회건수가 많을 경우 개인의 신용이나 상환능력에'빨간 불'이 켜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인다. 돈을 빌려주는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조회 횟수가 많을 경우 타 금융기관에서 신용이 낮아 대출을 거절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은행 외에 할부금융회사나 대부업체 등의 조회기록이 많은 경우 신용정보는 더욱 추락한다. 특히 고금리로 대출을 해주는 대부업체의 조회기록은 신용등급에 치명적이다. 심지어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사유가 되기도 하니 유의해야 한다.
재테크의 첫걸음은 '신용관리'다. 특히 요즘과 같은 물가가 치솟으면서 한 푼의 돈이 아쉬운 고물가시대에는 신용등급을 올려 금리를 낮추는 것도 효과적인 재테크 방법이 아닐 수 없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