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아파트의 기준은 뭘까. 주부들이 원하는 좋은 아파트는 쾌적하고 편리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는다. 하지만 아이 교육을 위한 도서관이 집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면 일일이 차를 타고 오가야하기 때문에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주부들이 나섰다. 멀다고 불평했던 도서관을 아파트에 들이자고. 아파트 도서관은 자녀 교육과 엄마들의 정보 교환은 물론, 아파트 브랜드 가치까지 높일 수 있다는데…. 부천지역에서 아파트 도서관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우리 아파트가 좋은 이유는 ‘도서관’ 때문
부천시 중동역 프르지오2차 아파트. 최근 지어진 아파트답게 멋드러진 꽃나무 조경사이로 주부들이 삼삼오오 아이 손을 잡고 관리동으로 향한다. 무슨 일이라도 있는 것일까. 바로 주민들이 직접 만든 아파트 도서관이 문을 여는 오후 2시를 기다려 책을 반납하고 빌려가기 위해 모인 사람들이다. 프르지오2차 부녀회 임병례 회장은 “우리 아파트는 원미구 시립도서관이 멀기 때문에 단지 내 아파트 도서관 이용이 활발한 편”이라며 “도서관 외에도 그 옆에 수험생들을 위한 독서실을 따로 만들어 밤늦게 까지 아이들이 안심하고 공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처음 도서관이 개관하자 중동역 프르지오2차 아파트 이용자는 주로 어린이들이었다. 하지만 차차 주부들도 함께 하기 시작했다. 소설책을 읽거나 자녀 교육 관련 책들을 엄마들이 먼저 보고 아이들에게 권하기 위해서다.
가까워서 편리하고 내집같이 편안하고
프르지오2차 아파트 도서관이 만들어지기까지는 입주자대표자회의와 부녀회의 역할이 컸다. 우선 아파트 공공시설을 사용하기 위해 주민 동의를 얻어내야 했고, 시설을 짜고 운영에 필요한 비용도 자체적으로 충당해야 했다. 특히 아파트 도서관 유지를 위해 책을 어떻게 구비할 것인가가 가장 큰 고민이었다. 도서관에는 늘 신간들이 끊이지 않아야 이용자들이 찾기 때문이다. 또 대출해간 책들을 제때 관리하는 일도 쉬운 일만은 아니다.
프르지오2차 아파트 도서관 김주숙 사서는 “도서관이 생기고 처음엔 책을 기부 받거나 부녀회비로 구입했지만, 한계가 있었다”며 “현재는 새마을문고 부천시지회로부터 정기적으로 새 책으로 교환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아무리 아파트 내 작은 도서관이지만 운영의 묘도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자칫 일부 주민만 이용하거나 비용문제로 문을 닫을 수도 있다. 이곳도 처음엔 부녀회원들이 돌아가며 도서관을 지켰다. 김 사서는 “저도 주민이지만 부녀회원들이 도서관을 운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주민 중에 도서관 관련 전문지식이 있거나 컴퓨터를 다룰 줄 아는 사람을 유료 봉사직으로 채용해서 운영하면 관리 면에서 부담이 적고 효율적이며 도서관을 살리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신간 도서 비치 위해 이동도서관 책 지원받다
부천지역에서 아파트 도서관을 열고 있는 곳은 중동역 프르지오2차 아파트 외에도 얼마 전 문을 연 소사구?송내자이 아파트, 삼성래미안(상3동), 라일락뜨란채(상3동), 신성미소지움(상3동), 써미트빌(상3동), 여월휴먼시아3차, 전진아파트(송내동) 등이 있다.
시내 여러 아파트에 도서관이 생기기까지, 그 뒷일을 맡았던 곳은 다름 아닌 이동도서관 사업을 펼치고 있는 새마을문고 부천시지부이다. 새마을문고 부천지부가 아파트 도서관 지원사업을 펼치기 시작한 것은 독서 인구의 저변확대란 목표가 이동도서관과 같았기 때문이다.
새마을문고 부천시지부 차동길 회장은 “지난 3월 송내자이 부녀회와 주민들이 새마을문고 부천시지부로부터 3000 여권의 도서를 지원받아 개관 한 것도 이동도서관에 비치한 책들을 활용한 것”이라며 “아파트 도서관 지원 외에도 독서회 운영과 시민독서경진대회, 알뜰도서교환장, 문화한마당, 독서문학기행 등의 단위문고 활성화 사업도 도서관 지원처럼 중요한 일”라고 말했다.
Tip 우리 아파트에도 도서관 만들려면
◇도서관을 열 장소 확보가 우선 - 문고 설립이 가능한 10평 이상의 공간이 필요.
◇기본 집기 준비 - 서가, 열람대, 도서대출 전산처리용 컴퓨터, 열람석과 쇼파 등이 필요.
◇운영위원회 구성 - 10인 이내가 적당하며 회장, 부회장, 감사, 총무, 운영위원으로 구성. 입주자대표자회의 조직을 활용하면 아파트 내 시설과 비용 등에 도움이 됨.
◇문고운영 담당자 - 관리를 전적으로 자원봉사 형태로 둘 경우 전문 관리 외에도 향후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 등 이용자 유치 사업에 한계가 있다. 주민 중 학교 사서 도우미나 도서관 업무관련자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
○ 도서 확보 및 지원처 활용 - 현재 부천시에서는 새마을문고 부천시지부에서 지역 내 단위문고 지원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3~6개월 장기 대출 외에도 도서정리, 대출, 이용자관리 등 독서 관련 프로그램 교육과 문고운영 실무교육 도움을 받을 수 있음.(032-676-3451)
김정미 리포터 jacall3@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