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여력 감소..성장에 걸림돌 될 수도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김용래 기자 = 가계부채와 소비지출이 늘고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한국의 저축률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이처럼 저축률이 계속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면 기업의 투자여력이 감소해 국민경제 전반에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노인인구의 비중이 커지면서 당장 2010년대 후반부터는 저축률의 하강압력이 더 강해질 가능성도 있어 저(底)저축률이 향후 경제성장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저축 여력 떨어지고 가계부채 급증저축률 급락의 원인으로는 저축의 원천인 가계소득의 증가세가 둔화된 것이 꼽힌다.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연평균 가계소득 증가율은 1980년대 16.9%였으나 1990년대 들어 12.7%로 하락하고 2000년대에는 절반 수준인 6.1%로 떨어졌다.
지출이 늘어나는 것도 요인이다.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에 따르면 2010년 소득 대비 가계지출 비중은 전국 2인 이상 가구 실질 기준 82.2%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노령화에 따른 보건비, 사교육 증가로 인한 교육비, 생활양식 변화에 따른 통신비 및 오락.문화비가 가계지출 증가를 주도했다.
특히 가계지출 중에 연금, 건강보험료처럼 마음대로 줄일 수 없는 경직적 비용인 비소비지출 비중의 증가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가계지출 중 비소비지출 비중은 2003년 20.8%에서 2010년 22.4%로 상승했다.
시중금리가 꾸준히 하락하면서 저축의 매력이 떨어진 것도 요인이다.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예금 수신금리는 2000년 연 7.01%에서 2010년 3.19%로 10년 만에 반토막 아래로 떨어졌다. 각종 펀드나 연금상품 등 저축 이외금융상품에 대한 투자가 늘어난 것은 금리 하락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불어닥친 부동산 가격 폭등의 영향에 따라 저축이 아닌 부동산을 재테크 수단으로 여기는 풍조가 확산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이다.
작년말 발표된 통계청의 가계금융 조사를 보면 가구당 자산 총액은 평균 2억7천268만원이었고, 이 중 부동산이 2억661만원으로 75.8%를 차지했다. 반면 금융자산은저축액(4천89만원)을 포함해 5천828만원으로 21.3%였다. 그나마도 금융부채가 2천884만원이어서 순금융자산은 2천944만원에 불과했다.
저축률이 떨어지는 와중에도 가계부채는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을 합친 가계신용은 1995년 142조7천469억원, 2000년 266조8천989억원, 2005년 521억4천959억원, 2010년 795조3천759억원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15년사이 가계신용이 4.6배 늘어난 것이다. 반면 1인당 국민총소득은 1995년 905만원에서 2009년 2천192만원으로 1.4배 증가하는데 그쳤다.
◇고령화로 저축률 하강압력 강해질수도저축률이 떨어지면 국민경제 전반에 투자 여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원론적으로 저축률이 낮아지면 투자가 줄고 생산이 둔화해 수출경쟁력을 저해하고 이로 인해 경제성장이 위축될 수 있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이 2009년 내놓은 ''개인저축률과 거시경제변수 간 관계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개인저축과 국내투자는 상관성이 높아 저축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면 미래의 투자와 소비 여력도 떨어져 내수신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개인이나 가계의 저축률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미래대비를 못 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사회안전망이 여전히 취약한 우리나라로서는 더 큰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한국은 또한 저축률이 낮은 대신 가계부채 수준이 높기 때문에 금리가 올라 이자 부담이 증가해 가처분소득 감소로 이어지면 소비 여력이 줄게 되고 이에 따라 경제 전반에 활력이 떨어질 우려도 있다.
특히 저소득층 등 서민 고통이 가중되는 점은 문제다. 소득 하위 20% 계층인 1분위는 적자가구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 저축할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4분기의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분위별 적자가구 비율은 1분위 58.6%, 2분위 33.3%, 3분위 21.3%, 4분위 14%, 5분위 9.2%로 1분위가 다른 분위보다 월등히 높다.이처럼 서민 계층이 저축할 여력이 줄면 결국 정부의 복지재정 부담이 늘어 금융부실 가능성도 따라서 커질 우려가 있다.
LG경제연구원의 강중구 책임연구원 "우리 경제의 대표적인 저축 주체는 가계인데 가계저축률이 하락하면 투자 여력이 줄어 잠재성장률을 잠식시킬 수 있다"며 "2010년대 후반이 되면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저축률의 하강압력이 강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우리나라는 가계저축률 자체는 현재 낮은 수준이지만 기업 및 정부의 저축률의 상승추세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며 "낮아진 가계저축을 기업과 정부 저축이 대체하는 것이라면 가계저축률 하락 자체를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jbryoo@yna.co.kryongla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김용래 기자 = 가계부채와 소비지출이 늘고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한국의 저축률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이처럼 저축률이 계속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면 기업의 투자여력이 감소해 국민경제 전반에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노인인구의 비중이 커지면서 당장 2010년대 후반부터는 저축률의 하강압력이 더 강해질 가능성도 있어 저(底)저축률이 향후 경제성장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저축 여력 떨어지고 가계부채 급증저축률 급락의 원인으로는 저축의 원천인 가계소득의 증가세가 둔화된 것이 꼽힌다.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연평균 가계소득 증가율은 1980년대 16.9%였으나 1990년대 들어 12.7%로 하락하고 2000년대에는 절반 수준인 6.1%로 떨어졌다.
지출이 늘어나는 것도 요인이다.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에 따르면 2010년 소득 대비 가계지출 비중은 전국 2인 이상 가구 실질 기준 82.2%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노령화에 따른 보건비, 사교육 증가로 인한 교육비, 생활양식 변화에 따른 통신비 및 오락.문화비가 가계지출 증가를 주도했다.
특히 가계지출 중에 연금, 건강보험료처럼 마음대로 줄일 수 없는 경직적 비용인 비소비지출 비중의 증가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가계지출 중 비소비지출 비중은 2003년 20.8%에서 2010년 22.4%로 상승했다.
시중금리가 꾸준히 하락하면서 저축의 매력이 떨어진 것도 요인이다.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예금 수신금리는 2000년 연 7.01%에서 2010년 3.19%로 10년 만에 반토막 아래로 떨어졌다. 각종 펀드나 연금상품 등 저축 이외금융상품에 대한 투자가 늘어난 것은 금리 하락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불어닥친 부동산 가격 폭등의 영향에 따라 저축이 아닌 부동산을 재테크 수단으로 여기는 풍조가 확산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이다.
작년말 발표된 통계청의 가계금융 조사를 보면 가구당 자산 총액은 평균 2억7천268만원이었고, 이 중 부동산이 2억661만원으로 75.8%를 차지했다. 반면 금융자산은저축액(4천89만원)을 포함해 5천828만원으로 21.3%였다. 그나마도 금융부채가 2천884만원이어서 순금융자산은 2천944만원에 불과했다.
저축률이 떨어지는 와중에도 가계부채는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을 합친 가계신용은 1995년 142조7천469억원, 2000년 266조8천989억원, 2005년 521억4천959억원, 2010년 795조3천759억원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15년사이 가계신용이 4.6배 늘어난 것이다. 반면 1인당 국민총소득은 1995년 905만원에서 2009년 2천192만원으로 1.4배 증가하는데 그쳤다.
◇고령화로 저축률 하강압력 강해질수도저축률이 떨어지면 국민경제 전반에 투자 여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원론적으로 저축률이 낮아지면 투자가 줄고 생산이 둔화해 수출경쟁력을 저해하고 이로 인해 경제성장이 위축될 수 있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이 2009년 내놓은 ''개인저축률과 거시경제변수 간 관계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개인저축과 국내투자는 상관성이 높아 저축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면 미래의 투자와 소비 여력도 떨어져 내수신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개인이나 가계의 저축률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미래대비를 못 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사회안전망이 여전히 취약한 우리나라로서는 더 큰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한국은 또한 저축률이 낮은 대신 가계부채 수준이 높기 때문에 금리가 올라 이자 부담이 증가해 가처분소득 감소로 이어지면 소비 여력이 줄게 되고 이에 따라 경제 전반에 활력이 떨어질 우려도 있다.
특히 저소득층 등 서민 고통이 가중되는 점은 문제다. 소득 하위 20% 계층인 1분위는 적자가구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 저축할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4분기의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분위별 적자가구 비율은 1분위 58.6%, 2분위 33.3%, 3분위 21.3%, 4분위 14%, 5분위 9.2%로 1분위가 다른 분위보다 월등히 높다.이처럼 서민 계층이 저축할 여력이 줄면 결국 정부의 복지재정 부담이 늘어 금융부실 가능성도 따라서 커질 우려가 있다.
LG경제연구원의 강중구 책임연구원 "우리 경제의 대표적인 저축 주체는 가계인데 가계저축률이 하락하면 투자 여력이 줄어 잠재성장률을 잠식시킬 수 있다"며 "2010년대 후반이 되면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저축률의 하강압력이 강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우리나라는 가계저축률 자체는 현재 낮은 수준이지만 기업 및 정부의 저축률의 상승추세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며 "낮아진 가계저축을 기업과 정부 저축이 대체하는 것이라면 가계저축률 하락 자체를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jbryoo@yna.co.kryongla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