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학력고사식 공부와 수능식 공부의 차이
지금 40대 학부모는 학력고사 세대이다. 그들이 알고 있는 공부는 지금 수능식 공부와는 최소 50% 이상 다르다.
우선, 학력고사에는 공부대상에는 정해진 교재와 내용이 있었으나 수능에서는 정해진 교재도 내용도 참고대상에 불과하다. 예전 학력고사는 교과서와 대표적인 참고서를 암기하는 노력을 기울이면 상대적으로 쉽게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만일 좀 머리가 부족하다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노력하면 극복이 가능했다. 3당4락이란 말 그대로 4시간 자고 공부한 학생보다 3시간 자고 공부한 학생이 좀 더 유리했다. 그러나 지금 수능은 고교학습 과정과 연계가능 한 전 영역이 다 출제대상이라고 보면 된다. 아무리 공부를 많이 한 학생도 시험에서 처음 보는 지문과 씨름해야 한다.
예전 부모세대에게 주어진 공부는 명백하게 양이 정해져 있어서 몇 달만 맘먹고 노력해도 머리가 좋은 사람은 서울대를 갔네, 연대를 갔네 할 수 있었느나 지금은 불가능하다. 최소 2~3년 이상의 성실한 노력을 기울인 머리 좋은 학생만이 스카이 학벌을 움켜쥘 수 있는 근본 이유는 ‘해야 할 공부양이 많다는 것’이다. 사교육이 성행하고 재수가 늘어나는 것이 단지 학부모의 학벌에 대한 무리한 욕심 때문만은 아니다.
둘째, 평가방식이 ‘지식의 기억’이었으나 지금은 ‘지식을 암기해서 다음 차원인 이해, 종합, 응용할 수 있는가’이다. 예전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지식을 단순히 암기해서 맞출 수 있는 문제가 다수였고, 일부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 중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외워서라도 맞출 수 있었다. 그래서 예전에 족집게 선생이 유행했으나 지금은 족집게 선생이라는 단어가 사라진 것이다.
또 영화까지 등장했던 수학황제라는 김모 강사는 수학풀이과정을 때려서 암기시켰다. 80년대 강남에서 학생 4명부터 시작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전국적으로 분점화하다 2000년대 와서 사라졌다. 수능이 정착되면서 암기식 수학이 불가능해졌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해하고, 종합하고, 응용하는 과정을 익혀나가는 데는 긴 시간과 타고난 두뇌를 요구한다. 우리 부모세대와 다른 방식의 공부를 해나가고 있다.
학교와 학원을 다녀와 잠시 TV 앞에 앉은 내 아이에게 핀잔을 주기보다 한번쯤 같이 보면서 즐기는 여유를 부려도 되지 않을까?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지금 40대 학부모는 학력고사 세대이다. 그들이 알고 있는 공부는 지금 수능식 공부와는 최소 50% 이상 다르다.
우선, 학력고사에는 공부대상에는 정해진 교재와 내용이 있었으나 수능에서는 정해진 교재도 내용도 참고대상에 불과하다. 예전 학력고사는 교과서와 대표적인 참고서를 암기하는 노력을 기울이면 상대적으로 쉽게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만일 좀 머리가 부족하다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노력하면 극복이 가능했다. 3당4락이란 말 그대로 4시간 자고 공부한 학생보다 3시간 자고 공부한 학생이 좀 더 유리했다. 그러나 지금 수능은 고교학습 과정과 연계가능 한 전 영역이 다 출제대상이라고 보면 된다. 아무리 공부를 많이 한 학생도 시험에서 처음 보는 지문과 씨름해야 한다.
예전 부모세대에게 주어진 공부는 명백하게 양이 정해져 있어서 몇 달만 맘먹고 노력해도 머리가 좋은 사람은 서울대를 갔네, 연대를 갔네 할 수 있었느나 지금은 불가능하다. 최소 2~3년 이상의 성실한 노력을 기울인 머리 좋은 학생만이 스카이 학벌을 움켜쥘 수 있는 근본 이유는 ‘해야 할 공부양이 많다는 것’이다. 사교육이 성행하고 재수가 늘어나는 것이 단지 학부모의 학벌에 대한 무리한 욕심 때문만은 아니다.
둘째, 평가방식이 ‘지식의 기억’이었으나 지금은 ‘지식을 암기해서 다음 차원인 이해, 종합, 응용할 수 있는가’이다. 예전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지식을 단순히 암기해서 맞출 수 있는 문제가 다수였고, 일부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 중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외워서라도 맞출 수 있었다. 그래서 예전에 족집게 선생이 유행했으나 지금은 족집게 선생이라는 단어가 사라진 것이다.
또 영화까지 등장했던 수학황제라는 김모 강사는 수학풀이과정을 때려서 암기시켰다. 80년대 강남에서 학생 4명부터 시작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전국적으로 분점화하다 2000년대 와서 사라졌다. 수능이 정착되면서 암기식 수학이 불가능해졌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해하고, 종합하고, 응용하는 과정을 익혀나가는 데는 긴 시간과 타고난 두뇌를 요구한다. 우리 부모세대와 다른 방식의 공부를 해나가고 있다.
학교와 학원을 다녀와 잠시 TV 앞에 앉은 내 아이에게 핀잔을 주기보다 한번쯤 같이 보면서 즐기는 여유를 부려도 되지 않을까?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