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 여성 위한 맞춤일자리 ‘도서관 관리사’
“아이들 독서지도 보람있는 일이죠”
송옥섭(43)씨는 대학 졸업 후 곧바로 결혼해 3명의 아이를 둔 전업 주부였다. 직장생활 경험도 전혀 없었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일자리를 구해야겠다고 결심했지만 마음처럼 쉽지 않았다. 그런 송씨가 어렵게 얻은 첫 직장은 이름도 생소한 ‘도서관 관리사’.
그는 아침 8시 30분 학교 도서관으로 출근한다. 도서 대출·반납 업무도 보고 아이들에게 좋은 책도 추천하는 일을 한다. 독후감 쓰는 일도 돕는다. 방과후에는 주로 취약계층 아이들의 독서지도를 한다. 그는 “처음 얻은 직장인데다 학교에서 아이들과 보내는 시간이 많아 너무 좋다”며 만족스러워했다.
정귀숙(38)씨 역시 송씨와 같은 일을 한다. 무역회사에 다니던 그는 두 자녀의 양육 문제로 일을 그만 뒀다. 아이들이 어느 정도 자라자 다시 일을 하고 싶었지만,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전부터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도서관 학부모 사서로 봉사활동을 해 온 터라 ‘도서관 관리사’라는 직업이 낯설지 않았다. 얘기를 듣자마자 망설임 없이 지원했다. 그는 “4시쯤이면 퇴근을 하니 집에 돌아가 아이들을 돌보거나 가사 일을 할 수 있어 주부들에게는 안성맞춤인 직장”이라며 “초등학생인 아이들도 좋아하고, 남편도 학교에서 일하는 아내를 자랑스러워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모두 대전YWCA 여성인력개발센터(관장 유덕순)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 ‘학교방과후 전문인력지원사업단’에서 새 일자리를 얻었다. 실제 사업단이 출범한 지 3년 만에 66개의 새 일자리를 만들었다. 대전 지역 64개 학교 도서관에 직원들을 파견하고 있다. 관리 인력 2명도 채용했다.
◆ 경력단절여성 66명 새 일자리 얻어 = 센터가 이 사업을 시작한 것은 지난 2008년. 재정 형편 때문에 사서를 구하기 어려워 도서관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던 학교 교장선생님들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다른 지역에 비해 특히 높은 대전의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만들어야겠다는 센터의 요구와 딱 맞아떨어졌다. 실제 대전 거주 여성의 37.3%가 전문대 졸업 이상의 고학력자들이다. 하지만 이들 중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은 46%(전국평균 48%) 수준. 나머지 미취업 여성들 중 86.6%는 취업을 희망하고 있다.(한국여성인력개발센터 조사. 2010년 3월) 하지만 상당수가 결혼과 육아 등을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후 새로운 직장을 갖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것이 센터가 ‘학교방과후 전문인력지원사업단’을 시작하게 된 동기가 됐다.
취약계층 아이들을 위한 사회서비스의 확대 요구도 이 일을 시작하게 된 중요한 계기다. 다문화가정 자녀 등 소외계층 자녀들의 학습지도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학교에서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
유 관장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면서 이들을 위한 사회서비스의 필요성을 절감했다”며 “이들을 학교라는 공간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찾던 터에 도서관 관리와 독서 지도라는 의미 있는 일자리를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 ‘도서관 관리사’ 신종 직업 만들어 = ‘도서관 관리사’는 이 사업을 시작하면서 새로 만들어진 ‘신종 직업’이다. 학교마다 도서관이 있지만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게 현실이다. 대전에서 전문 사서를 채용하고 있는 학교는 손에 꼽을 정도다. 300여개 학교 중 고작 20여개 학교가 고작이다. 계약직 관리교사를 둔 학교도 채 50개교가 되지 않는다. 나머지 학교들은 인건비 마련이 어려워 필요성을 알면서도 채용을 미루고 있다.
한 초등학교 교장은 “독서의 중요성이나 도서관 활성화는 미룰 수 없는 일이지만 학교 현실은 이를 위한 전문 교사를 채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며 안타까워했다.
이런 현실에서 도서관 관리사는 취업단절 여성들과 학교, 학생 등 모두가 만족할 만한 획기적인 발상이었다.
이 사업을 전담하는 센터 강은경 간사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중도탈락자가 전혀 없는 매우 만족도 높은 직업”이라며 “매달 정기모임을 통해 보수교육을 진행하는 등 학교와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일을 하면서 미처 생각지 못한 문지제도 생겼다. 전문 사서들의 일자리를 뺏는 일일 수도 있다는 우려다. 일자리가 많지 않아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문 사서들에게는 그리 반길만한 일이 못 된다는 것.
하지만 센터의 고민은 조금 달랐다. 이 일은 오히려 도서관과 독서의 중요성을 알려 전문 사서의 일자리를 확대하는 결과를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유 관장은 “도서관 관리사들이 전문 사서의 역할을 하지는 못한다”며 “다만 취약계층 아이들의 방과후 독서지도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어 전문 사서와의 역할 차이는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 자립 가능한 수익구조 만들어야 =
과제는 안정적인 수입원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는 사회적 기업으로 인정받아 재정지원을 받고 있다. 학교에서도 일정 금액을 부담한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은 2년 후면 끝이 난다. 그 이후엔 자체적으로 인건비 이상의 수익을 만들어내야 한다.
실제 2008년 첫 해에는 학교별 15만원의 비용을 부담했지만 2009년에는 30만원, 그리고 올해는 40만원식을 부담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100만원 정도 되는 인건비를 충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학교 부담금을 계속해 인상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그렇다고 학교 부담금을 마냥 늘이기는 어렵다. 도서관관리사를 요구하는 학교들은 사실 사서의 필요성을 알면서도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해 채용하지 못하고 있는 학교들이다. 인건비 부담이 늘어나면 전문 사서를 채용하는 것과 차이가 없어진다. 이 사업의 취지와도 맞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사업단은 수익사업 모델을 고민하고 있다. 방학을 이용한 독서캠프 등 유료 프로그램을 만들어 수익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기업 등의 후원도 받을 생각이다.
센터 정현주 부장은 “도서관 관리사들의 전문성과 학교·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어 이를 활용한 수익 모델을 만드는 게 가능해보인다”며 “다양한 유료 프로그램을 만들어 의미 있는 사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대전 여성 일자리 창출 일등공신 = 지난 1994년 처음 문을 연 대전YWCA 여성인력개발센터는 여성 일자리 경력단절 여성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많은 일을 해왔다.
무엇보다 취약계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운영 및 취업알선 민간위탁사업을 펼쳐왔다. 경력단절 여성이나 여성가장 등 취업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취업교육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1주일짜리 ‘취업준비 특별반’이다. 스스로 취업걸림돌 원인을 찾아내게 하고, 자조집단 형성과 개별 멘토링서비스를 통해 외부의 취업정보와 내부의 의욕고취를 돕는다. 2007년에는 226명이 참여해 139명이 취업했고, 2008년에는 330명이 참여해 239명이 취업했다. 지난해에도 300명이 참여해 227명이 취업하는 성과를 거뒀다. 노동부로부터 A등급 평가도 받았다.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기업체 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주부인턴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85명이 참여해 83명이 취업에 성공하는 성과를 얻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여성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대전여성 취업·창업박람회도 개최해 여성들에게 많은 일자리를 찾아주고 있다.
유덕순 관장은 “생산인구 감소와 맞물려 고학력 여성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국가경쟁력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며 “이들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미룰 수 없는 국가 과제”라고 강조했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아이들 독서지도 보람있는 일이죠”
송옥섭(43)씨는 대학 졸업 후 곧바로 결혼해 3명의 아이를 둔 전업 주부였다. 직장생활 경험도 전혀 없었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일자리를 구해야겠다고 결심했지만 마음처럼 쉽지 않았다. 그런 송씨가 어렵게 얻은 첫 직장은 이름도 생소한 ‘도서관 관리사’.
그는 아침 8시 30분 학교 도서관으로 출근한다. 도서 대출·반납 업무도 보고 아이들에게 좋은 책도 추천하는 일을 한다. 독후감 쓰는 일도 돕는다. 방과후에는 주로 취약계층 아이들의 독서지도를 한다. 그는 “처음 얻은 직장인데다 학교에서 아이들과 보내는 시간이 많아 너무 좋다”며 만족스러워했다.
정귀숙(38)씨 역시 송씨와 같은 일을 한다. 무역회사에 다니던 그는 두 자녀의 양육 문제로 일을 그만 뒀다. 아이들이 어느 정도 자라자 다시 일을 하고 싶었지만,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전부터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도서관 학부모 사서로 봉사활동을 해 온 터라 ‘도서관 관리사’라는 직업이 낯설지 않았다. 얘기를 듣자마자 망설임 없이 지원했다. 그는 “4시쯤이면 퇴근을 하니 집에 돌아가 아이들을 돌보거나 가사 일을 할 수 있어 주부들에게는 안성맞춤인 직장”이라며 “초등학생인 아이들도 좋아하고, 남편도 학교에서 일하는 아내를 자랑스러워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모두 대전YWCA 여성인력개발센터(관장 유덕순)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 ‘학교방과후 전문인력지원사업단’에서 새 일자리를 얻었다. 실제 사업단이 출범한 지 3년 만에 66개의 새 일자리를 만들었다. 대전 지역 64개 학교 도서관에 직원들을 파견하고 있다. 관리 인력 2명도 채용했다.
◆ 경력단절여성 66명 새 일자리 얻어 = 센터가 이 사업을 시작한 것은 지난 2008년. 재정 형편 때문에 사서를 구하기 어려워 도서관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던 학교 교장선생님들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다른 지역에 비해 특히 높은 대전의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만들어야겠다는 센터의 요구와 딱 맞아떨어졌다. 실제 대전 거주 여성의 37.3%가 전문대 졸업 이상의 고학력자들이다. 하지만 이들 중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은 46%(전국평균 48%) 수준. 나머지 미취업 여성들 중 86.6%는 취업을 희망하고 있다.(한국여성인력개발센터 조사. 2010년 3월) 하지만 상당수가 결혼과 육아 등을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후 새로운 직장을 갖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것이 센터가 ‘학교방과후 전문인력지원사업단’을 시작하게 된 동기가 됐다.
취약계층 아이들을 위한 사회서비스의 확대 요구도 이 일을 시작하게 된 중요한 계기다. 다문화가정 자녀 등 소외계층 자녀들의 학습지도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학교에서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
유 관장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면서 이들을 위한 사회서비스의 필요성을 절감했다”며 “이들을 학교라는 공간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찾던 터에 도서관 관리와 독서 지도라는 의미 있는 일자리를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 ‘도서관 관리사’ 신종 직업 만들어 = ‘도서관 관리사’는 이 사업을 시작하면서 새로 만들어진 ‘신종 직업’이다. 학교마다 도서관이 있지만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게 현실이다. 대전에서 전문 사서를 채용하고 있는 학교는 손에 꼽을 정도다. 300여개 학교 중 고작 20여개 학교가 고작이다. 계약직 관리교사를 둔 학교도 채 50개교가 되지 않는다. 나머지 학교들은 인건비 마련이 어려워 필요성을 알면서도 채용을 미루고 있다.
한 초등학교 교장은 “독서의 중요성이나 도서관 활성화는 미룰 수 없는 일이지만 학교 현실은 이를 위한 전문 교사를 채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며 안타까워했다.
이런 현실에서 도서관 관리사는 취업단절 여성들과 학교, 학생 등 모두가 만족할 만한 획기적인 발상이었다.
이 사업을 전담하는 센터 강은경 간사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중도탈락자가 전혀 없는 매우 만족도 높은 직업”이라며 “매달 정기모임을 통해 보수교육을 진행하는 등 학교와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일을 하면서 미처 생각지 못한 문지제도 생겼다. 전문 사서들의 일자리를 뺏는 일일 수도 있다는 우려다. 일자리가 많지 않아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문 사서들에게는 그리 반길만한 일이 못 된다는 것.
하지만 센터의 고민은 조금 달랐다. 이 일은 오히려 도서관과 독서의 중요성을 알려 전문 사서의 일자리를 확대하는 결과를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유 관장은 “도서관 관리사들이 전문 사서의 역할을 하지는 못한다”며 “다만 취약계층 아이들의 방과후 독서지도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어 전문 사서와의 역할 차이는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 자립 가능한 수익구조 만들어야 =
과제는 안정적인 수입원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는 사회적 기업으로 인정받아 재정지원을 받고 있다. 학교에서도 일정 금액을 부담한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은 2년 후면 끝이 난다. 그 이후엔 자체적으로 인건비 이상의 수익을 만들어내야 한다.
실제 2008년 첫 해에는 학교별 15만원의 비용을 부담했지만 2009년에는 30만원, 그리고 올해는 40만원식을 부담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100만원 정도 되는 인건비를 충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학교 부담금을 계속해 인상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그렇다고 학교 부담금을 마냥 늘이기는 어렵다. 도서관관리사를 요구하는 학교들은 사실 사서의 필요성을 알면서도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해 채용하지 못하고 있는 학교들이다. 인건비 부담이 늘어나면 전문 사서를 채용하는 것과 차이가 없어진다. 이 사업의 취지와도 맞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사업단은 수익사업 모델을 고민하고 있다. 방학을 이용한 독서캠프 등 유료 프로그램을 만들어 수익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기업 등의 후원도 받을 생각이다.
센터 정현주 부장은 “도서관 관리사들의 전문성과 학교·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어 이를 활용한 수익 모델을 만드는 게 가능해보인다”며 “다양한 유료 프로그램을 만들어 의미 있는 사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대전 여성 일자리 창출 일등공신 = 지난 1994년 처음 문을 연 대전YWCA 여성인력개발센터는 여성 일자리 경력단절 여성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많은 일을 해왔다.
무엇보다 취약계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운영 및 취업알선 민간위탁사업을 펼쳐왔다. 경력단절 여성이나 여성가장 등 취업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취업교육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1주일짜리 ‘취업준비 특별반’이다. 스스로 취업걸림돌 원인을 찾아내게 하고, 자조집단 형성과 개별 멘토링서비스를 통해 외부의 취업정보와 내부의 의욕고취를 돕는다. 2007년에는 226명이 참여해 139명이 취업했고, 2008년에는 330명이 참여해 239명이 취업했다. 지난해에도 300명이 참여해 227명이 취업하는 성과를 거뒀다. 노동부로부터 A등급 평가도 받았다.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기업체 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주부인턴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85명이 참여해 83명이 취업에 성공하는 성과를 얻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여성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대전여성 취업·창업박람회도 개최해 여성들에게 많은 일자리를 찾아주고 있다.
유덕순 관장은 “생산인구 감소와 맞물려 고학력 여성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국가경쟁력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며 “이들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미룰 수 없는 국가 과제”라고 강조했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