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촉망받던 천재 여류 첼리스트 자클린 뒤 프레의 경우, ''다발성경화증''으로 말미암아 아깝게 요절을 하고 말았다.
''우아한 영국 장미''라는 애칭으로 유명했던 그녀는 1961년 데뷔하자마자 첼로의 대가인 파블로 카잘스나 로스트로포비치로부터 격찬을 받았으며, 23세에 유태계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인 다니엘 바렌보임과 결혼해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행복은 오래가지 못했다. 1970년, 25세 밖에 되지 않은 그녀가 눈에 띄게 피로한 기색을 보이기 시작했다. 눈이 침침해졌고 손가락은 저렸고 걸음걸이도 이상해졌다.
남편은 그런 그녀를 정신력이 해이해졌다고 타박했다. 하지만 첼로 연주 중에 활을 놓쳐버리는 사고가 난 후에야 정밀진단을 받았더니 ''다발성경화증''이라는 병이있다. 결국 그녀는 28세에 연주를 포기했고, 42세에 세상을 떠났다. 과로하거나 몸이 너무 피곤하면 근육이 굳어진다든지 눈이 침침해지는 것 같은 증상을 누구나 경험하곤 하지만 대개는 일과성으로 치부하고 만다.
하지만 전문의들은 이런 증상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여러 부위에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다발성경화증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한다. 다발선경화증은 몸의 여러 부위가 점점 굳어가는 병으로 피로감과 신경성 통증, 마비, 시야혼탁 현상등이 갈수록 심해져 일상생활을 제대로 못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병은 엉뚱하게도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외부의 적이 아니라 스스로를 공격해서 생기는 자기면역질환의 하나이다. 병이 진행되면 뇌에서 팔과 다리 등 신체 말단으로 연결되는 신경망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뇌의 신호가 잘 전달되지 않아 마비가 나타나는 것이다.
다발성경화증은 전 세계적으로 2백50만 명, 국내에는 약 2천 3백여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병은 전 연령대에 걸쳐 나타나지만 젊은 층이 유난히 많은 것이 특징으로 전체 환자의 40~50%가 20대와 30대이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광국 교수팀이 이 다발성경화증 환자 170명을 조사한 결과 이중 28%는 시야가 뿌옇게 되거나 일시적으로 안 보이는 경험을 했다고 응답했다.
또 팔다리에 갑작스런 마비가 오거나 심하게 떨렸다(25%), 팔다리에 통증을 느꼈다(12%), 대소변 기능에 장애를 느꼈다(6%), 사지가 뻣뻣해지는 것을 경험했다(2%), 전신 피로감을 심하게 느꼈다(1%), 평소보다 발음이 불분명해지거나 말의 리듬이 이상해졌다(1%)등의 답변도 나왔다.
이 다발성경화증도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단순 허리디스크나 신경성 통증, 시력 이상으로만 생각해 발견시기가 늦다.
김광국 교수는 ''환자의 96%가 진단될 때까지 다발성경화증이란 병명을 처음 들어봤다고 한다''고 말했다.
자기공명영상(MRI), 뇌척수액 검사, 시각, 청각, 체성감각 유발전위검사 등을 통해 다발성경화증으로 진단될 경우, 베타 인터페론등 면역 조절체재를 투여하면 증상의 악화를 늦출 수 있다.(심재훈 헬스조선 기자/2009.5.27 기사 인용)
문의 효소코리아 대표이사 김희철 031-256-1711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우아한 영국 장미''라는 애칭으로 유명했던 그녀는 1961년 데뷔하자마자 첼로의 대가인 파블로 카잘스나 로스트로포비치로부터 격찬을 받았으며, 23세에 유태계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인 다니엘 바렌보임과 결혼해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행복은 오래가지 못했다. 1970년, 25세 밖에 되지 않은 그녀가 눈에 띄게 피로한 기색을 보이기 시작했다. 눈이 침침해졌고 손가락은 저렸고 걸음걸이도 이상해졌다.
남편은 그런 그녀를 정신력이 해이해졌다고 타박했다. 하지만 첼로 연주 중에 활을 놓쳐버리는 사고가 난 후에야 정밀진단을 받았더니 ''다발성경화증''이라는 병이있다. 결국 그녀는 28세에 연주를 포기했고, 42세에 세상을 떠났다. 과로하거나 몸이 너무 피곤하면 근육이 굳어진다든지 눈이 침침해지는 것 같은 증상을 누구나 경험하곤 하지만 대개는 일과성으로 치부하고 만다.
하지만 전문의들은 이런 증상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여러 부위에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다발성경화증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한다. 다발선경화증은 몸의 여러 부위가 점점 굳어가는 병으로 피로감과 신경성 통증, 마비, 시야혼탁 현상등이 갈수록 심해져 일상생활을 제대로 못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병은 엉뚱하게도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외부의 적이 아니라 스스로를 공격해서 생기는 자기면역질환의 하나이다. 병이 진행되면 뇌에서 팔과 다리 등 신체 말단으로 연결되는 신경망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뇌의 신호가 잘 전달되지 않아 마비가 나타나는 것이다.
다발성경화증은 전 세계적으로 2백50만 명, 국내에는 약 2천 3백여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병은 전 연령대에 걸쳐 나타나지만 젊은 층이 유난히 많은 것이 특징으로 전체 환자의 40~50%가 20대와 30대이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광국 교수팀이 이 다발성경화증 환자 170명을 조사한 결과 이중 28%는 시야가 뿌옇게 되거나 일시적으로 안 보이는 경험을 했다고 응답했다.
또 팔다리에 갑작스런 마비가 오거나 심하게 떨렸다(25%), 팔다리에 통증을 느꼈다(12%), 대소변 기능에 장애를 느꼈다(6%), 사지가 뻣뻣해지는 것을 경험했다(2%), 전신 피로감을 심하게 느꼈다(1%), 평소보다 발음이 불분명해지거나 말의 리듬이 이상해졌다(1%)등의 답변도 나왔다.
이 다발성경화증도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단순 허리디스크나 신경성 통증, 시력 이상으로만 생각해 발견시기가 늦다.
김광국 교수는 ''환자의 96%가 진단될 때까지 다발성경화증이란 병명을 처음 들어봤다고 한다''고 말했다.
자기공명영상(MRI), 뇌척수액 검사, 시각, 청각, 체성감각 유발전위검사 등을 통해 다발성경화증으로 진단될 경우, 베타 인터페론등 면역 조절체재를 투여하면 증상의 악화를 늦출 수 있다.(심재훈 헬스조선 기자/2009.5.27 기사 인용)
문의 효소코리아 대표이사 김희철 031-256-1711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