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움’ 만들어가는 사람 되고파
발명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학생들에게 ‘발명을 잘 할 수 있는 비결’에 대해 물으면 한결같이 ‘생활의 불편함을 가볍게 넘기지 않는 습관’이라 대답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활 속 불편함을 대수롭지 않게 ‘그러려니...’하고 넘기지만, 새로운 것을 창출해내는 사람들은 그 불편함을 뛰어 넘으려는 개선의 의지를 품고 있다는 의미다.
보인고등학교 이돈일(1학년) 군 역시 그런 불편함을 허투루 보지 않았다. 이군은 약사인 아버지의 말을 꼼꼼히 새겨듣고 환자들에게 더욱 안전한 정량의 약을 줄 수 있는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를 발명, 이 발명품으로 지난 5월 서울특별시 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에서 특상을 수상했다.
어릴 때부터 발명 아이디어 많아
“중학교 때부터 발명 아이디어를 많이 가지고 있었어요. 그림을 그려보며 언젠가 실제로 한 번 만들어봐야겠다는 생각도 꾸준히 갖고 있었고요. 그리고 작품이 잘 만들어진다면 특허 출원도 하리라 다짐했었죠.”
어릴 때부터 유난히 과학 분야에 관심이 많았던 이군은 중학교 때부터 이미 발명에 대한 아이디어를 많이 품고 있었다. 막연히 발명에 대해 구상만 하고 있던 이군에게 실천의 도화선을 제공한 것은 형이었다. 당시 고등학교에 다니던 형이 전국발명대회에 나가 ‘태양열 조리기’로 장려상을 받은 것. 욕심 많던 이군이 더욱 발명에 박차를 가하게 된 계기였다.
“형이 부럽기도 하고, 생각하고 있던 아이디어를 빨리 작품화하지 못한 저 자신에게 좀 실망스럽기도 하고 그랬어요. 그래서 저도 빨리 머릿속 구상을 현실화하기 시작했죠.”
이군이 제일 먼저 발명한 것은 ‘골전도 스피커’다. 평소 음악 듣기를 즐겨하던 이군은 골전도이어폰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고. 그러던 중 스피커로 만들면 친구들과 같이 음악을 들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골전도스피커를 만들게 됐다. 친구들의 호응도 폭발적이었다. ‘정말 네가 만든 거야?’ ‘골전도가 뭐냐?’ ‘제대로 만들어서 사업해보자’ 등. 스스로 뿌듯해지는 순간이었다. 이군은 이 작품을 서울시 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에 출품, 장려상을 받았다. 하지만 이군은 장려상에 머문 것에 조금이 미련이 남는다고.
이군은 “작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작동실수를 해 감점이 많이 된 것 같다”며 “그때의 실수를 바탕으로 설명과 작동하는 데도 더 많은 연습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환자들에게 도움 주고 싶어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 그가 만든 첫 작품이 바로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다. 평소 부모님과 많은 대화를 나누는 이군은 아버지가 자주 말하는 환자들의 불편함을 놓치지 않고 기억했다.
“어린 아이들이나 특수질환을 가진 사람, 약에 특히 민감한 사람들에게는 아주 적은 오차의 약이라도 치명적이거나 큰 불편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아버지의 말씀을 통해 알게 됐어요. 약사로서 아버지의 어려움도 알게 됐고, 환자들이 그 궁금증을 아버지에게 많이 물어온다는 것도 알게 됐죠. 그래서 생각하게 된 것이 아주 미세한 단위까지 정확하게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입니다.”
이군은 이 장치를 만들며 어려움이 있을 때면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조언을 구했다. 그럴 때마다 부모님은 이군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려줬다. 그리고 격려 또한 잊지 않았다. 이군은 “아버지께서 제 작품이 인정을 받아 정식으로 특허출원이 되면 제일 먼저 사서 쓰시겠다고 말씀하셨다”며 “그런 아버지의 말씀이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건축가가 되어 나만의 작품 만들 것
돈일군의 꿈은 건축가다. 미술에도 남다른 재능이 있는 이군은 자신의 이런 미술적 감각이 발명에 큰 도움이 되고, 또 미술과 발명과 연관된 모든 것들이 자신이 하고 싶은 건축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머릿속 생각을 구상도로 나타내는 것이 미술과 큰 연관성이 있고, 또 구상도를 바탕으로 실제 작품이 만드는 과정이 건축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 또 발명과 건축 모두 창의력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도 그 닮음을 찾아볼 수 있다고.
이군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접한 특이한 건물과 집을 보며 건축가로서 꼭 이루고 싶은 꿈도 생겼다. 지극히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인 그리고 다분히 친환경적인 집, 거기에 ‘이돈일’만의 특징이 묻어나는 건축물을 남기겠다는 것이다.
“발명이나 건축이나 모두 생활 속에서 잘 활용되면서 독창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또 불편함도 없어야겠죠. 이런 연관성을 잘 이해하면서 건축가로서의 꿈도 이루고 생활 속에서 꾸준히 발명활동도 해 나가고 싶습니다.”
박지윤 리포터 dddodo@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