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착되는 양극화, 멀어지는 선진화] 선거에 어떻게 영향미칠까?
30·40대 표심 흔들 인화성 잠재
불만·비관 심각 … “경기하강·좌절감 맞물리면 향후 선거서 폭발”
‘양극화 현상’이란 낱말이 사회적 화두로 떠오른 건 지난 97년 IMF 구제금융위기를 겪으면서다. 해고대란에 중산층이 무너지면서 하위층은 급증했지만, 상위층의 자산·소득은 거꾸로 크게 늘었다. 이것이 사교육비 격차로 이어지며 ‘자산·소득·교육’의 양극화가 대물림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재작년에 닥쳐온 글로벌 금융위기는 우리사회의 양극화를 더 심화시킬 것이란 게 많은 사람들의 예상이었고 이는 현실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양극화로 인한 불만이 정치적 의사표시로 폭발한 시기는 2007년 대선이었다. 참여정부의 부동산정책 실패로 주택가격이 폭등하자 여론형성의 주역이었던 40대층이 대거 이명박후보 지지로 돌아섰다.
내일신문과 디 오피니언의 이번 ‘양극화 국민의식 조사’에선 양극화에 대한 국민의 문제의식과 불만이 한층 깊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부근 디 오피니언 소장은 “국민들은 돈 있는 사람이 돈을 버는 구조가 심화되는 것에 대해 심각하게 여기고 있다”며 시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았다고 느끼면 향후 총선, 대선에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정치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 30대와 40대 연령층의 양극화 인식에 주목한다. 강원택 숭실대 교수는 “우리사회의 허리에 해당하는 30·40대가 향후 양극화가 악화될 것이란 반응이 높고 심리적 박탈감도 상당하다”며 “특히 30대가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낮다는 게 주목할 대목”이라고 말했다.
30~40대층은 양극화가 장기적이고 사회구조적인 문제란 시각이 강하고 비관적이다. 양극화의 원인을 ‘돈이 돈을 버는 사회 구조’로 보는 응답률이 66%(30대), 60.2%(40대)로 전체 응답률(59.1%)보다 높고, 상대적 박탈감의 체감도도 73%대로 전체(68.1%)를 크게 웃돌았다. ‘양극화가 더 심해질 것’이란 견해도 전체(55.3%)보다 많은 62.7%(30대), 65.3%(40대)에 달했다. 여기에 ‘현 정부의 정책이 양극화 현상을 개선시키지 못할 것’이란 예상이 전체응답률 62.1%보다 6~13%p 가량 높은 75.8%(30대), 68.1%(40대)로 나와 정부에 대한 불신도 심각한 수준이란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가 이번 지방선거에선 30~40대의 불만을 표출할 변수로 떠오르지는 않고 있다. 이현우 서강대 교수는 “상대적으로 빈곤한 층도 미래에는 자신이 부유층으로 올라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양면성 때문”이라고 말했다. 강원택 교수는 이런 점에서 “이들의 불만이나 우려를 표로 결집시킬 구체적인 안건이 없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경제활동의 중추이자 여론형성을 주도하는 30·40대와 자영업, 화이트칼라층이 품고 있는 문제의식과 불만의 정도는 여건이 맞아떨어질 경우 향후 선거에서 표심으로 폭발할 ‘강한 인화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교수는 “지금은 경제가 회복되는 모습이지만 향후 경기가 꺾여 중하층의 좌절감이 커지면 표심으로 폭발할 수 있을 정도로 30·40대의 생각이 비관적이고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양극화가 자신의 경제계층 상승을 가로막은 구조적 장벽이라 느끼게 돼 좌절과 분노감이 정치적으로 표출될 것이란 이야기다. 강원택 교수도 “앞으로 이들 세대의 불안감과 불만이 구체적 이슈와 만나거나 대립각을 세울 어젠다가 던져진다면 투표로 의사표출이 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고 내다봤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